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연수

 




1. 개요


[image]

'''나를 가로막는 하늘이라면, 나는 그 하늘조차도 베고 나아갈 것이야!'''[1]

'''내 욕망에 솔직 했을 뿐이네!'''

고구려의 국상. 배우는 최동준. 야인시대에서 독립군 장군 김좌진, 불멸의 이순신에서 일본군 해군 수장 도도, 대조영(드라마)에서 당나라의 영주 감독관 조문홰, 천추태후(드라마)에서 고려 장수 대도수역으로 여러 대하 사극에 캐스팅된 전력이 있다.

2. 상세


고구려의 국무총리급인 국상의 직책에 있으며 대왕에 버금가는 고구려 전역에 영향을 끼치는 강대한 권력을 갖고 있으나, 그 권력을 즐기거나 탐하지는 않는다. 감정적이지 않고 냉정하고 엄격하게 일을 처리한다.
세력의 축소를 우려하는 측근들의 간언에도 불구하고 공신은 공을 세운 만큼 엄격하게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담덕에 대한 오해로 흥분해 담덕에게 칼을 들고 뛰어가는 담망을 직접 나서 막아서고, 왕 다음가는 지위에도 불구하고 적에게 그대로 노출되는 위험한 작전에도 뛰어드는 등[2] 담덕과는 추구하는 방법만 달라 대립할 뿐, 애국심과 능력은 대단한 인물로 묘사된다.

하지만 첫째 왕자가 아닌 담덕이 지나친 칭송을 받는 점, 강력한 원칙주의자이자 전쟁을 막기 위해 왕권을 넘나드는 월권 행위와 나라의 굴욕도 감수하는 본인의 방식과 왕권의 위협과 국가의 치욕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 담덕의 성향이 대립해 수차례 마찰을 빚고 결국 자신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인물이라 판단하고 견제하고자 한다. 자신이 추진하던 정책 과정에서 이춘성의 성주 가렴의 비리가 밝혀지자 오히려 자신의 일파인 가렴을 앞장서서 처형해 버린다. 말로는 관리들의 기강을 위한 일벌백계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명백히 죄가 밝혀진 그를 자신의 편이라고 쉴드쳤다간 오히려 더 독이 될 것이란 판단을 한 것.
이후 후연에 가 있는 담덕이 모용수 암살미수 누명을 쓰고 후연에 간 딸 도영이 실종되는 사태까지 발생하는 마당에 담덕에 대한 정보를 가져온 후연의 간자들과 접촉하면서 조정에서 의심받는 상황에 처하자[3] 폭발하여 '''담덕의 어리석은 행동으로(모용수 암살 시도) 겨우 화친을 맺은 후연과 전쟁이 재개될 상황에 처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대부분의 대신들을 포섭해 반란을 일으켜 고구려를 한바탕 뒤집어 놓는다. 사병들을 동원해 반대세력들을 제거, 그리고 생포하지만 고무 대장군의 등장으로 전세가 뒤집힌다. 고구려 만백성에게 존경을 고무 대장군의 등장으로 개연수가 믿었던 중앙군도 움직이지 않았고 결국 편전으로 도망쳤다가 45화에서 궁궐에서 그토록 대립해온 담덕과 최후의 승부를 벌이고 결국 으앙 죽음.
그래도 단순히 자기욕심만을 위한 반란은 아니였는지 자신의 뜻에 반대하는 태학 학생들이라도 고구려의 미래라는 이유로 어떻게든 살리려고는 한다. 사실상 이 사극에서 몇 안 되는 입체성이 보이는 캐릭터.[4] 궁지에 몰리자 내뱉은 '''"나를 가로막는 하늘이라면, 내가 그 하늘을 베고 나아갈 것이야!"'''라는 대사는 이 작품에서 몇 안되는 명대사로 평가받으며 극 전반부를 실질적으로 주도해나간 캐릭터. 초반부의 여러 사건들에 개연수가 빠진 적이 없다.[5] 이후 대왕의 꿈에서 '''연개소문'''으로 캐스팅되었다.

[1] 담덕의 편에 서서 자신을 막아선 사갈현에게 한 말로, 예고편에서도 언급된 개연수의 명대사이다.[2] 군량미를 몰래 옮기기 위해 스스로 가짜 군량미를 운반하는 수송단을 지휘하며 적을 유인했다.[3] 담덕을 노예시장에서 괴롭혀댄 노예상이다.[4] 물론 '''실제 고구려'''를 생각하면 이 캐릭터도 문제가 많다. 조선시대에 비해 왕권과 신권의 구분이 아직 확실하지 않던 삼국시대라곤 하나, 이때 고구려는 왕과 그 일족의 힘이 이미 '''정점'''에 달한 시기였다. 즉 아무리 국상이라도 왕자와 대놓고 마찰을 빚기는 어려웠다는 것. [5] 오죽했으면 드라마 제목을 <광개토태왕>이 아닌 <국상 개연수>로 하자는 말까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