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지

 

1. 개요
2. 용도
3. 현재
4. 관련 문서

[image]

1. 개요


更紙
종이의 일종으로, 질이 낮은 종이다. 특유의 누런 색깔로 유명한데, 그 이유는 폐지와 펄프원료를 섞어서 만들다 보니 보통 원래 흰색이어야 할 종이지만 백색도가 낮아 누렇게 뜨거나 다른 종류의 색깔로 탈색되는 경우가 많아 이런 색이 되는 것이다. 흔히 똥종이라고 불리며, 대한민국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시험지 및 가정통신문 용지로 자주 보던 그 종이이다.

2. 용도


과거에는 신문을 인쇄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했다. 단가도 일반적인 사무용지와는 비교도 안되게 저렴하기도 하고 기름의 흡수도가 좋기 때문에 잉크가 쉽게 마른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황색언론이라는 단어가 신문을 인쇄하는 갱지의 색깔이 노란색이라서 생긴 단어다.
1980년대에는 정말 심하게 저렴했는데 10원을 주면 거의 공책 한권에 있는 종이 숫자만큼(25매) 갱지를 살 수 있었다. 100원 어치 사면 요즘 나오는 A4지 1포 분량만큼(250매) 살 수 있었다. 그래서 일부 학생들은 공책사라고 돈을 주면 갱지를 사다 실로 공책처럼 엮어서 사용하고 남는 돈을 오락실 가는데 사용하기도 했다.
학생들 사이에서 연습장 용도로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다. 인터넷 쇼핑을 통해 2500장에 만원에서 만오천원 가량에 판매되고 있기때문에 1,2년치 연습장 분량치고 비교적 굉장히 저렴하다.

3. 현재


가장 많이 볼수 있는 곳은 바로 만화책. 대부분의 만화책이 저렴한 갱지인 "만화용지"를 사용한다. 가볍게 보는 특성을 이용해 원가절감을 한 것.
그 외에는 학교 안내장이나 신문을 제외하고 거의 제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갱지보다 훨씬 고급 종이들이 널린 데다가 가격 차이는 얼마 나지 않지만 탈색이 안된다는 큰 장점을 가진 중성지도 엄청 저렴하기 때문이다. 또 갱지의 표면 질감은 굉장히 거칠며 미세하게 표면이 일어나서 프린터에 넣으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에서는 종이 제작 기술이 매우 조악해서 아직도 주요 도서나 잡지에조차 갱지를 사용한다.[1].
갱지로 된 연습장도 판매되는데 가성비가 좋아 학생들에게 수학문제 푸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부담없이 막 쓸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외국에서는 펄프픽션 류의 소설들은 갱지로 출간한다. 이는 싸게 사서 한 번 보고 그냥 버리는 용도라 그런 듯 하다. 물론 양장이나 한정판의 경우에는 좋은 품질의 종이를 쓴다.

4. 관련 문서



[1] 윗 동네 갱지는 재료부족으로 옥수수대와 껍질 등을 섞는다. 당연하지만 우리가 쓰는 갱지보다 훨씬 품질이나 수명이 떨어진다. 어느정도냐면 이걸로 40페이지 정도의 잡지를 만들면 '''너무 얇고 힘이 없어서 제대로 된 제본이 힘들 정도'''고, 그나마 품질이 좋다는 내각기관지 민주조선도 몇 면 넘기면 책상바닥에 먼지가 수북하게 쌓일 지경이다.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등지에서 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 교과서 진품을 볼 수 있는데 이런것들은 차라리 이집트 파피루스가 낫겠다(...)싶을 지경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