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 보우

 

'''프랜 보우'''
''Fran Bow''

<colbgcolor=#800000> '''개발'''
Killmonday Games
'''유통'''
Killmonday Games
'''플랫폼'''
( | | ) | | | |
'''장르'''
다크 판타지, 호러, 어드벤처, 퍼즐
'''출시'''
'''PC'''
2015년 8월 27일
'''Android'''
2016년 2월 16일
'''iOS'''
2016년 3월 5일
'''엔진'''
게임메이커 스튜디오
'''관련 사이트'''
공식 사이트
스팀 상점 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게임의 특징
4. 등장인물
5. 스토리
6. 여담

[clearfix]

1. 개요



공식 트레일러

한글 자막
프랜 보우는 Killmonday Games[1]에서 제작한 인디 호러 퍼즐 게임이다.

2. 상세


인디고고라는 인디 게임 후원 플랫폼에서 $28,295을 후원받아 개발했다.[2] 몇 년 전 데모 버전이 먼저 나와 많은 게이머들의 관심을 끌었고, 마침내 2015년 8월 17일 개봉됨에 따라 그 특유의 그로테스크함과 섬세한 스토리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게임이다. 아래는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설명.

Fran Bow is a creepy adventure game that tells the story of Fran, a young girl struggling with a mental disorder and an unfair destiny.

After witnessing the gruesome and mysterious loss of her parents, found dismembered at their home, Fran rushes into the woods, together with her only friend, Mr. Midnight, a black cat that Fran had previously received as a present from her parents.

In the forest, Fran goes into shock over the loss of her parents and when she recovers, she’s at Oswald Asylum, an oppressive mental institution for children, and Mr. Midnight is nowhere to be found.

After having a dream about her beloved cat, Fran decides to escape from the mental institution to find him and go back home to Aunt Grace, her only living relative.

'''해석''': 프랜 보우는 정신 질환과 불행한 운명에 고통받는 어린 소녀인 프랜의 이야기를 다루는 으스스한 어드벤처 게임입니다.

그녀의 부모님이 이유 불명의 끔찍한 토막 살인을 당한 것을 목격한 뒤, 프랜은 그녀의 유일한 친구이자, 부모님으로부터 선물로 받은 검은 고양이 미드나잇과 함께 숲속으로 뛰어 들어갑니다.

숲속에서 프랜은 부모님의 죽음으로 인한 쇼크를 겪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강압적인 정신병원인 오스왈드 정신병원에서 깨어난 프랜은 그녀의 고양이 미드나잇을 어디에서도 찾지 못합니다.

그녀의 사랑하는 고양이에 관한 꿈을 꾼 뒤, 프랜은 정신병원을 탈출하여 그녀의 고양이를 찾고, 그녀의 유일한 혈육인 그레이스 이모에게 함께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


