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주의
1. 정치학의 형식주의
形式主義, formalism
1.1. 개념
형식주의는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내용보다 의식이나 절차 선례 관습등에 집착하는 성향을 형식주의라고 한다. 실질적인 목적보다 표면적인 현상에 행정력을 낭비하여 행정 목적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특징
형식주의 문화가 강조된다면 절차가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공권력이 낭비된다. 그리고 비능률화 될 뿐만 아니라 목적과 수단이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목적 달성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형식주의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실질적인 책임보다 법적 책임이 강조되고 선례 답습주의에 빠지게 되어 보수성이 나타나 조직의 발전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과도한 서면주의 또는 문서만 중요시 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복잡해질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모든 사무가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일정한 양식과 절차에 의해 모든 행정 활동을 문서로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권리와 책임은 문서에 의해 확인되어 결국 일을 실질적인 내용보다 형식적인 것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생긴다. 목적 가치에만 지박하여 수단 가치를 너무 무시하면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침해하는 것이 생기기 때문에 너무 형식에만 치우쳐 있으면 결국 근본 목적을 망각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형식주의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내용 자체가 무의미한 것[1] 이라 형식만이 남게 된 것, 그리고 내용 자체는 유의미하지만 실무자들이 귀찮아서 형식만 집행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불필요한 형식 자체를 철폐해야 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실무자들의 업무 부담의 과중 여부에 따라 군기를 잡거나 포상의 방식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형식주의는 대개 부정적으로 인식되지만 사실 긍정적인 면도 있다. 시대가 지나면서 불필요해진 구습, 독재자 개인의 목적으로 추진하는 잘못된 정책 등은 이상적으로 생각했을 경우 아예 철폐해버리는 게 최선책이지만 현실적으로 그러기는 힘들어서 적당히 형식만을 갖추는 것으로 타협하면 그나마 삽질을 줄일 수 있다. 이쪽 사례로 제갈량이 있는데, 남만 정벌 이후 풍랑을 잠잠하게 하기 위해 원래는 사람의 머리로 제사를 지내야 했지만 차마 그럴 수는 없어서 만두를 만들어서 적당히 때웠다는 이야기다.
2. 문학의 형식주의
2.1. 개념
문학에서 형식주의는 보통 1910~20년대 러시아에서 발생하고 유행했던 비평 이론을 일컫는다. 러시아 형식주의(Russian Formalism, Русский формализ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형식은 문학을 문학답게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그러한 형식이 두드러진 문학이 진정한 문학이라고 생각했다. 형식주의 계열의 이론가들중 유명한 인물로는 로만 야콥슨[2] , 빅토르 시클롭스키, 유리 티냐노프, 보리스 에이헨바움 등이 있다.
2.2. 특징
형식주의 이전 19세기부터 내려온 문학 연구 방법이란, 보통 문학 작품에 담긴 작가의 의도는 무엇인가,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의미를 미치는가, 작품이 어떤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창작되었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 보면, 작가의 의도니, 독자의 수용, 창작 맥락 등은 어디까지나 작품 외적인 요소이지 작품 그 자체가 품고 있는 요소는 아니다.
러시아 형식주의의 골자는 '문학을 문학답게, 예술답게 하는 내재적 요소, 즉 형식이 있다', '문학 이론과 비평은 문학의 형식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를 예로 들어보자. '전쟁과 평화'라는 글은 왜 소설인가? 민중의 힘을 강조하려는 톨스토이의 의도, 톨스토이의 소설을 읽은 독자의 감상, '전쟁과 평화'가 창작된 시기적 맥락 때문일까? 완전히 틀린 대답은 아닐 수 있지만, 가장 우선적인 대답은 '전쟁과 평화'라는 글이 소설이라는 문학적 형식으로 창작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형식주의는 이 형식 때문에 문학은 예술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나아가, 현실을 최대한 그대로 재현하려는(사실주의적) 예술보다는 형식을 두드러지게 하는 예술(아방가르드적) 예술이 보다 훌륭한 예술이라고 보았다.
3. 철학의 형식주의
인식론에서 형식을 인식의 보편타당성 근거라고 생각하는 칸트·신칸트주의의 주장이다.
4. 윤리학의 형식주의
형식적인 도덕 법칙을 도덕의 근거라고 생각하는 칸트의 주장이다.
5. 공예학의 형식주의
내용미가 아니고 표현 방법에서 미의 원리를 구하는 헤르바르트 등의 주장이다.
6. 수학의 형식주의
수학의 이론은 어떤 종류의 기호 열(列)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형해서 얻어지는 기호 열(列)의 총체에 불과하다고 하는 주장. 독일의 수학자 힐베르트가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