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
기호: '''×''', '''⋅''', '''*'''
한국어: 곱하기
한자어: 승산(乘算)
영어: times(곱하기), multiply(곱하다), multiplication, product(곱셈)[1]
일본어: 掛け算(かけざん)
1. 개요
가장 잘 알려진 이항연산이자 사칙연산의 하나로, 어떤 수를 거듭해서 더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덧셈과 뺄셈을 배우고 나서 곱셈을 배우게 된다. 보통 초등학교 2학년 때 배우나, 과거 일제강점기 간이학교에서는 1학년 때 배우기도 했다.[2]
2. 기호
항상 $$+$$나 $$-$$로 표기되는 덧셈/뺄셈과는 달리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투명 기호(…)[3] 부터 시작해서 가장 기초 수준에서 배우는 ×[4] , 중등 교육 과정에서 사용하는 ⋅[5] , 두 벡터로 텐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 컴퓨터에서 X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6] 등등….
초등학교에서 처음으로 배울 때 쓰이는 곱셈 기호 $$\times$$는 윌리엄 오트레드가 산술의 원리를 논하기 위해 1631년에 쓴 책 <수학의 열쇠>에서 처음 쓰였다. 이 당시만 해도 곱셈은 매우 수준 높은 연산이어서 대학교에나 가서 배울 수 있던 지식이었는데, $$\times$$의 도입으로 처음으로 곱하기를 추상화할 수 있게 된다. 여담이지만 원래 $$+$$를 쓰려 했는데 이미 존재해서 '그래? 그럼 돌려!' 해서 나온 게 이 기호라는 속설이 있다. 이 책에서는 뺄셈에 ~ 기호를 사용했다.
또한 기호 ·는 동시대 수학자인 토마스 해리엇이 자주 썼으며, 후에 라이프니츠가 본격적으로 채용한 뒤로 널리 퍼졌다고 한다.[7]
투명 기호는 숫자와 문자, 문자끼리의 곱에서만 쓰인다. 델( $$ \nabla $$ )에 투명 기호가 쓰인 것은 그래디언트라는 미분 연산으로 따로 정의한다.
급수의 곱하기는 [math(\Pi)]를 쓴다.
3. 정의
초등학교에서 곱셈을 처음 배울 땐 덧셈의 반복 횟수로 배우는 것이 보통이다. $$2+2+2=6$$에서 2가 3번 더해졌으니 $$2×3=6$$으로 배우는 것. 하지만 이 개념으로 곱셈을 인지하고 있다가 수 체계의 범위가 넓어질 때, 즉 $$(-2)×(-3)$$같은 음수 곱하기 음수나 분수 곱하기 분수 등으로 넓어지는 때에 조금씩 흔들리다가 $$(0.12)×(5.3)$$같은 소수 곱하기 소수 등에 다다라서는 이해의 한계에 도달하는 게 보통이다. 0.12를 5.3번 더하는 게 도대체 무슨 뜻일까?
그러다가 아예 $$π×e$$같은 일반적인 실수 개념으로 넘어오면 그냥 덧셈의 확장으로 곱셈을 이해하는 쪽이 손해. 사실 실수와 실수간의 곱셈은 실수의 완비성이 엄밀하게 정의되어야 하는 등 기초작업이 많이 필요한 일이지만 고등학교에서는 "곱셈? 그거 그냥 두개 붙이면 되는 거 아닌가?" 하고 그러려니 하고 넘기며, 유리수같이 이런 개념으로 커버할 수 있는 부분이 되면 덧셈->곱셈 개념으로 잠깐씩 생각하는 게 보통.
하지만 그렇다고 덧셈에서 곱셈으로 생각하는 개념에 의미가 없다고는 못한다. 덧셈에서 곱셈으로 확장되듯이 곱셈도 "몇 번 곱해졌나"의 개념으로 지수로 확장될 수 있으며 실수/허수로 들어서면 이런 사고방식 또한 무뎌진다. 지수 역시 테트레이션이라는 상위의 연산으로 확장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지수와 같은 방식으로 실수같은 간극이 메워질 수 있다. 이것이 하이퍼 연산 개념으로, 수학적 합리성을 추구하기 위한 엄밀한 정의라는 개념을 벗어난 상당히 직관적인 과정이 수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반대 과정 역시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 로그를 쓰면 곱셈을 덧셈으로 취급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로그 문서 참조.
대학에서 대수학을 추상적으로 배우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보통
- 군 구조에서
- 가환일 것.
하지만 이게 성립하지 않는 군도 있다. 벡터(의 외적)와 행렬이 대표적인 예. 특히 벡터는 곱셈을 다양하게 정의하는데다 일반적인 "곱셈"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전신인 사원수가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
기하학적으로는 유클리드 공간상에서 각 축에 평행한 선분으로 구성된 도형[8] 의 측도를 구하는 연산으로 볼 수 있다.