3. 게임의 특징


  • 수작업으로 제작된 2D 애니메이션 게임이다. 역동적인 행동 묘사는 별로 없지만, 음울한 분위기를 돋보이게 하는 원화가 매력적이다.
  • 게임 개발에 쓴 프로그램은 Yoyo Games에서 나온 GameMaker Studio이며, 아트 작업을 위해서는 포토샵을 썼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효과를 위해서는 Animate Studios를, 음악 작업을 위해서 H4nd Recorder와 미디 키보드를 썼다. 자세한 설명은 개발사 홈페이지의 Fran Bow Wordpress에 나와 있으니 가서 확인해보자.
  • 자동으로 저장되는 기능이 있으므로 굳이 따로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서 플레이 할 필요가 없다.
  • 배경음악을 제외하고는 나오는 오디오가 없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게임 캐릭터들에게 자신만의 목소리를 부여하면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 특징.
  • click-and-play 퍼즐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시나리오 진행을 위해 주어지는 퍼즐을 해결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은 마우스 클릭으로 진행된다.
  •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는 주인공 프랜으로 플레이하게 되는데, 이때 프랜은 작중에서 등장하는 듀오틴이라는 약물을 복용하면 현실 위에 다른 것들을 덧씌워서 볼 수 있다(자세한 설명은 후술). 따라서 플레이어는 약통을 획득한 후에는 게임 창 오른쪽 아래의 약병을 클릭하여 '새로운' 현실 속으로 들어가 퍼즐의 단서와 퍼즐을 푸는 데 필요한 물건을 찾을 수도 있다. 때로는 이 '새로운' 현실에서 퍼즐을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한 장소에서 찾은 물건이 다음 장소의 퍼즐에 사용될 수도 있고, 시나리오 상에서 훨씬 뒤의 퍼즐에서도 다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장소를 방문할 때마다 수집할 수 있을 만한 모든 물건을 클릭해서 수집하는 것이 좋다. 약병을 클릭하여 위에 서술한 '새로운' 현실 또한 꼼꼼하게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 퍼즐을 푸는 데 대해 자세한 설명이 없이 플레이어가 혼자 풀어내야 하는 퍼즐이 많다. 약간은 추상적인 언어로 설명이 제공되니 그것을 잘 이해해야 퍼즐을 풀 수 있다. 정말 퍼즐을 풀지 못하겠다면 인터넷에서 게임 가이드나 Walkthrough를 찾아서 봐야만 하는 것. 그러나 작중 단서를 잘 살피고 시나리오의 흐름을 염두에 둔다면, 그 난이도가 엄청나게 어렵지는 않으니 퍼즐을 좋아하는 플레이어라면 충분히 도전할만 하다.
  • 한 챕터에서 다른 챕터로 넘어가는 사이에 종종 소소한 재미를 주는 아케이드 게임 형식의 미니게임이 존재할 때가 있다. 플레이어가 원한다면 스킵할 수는 있지만, 미니 게임을 좋아하는 플레이어들이라면 해볼만 하다.
  • 흥미롭게도 해결하는 과제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해결책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해결책에 따라서 게임 속 인물들의 대사와 리액션이 달라진다. 물론 멀티엔딩 게임은 아니며, 다음의 시나리오가 진행될 때까지의 대사만 달라지는 것. 하지만 그렇게 다른 대사를 찾아보는 소소한 재미 또한 있다.

4. 등장인물


  • 프랜 보우 다젠하트(Fran Bow-Dagenhart)
  • 미드나잇(Mr.Midnight)
  • 마틴 보우 다젠하트(Martin Bow-Dagenhart)
  • 루시아 다젠하트(Lucia Dagenhart)
  • 그레이스 다젠하트(Fran Dagenhart)
  • 마르셀 디언 의사(Dr. Marcel Deern)
  • 오스왈드 해리슨 박사(Dr. Oswald Harrison)
  • 글래디스 해나 간호사(Gladys Hannah)
  • 클라라 부하멧과 미아 부하멧(Clara Buhalmet and Mia Buhalmet)
  • 레온 카스틸로(León Castillo)
  • 잇워드(Itward)
  • 팔론트라스(Palontras)
  • 레모어(Remor)
  • 그림자 괴물 카말라(Kamalas)
  • 발로카(Valokas)
  • 루시퍼런스(Luciferns)
  • 자이아르 왕(King Ziar)
  • 코그윈드(Cogwind)
  • 코트렘 산(Great Mountain Kotrem)
  • 대마법사(The Great Wizard)
  • 마부카(Mabuka)
  • 오크훌라(Okhula)

5. 스토리


주인공 프랜 보우는 부모님과 그레이스 이모, 그리고 부모님께 선물받은 고양이 미드나잇과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던 어린 소녀였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부모님은 이름모를 살인마에게 잔인하게 토막나 죽었고, 그 현장을 목격한 프랜은 충격과 공포에 질려 집 밖으로 뛰쳐나간다. 이때 프랜은 뛰쳐나가기 전 피투성이 얼굴에 뿔 두 개를 가진 괴물을 목격한다. 숲 속을 달리던 프랜은 결국 쇼크를 받아 쓰러지고, 사람들이 오더니 쓰러진 프랜을 데려가지만 미드나잇은 숲속으로 도망쳐 버린다.
부모님의 살인을 목격한 충격을 달래기 위해 오스왈드 정신병원(Oswald Asylum)[3]이라는 어린이들을 위한 정신병원에서 들어가게 된 그녀는 디언이라는 의사에게 치료받는다. 그러나 프랜은 정신병원에서의 치료가 자신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꿈속에서 자신의 고양이 미드나잇을 만난다. 미드나잇은 프랜에게 그녀가 복용하는 약물이 자신을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말하며(이 약이 앞서 서술한 듀오틴이다), 병원을 탈출해서 숲속으로 와 자신을 찾아달라고 말한다.

