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鼎'''솥 정
'''부수
나머지 획수'''

鼎,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미배정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テイ''
'''일본어 훈독'''
''かなえ''
'''간체자'''
-
'''표준중국어 독음'''
dǐng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지명
4. 부수
4.1.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솥 정(鼎).
鼎자는 고대 중국의 그릇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솥을 의미한다. 세 다리와 양쪽 귀를 달고 있는 삼족정(三足鼎)의 형태#이며 요리나 제물의 용도로 쓰였다고 한다. 또한 솥은 고대 중국 왕조에서 왕실의 상징으로도 쓰였는데 하(夏)의 시조인 우(禹)가 중국 전역에서 모은 청동으로 주조한 구정#s-1이란 솥이 역대 왕조들의 왕권의 상징이 되어 계승되었고 하를 멸하고 뒤이어 들어선 상(商)과 또 상을 멸한 주(周)에서도 이 구정을 왕실의 소유로 두었다고 한다.
유니코드는 9F0E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2급으로 분류된다.
발이 셋 귀가 둘인 삼족정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지명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釜山廣域市 機張郡 鼎冠邑) - 정관신도시
  • 전라북도 익산시 정족동(全羅北道 益山市 鼎足洞)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동(京畿道 高陽市 一山東區 鼎鉢山洞)

4. 부수



명칭 : 솥정부
강희자전에 206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열네 자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솥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부수로 쓰인 예시로는 鼐(가마솥 내) · 鼏(소댕 멱) · 䵼(익힐 상) 이 있다.

4.1.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 솥정부
  • 일본 : てい・かなえ
  • 영미 : Radical trip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