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산

 



1. 개요
2. 방법
2.1. 덧셈
2.2. 뺄셈
2.3. 곱셈
2.4. 나눗셈
2.4.1. 나머지가 없는 경우(나누어떨어지는 경우)
2.4.2. 나머지가 있는 경우(나누어떨어지지 않는 경우)
3. 기타


1. 개요



대한민국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나오는 개념으로, 계산이 맞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는 또 다른 계산.[1] 덧셈뺄셈, 곱셈나눗셈서로 반대라는 점을 이용한다.
이외에도 역원[2]이 있는 연산이라면 검산이 가능하다.

2. 방법



2.1. 덧셈


덧셈의 검산은 뺄셈을 이용한다.
예) 1+2=3 => 검산) 3-2=1 또는 3-1=2

2.2. 뺄셈


뺄셈의 검산은 덧셈을 이용한다.
예) 3-2=1 => 검산) 1+2=3 또는 2+1=3

2.3. 곱셈


곱셈의 검산은 나눗셈을 이용한다.
예) 2×3=6 => 검산) 6÷3=2 또는 6÷2=3

2.4. 나눗셈


나눗셈의 검산은 곱셈을 이용한다. 아래 두 경우를 모두 포괄하는 일반적 검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나누는 수)×(몫)+(나머지)=(나눠지는 수)
또는
(몫)×(나누는 수)+(나머지)=(나눠지는 수)

2.4.1. 나머지가 없는 경우(나누어떨어지는 경우)


예) 6÷3=2 => 검산) 2×3=6 또는 3×2=6

2.4.2. 나머지가 있는 경우(나누어떨어지지 않는 경우)


예) 7÷3=2…1 => 검산) 2×3+1=7 또는 3×2+1=7

3. 기타


P-NP 문제가 검산에 관련된 난제이다.
[1] 그러나 그 검산에서 오류가 없으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검산에서도 실수를 하면 답이 없다.[2] 지수로그, 미분부정적분, 서로 역함수 관계인 함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