※ 아래에 있는 내용은 지나친 스포일러나 게임 내 퀴즈에 대한 답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생략한 부분이 있습니다. 단순한 줄거리 파악을 위한 참고용으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병원을 탈출하던 프랜은 부모님이 살해당하던 날 보았던 괴물, 곧 레모어를 보게 된다. 그는 자신이 프랜을 영원히 풀어주지 않을 것이라 하지만, 바퀴 달린 고양이의 도움을 받아 벗어나고, 프랜은 병원 정원의 미로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첫 번째 미니게임이 진행된다.
미로를 빠져나온 그녀는 하수구를 통해 병원을 빠져나가는데, 그 과정에서 가지고 있던 가족 사진을 잃어버리게 된다.
숲속으로 들어온 프랜은 나무에 머리카락이 걸려 있는 빛나는 벌레들을 만난다. 그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빗을 어떤 쥐가 훔쳐갔고, 그 빗을 가져와 자신들이 머리를 빗을 수 있게 해준다면 자신들의 머리카락에 걸려 있는 열쇠를 주겠다고 한다.
거대한 개미를 만난 프랜은 그의 돼지 벌레를 죽인 후, 그 뱃속에 있던 쥐를 구출하고 그 대가로 쥐가 훔쳐갔던 벌레들의 빗을 받는다. 그 빗을 벌레들에게 가져가 그들의 머리칼을 빗어준 프랜은 약속대로 열쇠를 받는다.
숲속의 우물에 가서 프랜은 그동안 모아둔 재료로 우물에 문을 만들고, 빛나는 벌레들에게 받은 열쇠로 문을 연다.
우물 속에 떨어진 프랜은 이름모를 집에서 깨어난다. 아무도 없는 집을 돌아다니던 프랜은 그 집의 다락방에서 미드나잇을 발견하지만, 미드나잇이 갇혀 있는 우리의 열쇠를 찾지 못해 내려온다. 그리고 그녀는 그 집의 주인인 클라라와 미아를 만난다. 그들은 몸의 한쪽이 붙어버린 샴쌍둥이이다.[4] 그들은 잇워드라는 존재가 자신들을 이렇게 만들었다며, 프랜에게 주술을 통해 잇워드를 불러내 자신들이 복수할 수 있게 해달라고 한다. 프랜이 집 안과 밖을 돌아다니며 주술을 위한 재료를 모으던 중, 집 밖에서 한 두꺼비를 발견한다.
두꺼비는 프랜에게 그 자매를 믿지 말라며, 프랜 이전에도 주술을 부탁한 소녀가 있었지만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죽었다고 경고한다. 그 말을 들은 프랜은 클라라와 미아가 자신에게 준 주술 주문서를 클라라와 미아의 영혼을 해방시키는 주술서로 고친다. 재료를 모아 영혼을 해방시키는 의식을 거친 프랜은 클라라와 미아에게서 챙겨두었던 열쇠를 가지고 올라가 미드나잇을 우리에서 꺼낸다.
다시금 두꺼비가 있는 장소로 간 프랜은 두꺼비에게서 잃어버렸던 가족 사진을 받고, 두꺼비를 그 집에서 해방시켜준 보답으로 강을 건너게 된다. 여기서 두 번째 미니게임이 진행된다. Frogger와 비슷하다.
프랜은 강을 건넌 후 나무로 만들어진 다리를 만나게 된다. 그러나 건너던 중 다리가 끊어져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깨어난 뒤 프랜은 자신이 나무로 변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알고 보니 자신이 떨어진 곳은 이더스타라는 다른 차원의 공간이다. 이때부터 프랜은 듀오틴을 잠시동안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나무로 변해버려 혼자서는 움직일 수도 없는 프랜은 이더스타의 왕 자이아르를 찾아가 도움을 청하고, 왕은 그녀를 팔론트라스에게 보내 팔과 다리를 얻을 수 있게 도와준다. 다시 혼자서 움직일 수 있게 된 프랜에게 왕은 다시 인간의 몸을 되찾고 원래의 현실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대마법사를 찾아가라고 한다.
