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올림픽 육군 상병 사망사고

 



1. 요약
2. 배경
3. 사후 대처와 여담


1. 요약


2018년 1월 29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준비를 지원하던 육군 강모 상병(20)이 과다출혈로 사망한 사고다. (기사 / 아카이브)
군 당국의 상황 발표에 따르면, 강 상병은 1월 29일,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임무수행'[1]을 마치고 오후 10시 35분 경 평창군 횡계차고지에 있는 운전자 숙소 1층 공동 샤워실에 들어가던 중 바닥에 미끄러지며 샤워실 유리와 부딪혔고 유리가 깨지면서 파편에 자상을 입었다.[2] 이후 구급차를 통해 인근 병원으로 후송되었지만 끝내 과다출혈로 30일 0시 10분에 숨졌다고 한다.

2. 배경


대한민국 국군2월 9일 개막하는 평창 올림픽을 군 차원에서 지원할 계획을 수립하여, 이에 약 6천여 명의 장병을 투입[3]하였다. 일각에서 "국가와 민족을 수호해야 할 군인들이 동계올림픽을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전장과 거리가 먼 평창으로 불려갔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이들을 '공짜 일꾼'으로 부렸다." 등의 비판이 제기되었으나(기사) 계획은 차질 없이 실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유튜브 등지에서는 '''맨 땅'''에서 삽을 이용한 '''제설 연습'''을 하는 동영상이 올라와 네티즌들에게 "사병들 데리고 뭘 하는 짓이냐." 등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관련 영상) 심지어 경기에 따라 공식 게임 규정에 맞게 트랙을 고치는 '''빙상 경기장 교체 작업''' 연습에 동원하여, "밴쿠버소치 올림픽에서 30분 걸린 것을 20분 안에 끝내겠다."며 이후 "18분 안에 끝냈다."고 SNS에 올리는 등(관련 기사 / 아카이브), 구설수에 올랐다.
복수의 기사에 따르면 사망자인 강 상병은 올림픽 준비 임무에서 '메달리스트 후송요원'을 맡았다고 한다. 사고 당시 강 상병의 건강 상태나 사고 이후 응급 처치 유무, 후송까지의 과정 등은 언론의 자세한 보도가 있기 전까지는 알 수 없을 듯하다.

3. 사후 대처와 여담


  • 군 당국은 강 상병이 보여준 전우애와 군인정신을 기려 1계급 특진(병장) 추서한다고 발표했으며, 순직 심사 및 유족 지원, 장례 등에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도어를 유리 없는 문으로 교체하고 미끄럼방지 매트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횡계차고지의 플릿 숙소동 샤워실의 유리문은 사고발생 후 모두 철거되고, 문 대신 비닐커튼으로 바뀌었다. 또한, 샤워실 입구에 물건을 컨테이너에 적재할때 쓰는 목재 팔레트를 미끄럼방지 매트 용으로 두고 사용했다.

[1] 기사 참조.[2] 겨드랑이 아래 동맥이 흐르는 부분에 자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2월 5일 노로바이러스로 민간 인력이 철수하자 군인 900명을 추가투입하여 총 6,900여 명이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