4. 예제
곱셈구조는 상당히 다양하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이 중 첫번째는 (홀수)×(홀수) = (홀수), (홀수)×(짝수) = (짝수), (짝수)×(홀수) = (짝수), (짝수)×(짝수) = (짝수) 라는 대표적인 예제가 존재한다.
또한 (양수)×(양수) = (양수), (양수)×(음수) = (음수), (음수)×(양수) = (음수), '''(음수)×(음수) = (양수)''' 라는 성질머리도 존재한다.
이외에도 다음 성질이 있다.
- 일반적으로[9]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즉 $$ ab = ba $$ .
- 일반적으로[10]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즉 $$ (ab)c = a(bc) $$ .
-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즉 $$ a (b + c) = ab + ac $$ .
- 일반적으로[11] 항등원은 1이다. 즉 1을 아무리 곱하거나 나눠도 아무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5. 곱셈의 역원 - 나눗셈
곱하는 것이 있다면 나누는 것도 있기 마련인데 이를 나눗셈이라고 한다. 초등교육 과정에서는 ÷이라는 기호를 쓰나, 그 정체는 다름아닌 분수. 그래서인지 중등 교육과정부터는 아예 분수를 곱하는 것으로 나눗셈을 대체한다. 많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나눗셈을 나타낼 때 ÷ 대신 /를 사용한다.[12]
나눗셈을 할 때 주의할 것이, '''0으로 나눠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0의 특성상 0을 곱해서 0이 아닌 수가 나올 수가 없기 때문이다.[13]
[14]
기타 자세한 내용은 나눗셈 문서를 참조.
6. 기타
개요에서 서술했듯이 곱셈 기호로 여러가지를 사용하고 하나의 식에서 그것이 혼용이 되어서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간혹 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48÷2(9+3) 참고. 비슷하게 나눗셈이 포함된 식에 ÷과 /를 혼용할 경우도 키배가 벌어진다. #
일명 ‘인도식 계산법’으로 알려진 선을 이용한 계산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a와 b라는 숫자가 있다면, a를 가로방향, b를 세로방향으로 선을 긋되 자리수 별로 평행하게 그어, 둘에 교차점을 더하는 방식으로 답을 구하는 방식이다. 한국과 일본에선 흔히 ‘인도식' 계산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계산법이 인도에서 처음 쓰였다는 명확한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서양에서는 '일본식' 곱셈 계산법(Japanese multiplication)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밖에도 중국에서 쓰였다는 설이 존재하는 등, 이 계산법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는 바가 없다.
[1] 계산을 할 때는 2 '''times''' 8 is sixteen 식으로 쓰지만, '나 학교에서 곱하기를 배웠어' 라고 할 때는 '''multiplicat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2] 1940년 발행된 간이학교 산수 교과서 1단원의 ‘前學年ノ復習’(현대 일본어로 쓰면 前学年の復習. 직역하면 ‘전 학년 내용 복습하기.) 단원에 곱하기 문제가 일부 수록돼 있다.[3] 미분방정식에서는 경사를 뜻한다.[4] 벡터에서는 외적, 미분방정식에서는 회전을 나타낸다.[5] 벡터에서는 내적, 미분방정식에서는 발산을 나타낸다.[6] 수학에서는 쌍대, 합성곱, 켤레전치 등의 용도로 쓰인다.[7] 해리엇은 또한 지수 기호, 부등호 역시 발명하고, 갈릴레이와 독립적으로 흑점을 발견하는 등, 상당히 많은 일을 했던 사람이다. [8] 직사각형, 직육면체 등[9] 사원수, 벡터, 행렬 등은 제외[10] 팔원수 등은 제외[11] 행렬은 항등원이 하나 더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행렬 참조.[12] ÷기호 자체가 기본 키보드로는 칠 수가 없는 문자이기도 하다.[13] 0의 역원 1/0=무한대라는 오해가 있는데, 무한대는 실수 집합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틀린 말이다. 무한대를 포함하는 확장된 실수에서는 $$\infty^{-1} = 0$$이라고 정의하지만 $$0 \cdot \infty$$ 또는 $$0^{-1}$$의 값은 여전히 정의되지 않는다. 약간 어거지를 부려서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0^{+}}{x} = 0$$의 역원이 $$\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0^{+}}{\frac{1}{x}} = \infty$$라고 하면 말은 되겠지만 이것은 $$ \forall \epsilon > 0$$인 $$0 + \epsilon$$의 역원을 묻는 문제이지 0의 역원을 묻는 문제가 아니다.[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