프랜은 코트렘 산에 살고 있다는 대마법사를 찾아가려 하지만, 그 산은 겨울에만 찾아갈 수 있다고 한다. 단서를 찾아다니던 프랜은 이더스타에는 특별한 시계가 있고, 그 시계의 바늘을 움직이면 계절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마침내 대마법사를 찾아간 프랜은 그에게 다시 인간이 되고 싶다고 말하고, 대마법사는 인간이 되는 주문에 필요한 재료를 찾아오라고 한다. 필요한 재료들[5]을 찾아온 프랜은 자신의 옷과 함께 재료들을 대마법사에게 가져간다. 대마법사의 도움으로 인간으로 돌아온 프랜은 자신의 차원으로 돌아갈 수 있는 돌들을 빌려달라고 부탁한다. 대마법사는 그 돌들을 자신이 다른 곳에 숨겨놓았다며, 그 숨겨놓은 장소를 찾아가 돌들을 찾아와 달라고 한다.
마침내 프랜은 모든 돌들을 찾아와 대마법사에게 주고, 이더스타의 왕궁으로 돌아가 원래의 현실로 가는 포탈을 연다. 이때 대마법사는 이 포탈은 현실과 현실 사이를 연결하는 숲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며, 그 숲에는 인간을 잡아먹으려는 괴물이 많으니 조심하라고 한다. 여기서 세 번째 미니게임이 진행된다.
본래의 차원으로 돌아온 프랜은 자신의 약병이 땅에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러나 그 약병은 알고보니 그녀를 덫으로 이끄는 미끼였다! 그물 덫에 걸린 프랜은 칼로 덫을 끊어내어 탈출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잇워드를 만나게 된다. 알고보니 잇워드는 그녀의 어릴 적 상상 속 친구였다. 그러나 사실은 '''이미 현실에 존재했으며, 프랜이 상상을 통해 그를 불러낸 것'''. 그러면서 잇와드는 '초현실(Ultrareality)'에 대해 설명해준다. 현재 그들이 있는 곳은 제 2 현실(Second reality)이며, 프랜은 제 3 현실(Third reality)의 일부이므로 제 3현실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얘기한다. 한마디로 그동안 프랜이 알약을 사용해 보았던 모습들은 초현실의 모습이라 생각할 수 있는 것. 그러면서 잇워드는 프랜에게 듀오틴 약병을 돌려준다. 그 후 다시 유저는 듀오틴을 이용해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게 된다.
잇워드는 그녀를 자신의 비행선에 태워 그녀의 현실로 데려가고, 그 와중에 생일 파티도 열어준다. 거기서 잇워드는 프랜에게 검은 고양이 인형[6]을 선물로 준다.[7] 그러던 중 그림자 괴물 카말라의 공격을 받아 비행선은 추락하게 된다. 다행히도 프랜은 자신의 현실에 도착하고, 바로 근처가 자신의 마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마침내 고양이와 함께 자신의 집으로 돌아왔지만, 문을 열기 위해 고양이를 창문으로 들여보낸 뒤 프랜은 자신을 찾아온 디언에게 붙들려 간다. 프랜은 그에게 고양이가 살아있다고 주장하지만 디언은 믿지 않으며 그녀를 부모님과 고양이가 묻혀 있는 묘지로 데려간다.[8] 비석에는 그녀의 이름이 쓰여 있었지만 '''사실 관에 묻혀 있는 것은 고양이였다.'''
디언은 관에 묻혀있는 고양이가 프랜의 고양이 미드나잇이라 말하지만, 프랜은 자신이 미드나잇을 찾아냈으며 멀쩡히 살아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의사에게 자신의 집에 지금 미드나잇이 있으니 자신의 말을 입증할 수 있다며, 집으로 데려다 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나 묘지를 나서자 마자 레모어의 습격을 받아 정신을 잃고, 깨어나보니 자신은 집의 침대에 묶여 있고 그레이스 이모는 자신에게 푹 쉬라고 얘기하고 있다. 침대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던 프랜은 초현실의 자신에게 도움을 받아 침대를 벗어난다. [9] 그 뒤 프랜은 앞서 잇워드에게 생일선물로 받았던 인형에 있던 문을 열고 들어간다.
