칠보시
1. 개요
조식이 지은 시.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지은 시라고 해서 칠보시(七步詩)로 불린다.
2. 상세
삼국지연의에 따르면 조비가 조식에게 소 두 마리가 싸우다가 한 마리가 밀려 구덩이로 떨어지는 모습의 그림을 보여주며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그 그림을 묘사한 시를 짓되 "두 소가 싸워서 한 마리는 우물 속으로 떨어져 죽었다"는 말이 들어가면 안 된다고 제약을 걸었다. 제대로 시를 짓지 못하거나 조건을 어기면 사형시키겠다고 했다. 조식은 즉시 걸음을 떼면서 다음의 시를 지었다.
정확히 일곱 걸음째에 시가 끝났다고 하는데, 조비와 조식의 권력싸움을 어느 정도 빗댄 의미가 숨겨져 있다. 조비는 조식의 재능에 감탄했지만 다시 자신과 조식 둘의 관계인 형제를 묘사하는 시를 지으라면서 형이나 제라는 말을 쓰면 안 된다는 조건을 붙였다. 게다가 이번에는 칠보도 아닌, 그냥 말이 떨어지는 즉시로. 그러자 조식은 즉시 다음 시를 읊기 시작했다. 흔히 이 두 번째 시가 칠보시로 알려져있지만, 이번에는 걸음을 걷거나 하지는 않았다. 이 시는 콩을 삶는 것에 대한 시라고 해서 자두시煮豆詩라고 부른다. 삼국지연의에는 이 시가 이렇게 실려있다.兩肉齊道行 (양육제도행 - 두 덩이의 고기가 길을 가지런히 가는데)
頭上帶凹角 (두상대요각 - 머리엔 볼록한 뿔이 달렸구나)
相遇凸山下 (상우철산하 - 서로 철산 밑에서 만나)
欻起相唐突 (훌기상당돌 - 홀연 서로 싸움이 벌어지네)
二敵不俱剛 (이적불구강 - 두 대적이 다 함께 강할 수는 없어)
一肉臥土窟 (일육와토굴 - 한 고깃덩이는 토굴 속으로 쓰러진다)
非是力不如 (비시력불여 - 힘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盛氣不泄畢 (성기불설필 - 기운을 다 쏟지 못한 탓이로구나)
세설신어에 실린 시는 약간 다르다.煮豆燃豆萁 (자두연두기 - 콩대를 태워 콩을 삶으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 솥 속의 콩이 울고 있구나)
本是同根生 (본시동근생 - 본래 한 뿌리에서 났건만)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 어찌 이리 급하게 삶아대는가)
이는 한 아버지로부터 태어난 한 핏줄인 자신(콩)을 형(콩대)이 지나치게 핍박하고 있음을 묘사한 시이며, 그 뜻을 알아들은 조비로 하여금 일시적으로나마 뉘우치는 마음을 품고 눈물을 흘리게 했다. 여기에 무선황후 변씨가 나서서 조비를 꾸짖자 결국 조비는 조식을 죽이지 않고 수도에서 추방하는 것으로 끝냈다.煮豆持作羹 (자두지작갱 - 콩을 삶아 국을 끓이고)
漉豉以爲汁 (녹시이위즙 - 메주를 걸러 즙을 낸다)
萁在釜下燃 (기재부하연 - 가마 밑에선 콩깍지를 태우니)
豆在釜中泣 (두재부중읍 - 솥 속의 콩이 울고 있구나)
本自同根生 (본자동근생 - 본래 한 뿌리에서 났건만)
相煎何太急 (상전하태급 - 어찌 이리 급하게 삶아대는가)
그런데 보면 알겠지만 저 두 시 모두 은근히 자기를 높이고 형 조비를 까는 내용이 들어있다. 앞의 시는 대놓고 '내가 경쟁에서 밀리긴 했지만 그게 내 능력이 딸려서가 아니라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다'라고 암시하고 있고, 뒤의 시는 조비의 소갈머리가 좁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래도 정말로 '형제'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도 '형제간에 이러는 건 너무하지 않냐'라고 하소연하는 내용도 포함한 절묘한 시다. 조비도 저런 의미를 전혀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바보는 아니니 자기를 까는 걸 알지만 다른 의미도 알아채서 감동해서 살려준 것 같기도 하다.
허나 사실, 두 시 모두 후세의 창작일 가능성이 높다. 둘 다 전형적인 오언절구의 형태인데, 오언절구가 정형화되기 시작한 것은 당나라 이후의 일이다. 그만큼 조비에 대한 여론이 나쁘고 조식에 대한 동정론이 많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3. 기타
조비의 손자인 조모가 진건에게 시를 지으라 명령했지만 진건은 시를 시간 내에 짓지 못했다는 이유로 진건은 파직당할 뻔했다(…).
근대 중국에서는 반(反) 칠보시라는 것도 창작되었다.
뭐 따지고 보면 콩도 먹혀서 인분으로 배출되면 비료로 쓰일 수 있으니 결국 한 뿌리에서 나서 다시 밭으로 돌아간다고 볼 수도 있다.煮豆燃豆萁 (자두연두기 - 콩대를 때서 콩을 삶으니)
豆熟萁成灰 (두숙기성회 - 콩이 익으면 콩대는 재가 된다)
熟者席上珍 (숙자석상진 - 익은 콩은 밥상의 진미이거늘)
灰作田中肥 (회작전중비 - 콩대의 재는 밭의 비료가 된다)
不为同根生 (불위동근생 - 본래 한 뿌리에서 난 것이 아니라면)
缘何甘自毁 (연하감자훼 - 어찌 자신의 몸을 바치겠느뇨)
진삼국무쌍 7에서는 조비의 장성 모드 상대 중 한 명이 조식이라서 칠보시 관련대사가 나온다. 시를 짓는 것 때문에 조식이 고생하자 조비는 일곱 걸음 안에 시를 지을 수 있을 텐데 뭘 고민하냐면서, 격려인지 비아냥인지 모를 말을 한다. 이에 조식은 푸념하고, 조비는 일곱 걸음 안에 시를 못 쓰면 죽는다는 조건을 넣으면 시가 더 잘 떠오를 거라는 식으로 말을 한다. 완전히 블랙 유머가 아닐 수 없다.
토탈 워: 삼국의 첫 DLC인 팔왕의 난의 트레일러에서 인용되었다. 비록 사마씨가 조위를 무너트렸긴 하지만, 팔왕의 난이 사마씨의 자제들이 벌이는 전쟁인 만큼 선정이 정확하단 평가를 받았다.
조식이 칠보시를 읊는 심정이 이리하였으리라..
"야 와이프 친정간다"로 8행시를 지은 남편의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