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협주곡 5번(라흐마니노프)
1. 개요
원곡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문서 참조.
알렉산더 워렌베르크가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2번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5번 이라는 이름으로 편곡한 작품으로 총 3악장으로 이루어진 피아노 협주곡이다.
2000년 네덜란드 출신의 피터 반 빙켈은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 인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2번을 듣고 종종 피아노 사운드를 상상하곤 했다. 그러다가 이 화려한 음악에서 실제로 협주곡을 만들면 어떻게 될지 생각해보고이 아이디어를 그의 전 피아노선생님이었던 러시아 작곡가 알렉산더 워렌베르크에게 제기했다.
처음에, 워렌베르크는이 개념에 완전히 깜짝 놀랐고, 아이디어를 조금 더 생각해본 후에 그는 그것을 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 이 협주곡을 개발하는 첫 번째 단계는 라흐마니노프의 자손들에게서 허가를 얻는 것이었고 라흐마니노프의 손자인 알렉산더 라흐마니노프가 살고 있는 스위스의 루체른 호수의 한 빌라로 찾아갔다.[1]
반 방켈과 워렌베르크는 그곳에서 직접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으며 알렉산더는 그 아이디어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허락을 받아냈다.
워렌베르크는 단 6개월 만에 솔로 피아노 파트의 첫 번째 초안을 마쳤고. 그는 오케스트레이션에 2년을 보냈다. 거의 하루 22시간 씩 일했다. 원래 교향곡은 4악장까지 있었는데 워렌베르크는 이 교향곡에서 많은 변화를 주었고, 적절히 2악장과 3악장을 섞어 총 3악장으로 이루어진 피아노 협주곡으로 만들어 냈다.
1.1. 특징
이 곡엔 재밌게도 이전의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에서 따온 형태들이 꽤 보이는데[2] , 1악장의 1주제가 나오는 부분에선 대놓고 협주곡 3번의 1악장 1주제의 형태를 오마주한다. 또한 3악장 튜티[3] 시작하기전 피아노의 짧은 하행 카덴차도 협주곡 3번의 3악장 튜티 전 하행 카덴차에서 따온듯한 모습을 보인다. 3악장의 마지막 튜티 파트는 협주곡 2번의 마지막 튜티에서 따온듯한 형태[4] 를 보이며 1악장 전개부의 중간과 3악장 곡이 끝나기 전에는 협주곡 1번의 인트로 부분의 피아노 형태가 나온다. 또 중간중간 협주곡 4번의 3악장 2주제 형태도 적지않게 보인다. 그리고 라흐마니노프 소나타,협주곡,연습곡 등에서 종지에 흔하게 쓰인 양손이 번갈아가며 빠르게 하행하는 형태 역시 쓰였다.
1.1.1. 여담
- 곡의 난이도는 상당히 어렵다. 5번까지 합친 곡의 난이도 순서는 3 > 5 > 2 > 1,4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