문 뒤에서 프랜은 분열된 현실들을 만난다. 문으로 이어져 있는 그곳을 오가며 재료를 모아, 분열된 현실 중 하나에 있던 마부카를 만난다. 마부카는 분노와 절망을 먹고 사는 어둠의 존재이다. 그녀와의 만남에서 의미심장한 대화가 오간다. 마부카에게 프랜은 레모어가 자신을 공격하려 했다며, 그가 그녀의 아들이지 않느냐고 묻는다. 그러자 마부카는 그가 벌써 그녀의 머릿속으로 들어갔냐며 묻고, 아직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하자 만일 붉은색의 물약이나 콩들을 먹는다면 자신은 프랜에게 폭력을 쓸 수 없다고 말한다. 그 붉은색 콩들은 바로 프랜이 먹던 약인 '''듀오틴'''. 그 약은 프랜이 지니고 있는 힘을 깨웠고, 필수 존재의 다섯 왕국에 의해 열쇠의 파수꾼으로 선택되었다고 말해준다. 그런 뒤 그녀는 프랜에게 진실을 보여주기 위해 자신의 심장을 열어준다.
마부카의 심장으로 들어간 프랜은 고양이를 찾기 위해 해골 간호사에게 예약을 하고, 의사에게 가던 중 레모어을 만난다. 여기서 충격적인 진실이 밝혀진다.[스포]
의사의 사무실로 들어간 프랜은 우리에 갇혀 있는 미드나잇을 만난다. 그러나 그 옆에 디언은 전기 의자에 묶여 정신을 잃고 있고, 프랜은 그를 돕기 위해 그를 깨운다. 그러나 그를 깨우자 마자 이 모든 것의 '''흑막'''인 오스왈드가 공범인 '''그레이스 이모와 함께 나타난다'''. 오스왈드는 프랜을 보고 "쟤가 왜 여기 있는 거지? 쟤를 묶어놓았다고 했잖아!"라며 그레이스 이모에게 말한다. 그레이스 이모는 미드나잇이 배신자라며 프랜이 보는 앞에서 고양이를 죽여버리고, 분노한 프랜은 그녀에게 달려들어 목을 조른다. 하지만 오스왈드가 와서 그녀를 '''총으로 쏘아버린다.''' 그리고 나서 그녀의 시체에서 온기가 가시기 전에 연구에 사용할 수 있게 그녀의 뇌를 추출해야 한다고 말한다.[10]
의자에서 풀려난 디언이 와서 죽은 프랜을 보고 경악하던 중, 잇워드와 팔론트라스가 나타나서 프랜을 치료하고 오스왈드와 그레이스를 날려버리고 프랜을 치료해준다.[11] 이때 팔론트라스는 죽은 줄 알았던 미드나잇도 함께 데려온다. 살아난 프랜은 기뻐하며 디언에게 "보세요! 잇워드와 팔론트라스에요. 보셨으니깐 제 말이 진짜인 걸 아시겠죠?"라고 하지만, 그 말을 듣고 안경을 벗은 디언은 갑자기 눈에서 피를 흘리기 시작한다. 잇워드는 그를 보며 그가 이미 마부카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다고 한다. 그들은 프랜에게 함께 떠나자고 하지만, 프랜은 디언이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해 주었다며 그를 함께 데려가고 싶어 한다. 프랜의 친구들은 그가 이미 마부카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으며 그들은 손을 쓸 수 없다고 한다. 결국 프랜의 간청에 디언을 본래의 현실로 되돌려 보내고,[12] 팔론트라스는 프랜과 미드나잇를 데리고 떠난다.
엔딩 화면에서 프랜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I still don't know many things... But one thing I do know... That between guilt and fear... I chose happiness...

나는 아직 많은 것들을 모른다... 그러나 확실한 것이 한 가지 있다면... 죄책감과 두려움 사이에... 나는 행복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6. 여담


  •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주인공이 어린 여자아이이다 보니 쓰는 말이 대부분 굉장히 쉬운 편이다. 그리고 게임 내에서 대화는 전부 내가 클릭해야만 넘어가므로 사전을 찾아가면서 하면 고등학교 수준의 영어실력이라해도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큰 지장은 없다. 다만 대사량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 흥미롭게도 오스왈드 정신병원을 탈출한 순간부터 이더스타에 도착하기까지 현실과 초현실은 반전이 된다. 즉 약을 먹지 않은 상태가 초현실이고 약을 먹은 상태가 현실이다. 정신병원을 빠져나오자마자 레모어는 Security Guard를 죽이는데, 혼란을 틈타 프랜이 도망간 직후 Security Guard가 살아서 정신병원 문밖을 걸어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돼지 벌레가 쥐를 먹었으면 쥐는 분명히 죽었기 때문에 약을 먹은 현실세계에서는 쥐는 뼈밖에 남지 않았다. 문이 없는 개미의 집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약을 먹지 않은 초현실의 세계만 가능하다. 또한 개미의 집 안에서 약을 먹으면 현실의 개미집을 보게 된다. 클라라와 미아의 집을 방문하면 프랜이 약물을 먹지 않으면 클라라와 미아의 집을 보게 되지만, 오히려 약을 먹으면 현실에서 클라라와 미아의 시체가 버려졌다고 하는 우물 안을 보게 된다.[13] 프랜이 두꺼비를 타고 건넌 것은 사실 죽은 부모와 아기 시체를 타고 건넌 것인데, 약을 먹으면 현실에서 두꺼비가 보이지 않는 것과 건너온 물가의 시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두꺼비가 클라라와 미아 때문에 집에서부터 헤엄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는데, 사실 시체가 스스로 헤엄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물에 빠진 아기를 구하기 위해 뛰어든 부모 또는 어른이 아기를 구하지 못하고 죽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프랜이 They didn’t make it in time이라고 확인사살해준다. 그리고 절벽에서 다리를 건너기 전 약을 먹으면 현실에서 다리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는 해석의 여지가 갈릴 수 있는데, 첫째로 프랜이 절벽을 스스로 뛰어내렸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겨울의 코트렘 산을 상상하면서 절벽을 기어오른 것일 수 있다. 절벽 아래 기절한 상태가 팔다리가 없는 나무, 물에 젖은채로 절벽을 기어오르는 것이 팔다리가 생긴 상태, 물이 다 마르고 절벽끝에 도달하는 것이 사람 몸을 되찾은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실 프랜은 절벽을 건너고 다리를 끊은 것일 수 있다. 프랜은 높은 곳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건너오면서 이더스타를 상상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미드나잇은 약을 먹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디언 박사가 미드나잇은 무덤에서 프랜 대신 들어있는 고양이 시체가 미드나잇일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유력한 후보로 들어간다.
  • 현실과 초현실이 반전된 숲 속에서 약을 먹으면 보이는 숲의 정경도 붉은 안개와 검은 형체들이 돌아다니니 그다지 현실적이지 못하는데, 머리카락이 엉켜버린 벌레들은 약을 먹었을 때에만 볼 수 있고, 약의 유무와 무관하게 볼 수 있는 금빛 형체도 존재한다. 어디서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초현실인지 확신할 수 없게 되어있고, 모든 것이 그저 프랜의 환각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준다.
  • 이 게임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대한 오마주 격인 작품이다. 우선 프랜의 옷차림 부터가 앨리스의 옷차림과 닮았으며, 어린 소녀가 이상한 곳을 여행한다는 설정 자체 또한 닮았다. 게임 속에서도 잘 살펴보면 앨리스에 대한 오마주가 조금씩 드러난다. 예를 들어, 게임 플레이 중 또 다른 프랜과 만난 후 옷장을 살펴보면 앨리스라는 아이와 찍은 사진이 있다. 이것을 조사해 보면 앨리스가 이상한 나라(Wonderful land)에 관해 이야기 해주었다고 하는데, 앨리스의 원 제목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인것을 생각해 보면 노린 듯.
  • 현실과 초현실을 넘나드는 복잡한 구조의 이야기를 취하고 있다 보니, 이야기 속에서 던져놓고 풀지 않은 떡밥이 많다. 예를 들어서 프랜의 친구인 팔론트라스가 프랜이 이더스타에 방문했을 때 심하게 다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프랜이 다가가서 팔론트라스에게 말을 걸자 놀라더니 황급히 날아가버린다. 왜 프랜을 보고 그렇게 놀랐는지, 그리고 누가 팔론트라스를 그렇게 다치게 했는지 등의 이유를 설명해 주지 않았다.
게다가 작중에서는 오스왈드 박사가 레모어은 프랜의 허약함의 표상이며, 그 레모어가 프랜의 정신을 조종하여 부모님을 죽이게 했다고 한다. 그러나 오스왈드 박사는 프랜을 실험에 이용하려 하는 악인인데다가 프랜을 죽음에 이르게까지 하는 인물인지라, 그의 말을 믿을 수 있는지가 의문. 또한 오스왈드 박사가 마부카와 같은 프랜의 상상 속 인물에 대해 어떻게 알고 있는지와 같은 떡밥이 하나도 풀리지 않았다.
  •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엔딩에 대한 의견이 매우 분분하고, 프랜 보우의 후속작을 내달라는 의견이 다분하다. 프랜 보우 위키에 가보면 후속작을 원하는지 원하지 않는지에 관한 사용자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 후속작을 원한다는 의견이 매우 우세한 상황.
  • 제작사 Killmonday Games는 스웨덴 스톡홀름에 두 명의 게임 개발자 Natalia Figueroa와 Isak Martinsson이 세운 회사이다. Natalia는 게임 스토리 각본, 아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과 같은 부분을 담당하고 Isak은 프로그래밍과 음악을 담당한다고 한다. 프랜 보우의 모든 음악은 제작사 자체적으로 만든 오리지널 트랙이라고 하니, 이 게임의 모든 부분을 두 명이 담당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개발자들의 모습 참고로 둘의 트위터를 보아하니 사귀는 사이인 듯 하다.
  • 유튜브에 프랜 보우를 개발하는 모습을 담은 Vlog가 올라와 있다. 개발 과정이 궁금하다면 여기로. 계속해서 모습을 비추는 Natalia와 달리 Isak은 말 가면을 쓰고 나온다. 본인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이 싫은 모양. 그런데 플레이리스트의 마지막 비디오에 가면 진짜 모습이 나온다. 그냥 멀쩡하게 생긴 스웨덴인이다. 중간중간 빨간색 손인형이 등장해서 코멘트를 하기도 한다. 이름은 레드랜다.
  • 작중에 등장하는 오스왈드 정신병원은 스웨덴의 오래된 정신병원인 Fasta Paviljongen Säter을 모델로 한 듯. 위의 개발 VLog의 세 번째 영상에 잠시 등장하는데, 버려진지 오래인 듯 페인트가 다 벗겨진 문과 폐허가 된 내부가 음산하다. 스웨덴어 위키피디아에 설명이 나와있다. 스웨덴어 능력자라면 궁금하다면 읽어보는 것도 좋을 듯. 심각한 정신병이 있는 범죄자들, 그 중에서도 성범죄자와 폭력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주로 가두었다고 한다. 탈출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높은 벽을 두고 경보 시스템을 설치하는 등 삼엄한 경계를 유지했다고. 1989년에 문을 닫았고, 2002년에 화재가 나서 건물의 일부분이 불탔다고 한다.
  • 개발자 중 한 명인 Natalia에게 노란 눈의 검은 고양이가 있다. 프랜의 친구인 미드나잇은 이 고양이를 모델로 한 듯하다.
  • 제작사에서는 프랜 보우 말고도 Pixxxel, Jam Games!, Mr. Red's Adventures-The Missing Balls와 같이 무료 게임 또한 제작한 듯 하다. 제작사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으니 궁금하다면 가서 플레이 해보도록 하자.
  • 제작사 트위터를 통해 새로운 게임을 만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런데 프랜 보우 후속작은 아니라고 한다. 당연히 팬들은 후속작을 달라고 아우성.
  • 2019년 9월 19일 정신적 후속작인 Little Misfortune이 출시되었다. 세계관이 어느 정도 공유되는 것인지 배경에 루시펀들이 나무에 매달려 있거나 벌레의 모습으로 흩어져 날아가는 모습이 보인다.

[1] Isak Martinsson (코더, 게임 디자이너, 비트 메이커)과 Natalia Figueroa (아트 & 그래픽, 게임 디자이너, 음악가, 애니메이터)가 설립한 게임 회사.[2] 그러나 스웨덴의 높은 물가 때문에 개발자들은 버스 탈 돈까지 아껴가며 게임 개발에 집중하느라 궁핍한 생활을 영유했던 모양이다. 하루에 12시간에서 14시간 동안 일했을 뿐만 아니라, 돈이 들까봐 다른 사람들과 만나는 것 조차 하지도 못했다고 한다! 결국 후원금을 다 까먹고 본인들의 사비를 들여서 게임을 개발했다고 한다. 중간에 개발자 중 한명인 Isak의 할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정신적으로는 매우 힘들었지만 한편으로는 할아버지가 물려주신 돈 덕분에 겨우 개발을 끝마칠 수 있었다고. 약간 찡한 대목이다. 후원금 $28,000와 사비 $24,000을 합쳐서 총 $52,000가 들었다고 한다. [3] 어사일럼(Asylum)은 '''정신병원'''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4] 하지만 처음부터 이렇게 태어난 것은 아니었다. 오스왈드의 실험으로 이렇게 끔찍한 모습이 된 것. 사실 그녀들은 이미 죽은 뒤였다. 그들의 몸을 꿰맨 뒤 부작용을 보이다 몇달 뒤 죽었고, 오스왈드는 그녀들의 시체를 병원 밖 우물에 던진 것이다. 프랜은 아마 초현실에서 그녀들을 만난 것이라 추정된다.[5] 성냥, 레몬, 물고기, 깃털.[6] 미드나잇과 상당히 닮아있다.[7] 여기서 앞서 나왔던 바퀴달린 부엉이를 보게 된다. 비행선을 돌아다니다 보면 클라라와 미아도 만날 수 있다.[8] 여기서 프랜의 풀 네임이 프랜 보우 다젠하트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대겐하트라는 이름은 독일 성 Degenhar(d)t의 또 다른 형태로, 고지 독일어(현대 독일의 표준어)의 고어로 어린 용사를 뜻하는 'degan'과 용맹함을 뜻하는 'hart'를 합친 이름이다. 용맹한 어린 용사라는 뜻으로, 프랜에게는 더없이 적절한 이름이다.[9] 이때 나누는 대화가 의미심장하다. 프랜은 초현실의 자신에게 잇워드의 얘기를 하며 비행선의 추락에 대해 얘기하고, 초현실의 프랜은 현실의 프랜이 '부서져서(broke)' 초현실을 넘나들 수 있다고 얘기한다. 프랜은 깜짝 놀라며 자신이 죽었냐고 묻고, 초현실의 프랜은 그것은 아니라며 죽음은 단지 정신적인 상태에 불과하다고 얘기한다. 엔딩을 생각하면 꽤나 의미 있는 복선.[스포] '''바로 프랜의 부모님을 죽인 사람은 프랜이었다.''' 그러나 많은 유저들이 이 사실에 대해 다른 의견을 지니고 있다. 있는 그대로 프랜이 그녀의 부모님을 죽였다고 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것은 레모어가 보여준 환영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견 또한 있다. 대체로 오스왈드가 프랜을 연구에 이용하기 위해 그녀의 부모님을 죽였고, 그 사실을 감추기 위해 그녀를 세뇌하려 시도했으며 그것이 레모어라는 존재로 나타났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아무래도 이 게임이 수많은 상징을 활용하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니 있는 그대로의 해석은 지양해야 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스왈드의 대사에서도 '조종했다'는 표현을 하거나, '내 연구를 위해 방해하는 부모를 죽여야 했다'는 등의 이야기를 감안하면 프랜이 도구로서 조종당했다는 느낌이 강하다.[10] 이때 오스왈드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이 순간을 몇 년간이나 기다렸어! 알맞는 아이, 알맞는 뇌를 찾기 위해서." 이것 때문에 오스왈드가 프랜의 부모를 죽인 장본인이라는 설이 우세하다. [11] 잇워드를 보고 화들짝 놀라는 디언에게 잇워드는 "수많은 아이들이 당신에게 말했던 바로 그 존재지."라고 한다. 정신병원에 갇힌 아이들이 디언에게 잇워드에 대한 얘기를 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대목이다. 곧, 잇워드는 프랜뿐만 아니라 많은 아이들의 '상상 속 친구'이며, 이것은 그가 프랜의 상상 속에서 만이 아니라 별개로 존재하는 개체라는 것을 말해준다. 한 마디로 이 게임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이 '''프랜의 환상은 아니라는 말'''인 것이다.[12] 팔론트라스는 프랜에게 자신이 이 모든 것에 대한 디언의 기억을 지울 것이며, 결국 프랜에 대한 기억 또한 지워질 것이라 말한다. 하지만 프랜은 디언을 위해서라면 괜찮다고 말한다. 꽤 짠한 대목.[13] 이때 두 구의 해골들을 조사하면 프랜이 아기라고 부르는 것을 보아 다 어린아이 시신들이다. 나머지 하나는 태반까지 달린, 아직 썩지 않고 남아있는 아기 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