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홈페이지

1. 개요
2. 학부
2.1.1. 건축학전공
2.1.2. 건축공학전공
2.3.1. 금속신소재공학전공
2.3.2. 전자재료공학전공
2.4. 에너지공학부
2.5. 응용화학공학부
2.5.1. 응용화학전공
3. 공과대학의 주요 동문


1. 개요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12호관'''
경북대학교공과대학.
영문 명칭은 '''College of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이다.
1968년 문리과대학 내에 고분자공학과, 전자공학과가 신설되고, 1970년 전자공학과, 고분자공학과, 금속공학과, 기계공학과, 응용화학과, 공업교육과 등 6개학과로 공과대학이 설립되었다. 현재는 5개 학부, 4개 학과에 재직교수 117명과 학부생 4,360여명, 대학원생 890여명이 재학하고 있다.
비서울소재 대학이라는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1999년 교육인적 자원부의 BK21사업 과학기술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원 사업단”으로 선정되었고, 2002년 지난 3년간의 중간 평가에서 참여사업단 중 광주과기원과 한양대학교를 제치고 1위로 평가받아 세계적 수준의 기계기술분야 교육 및 연구기관으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2006년 4월 지방대학중 기계분야에서는 유일하게 2단계 BK21 과학기술분야의 전국 대형사업단에 선정되어 국내 최고의 연구중심 대학원으로 위상을 확립하였다. 2004년 6월 교육부의 지역혁신역량강화사업에 “디지털 메카트로닉스 융합기술 인력 양성사업”이 선정되어 매년 30억씩 5년간 150억원을 지원받아 본 대학의 위상제고에 기여를 하고 있다.
공과대학 졸업생들은 매년 대학원 진학 및 삼성, LG, 현대등 국내외 유수 대기업으로 대부분 진출하고 있어 국가 및 지역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핵심적인 중추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장학금은 우수 신입생 및 학업성적이 우수하거나,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학생등에 혜택을 줄 수 있는 등록금 면제 및 교내, 외 각종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공과대학의 건물은 1호관부터 13호관까지 총 13개가 있었으나, 5, 10, 11, 13호관이 IT대학 소속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9개이다.

2. 학부



2.1. 건축학부


[image]
학과 홈페이지
1981년 건축공학과로 개설되었다. 2002년 학부과정을 건축학부로 개편, 확대하여 전공영역을 '''건축학 전공'''과 '''건축공학 전공'''으로 분리하였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2호관에 위치해 있다.

2.1.1. 건축학전공



건축학 전공은 국제 수준의 건축학교육인증 조건에 부합하는 5년제 전문건축학위과정으로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목이 ‘건축설계’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다. 건축학 전공자는 ‘설계’를 공부하며, 5년 과정으로 학교를 다닌다. 이들은 졸업하면 주로 설계사무소에 취직하는데, 규모가 큰 기업부터 규모가 작은 건축 스튜디오 개념인 아틀리에까지 그 범위는 다양하다. 설계사무소에서 실무경력을 쌓은 후 건축사 시험에 합격하면 건축사 자격이 주어진다.

2.1.2. 건축공학전공


건축공학 전공은 건축구조의 설계와 해석, 시공의 제반과정, 건축재료와 공법, 환경 등을 다루는 학문으로, 역시 국제수준의 공학교육 인증조건에 부합하는 4년제 과정으로 특화되어 있다. 건축공학 전공은 ‘시공’을 공부하며, 4년 과정으로 학교를 다닌다. 건축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주로 건설회사에 취직하며, 시공회사, CM분야, 플랜트 분야 등 다양한 길이 있다. 그밖에 공기업이나 공무원 등으로도 진출한다.

2.2. 기계공학부


[image]
학과 홈페이지
1968년 설립된 기계공학과와 1993년 신설된 기계설계학과가 1995년에 통합되어 만들어진 학부이다. 4학년에 진학할 때 기계공학전공과 기계설계학전공, 로봇공학전공으로 세부전공이 나뉘어진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3호관이다.
실생활에 필요한 기계의 설계와 생산, 자동차•초고속 열차와 같은 운송수단, 인공위성•로봇•인공장기와 같은 첨단 기술에 대해서 배운다. 기계 관련 전공 이외에도 전자, 컴퓨터, 물리 등의 다양한 분야와 결합한 전공 수업을 많이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의 학업에 지장이 없도록 지원도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광역경제권 선도사업,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그리고 BK21+ 사업 등으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높은 취업률을 자랑한다. 진로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편이다. 로봇,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 융합하여 전자, 화학, 건설, 발전, 기초 소재 산업의 사기업 및 공기업에 진출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삼성, 현대, SK, 포스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등이 있다. 또한 기계공학 및 기계설계학 관련 연구기관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거나 석박사 및 post doctoral research 과정을 거쳐 기계공학 혹은 기계설계학 연구자로 가는 졸업생들도 있다. 직이수를 하여 공고의 교사가 되거나 5,7,9급 기술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2.3. 신소재공학부


학부 내 세부전공으로 '''금속신소재공학전공''', '''전자재료공학전공'''이 있다. 신소재공학부에 입학하면 다른 공과대학 학과와 마찬가지로 A, B반으로 나뉘게 되는데, A반은 금속신소재공학전공, B반은 전자재료공학전공이다. 물론 꼭 정해진건 아니라서 2학년 진급시에 본인이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본인의 반과 같은 전공을 선택한다. 선택할 때 다른 전공으로 선택하게 되면 인원수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 전공에 있는 학생 중 성적이 가장 낮은 학생이 튕겨가게 된다. A, B반으로 나뉘고 나면 수업을 같이 듣는 일이 없어져 거의 다른 과 수준이다. 금속과와 재료과의 과잠도 다르게 맞추고, 과 건물도 다르다.

2.3.1. 금속신소재공학전공


학과 홈페이지 1969년 포스코가 들어서면서 철강 및 금속 산업의 발전과 인력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금속공학과가 개설되어 1973년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2006년 금속공학과에서 금속신소재공학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2007년 무기재료공학과와 합쳐져 현재의 신소재공학부가 만들어졌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3호관. 공대 학생들은 보통 '''금속과'''라고 줄여서 부른다.
주로 재료공학 내부의 금속 분야를 중점적으로 배우고, 졸업 후 기업체 진출도 철강 관련 기업으로 한다.

2.3.2. 전자재료공학전공


학과 홈페이지 1974년 전자재료공학과로 개설되었다. 1978년 정부의 국립대 공대 특성화 정책으로 경북대가 전자공학 특성화로 지정되어 전자계산기학과, 응용전자공학과, 통신공학과와 함께 전자공학과에 통합되었다.
1986년 재료공학과가 신설되면서 전자공학부에서 분리되었고, 1990년 재료공학과가 무기재료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7년 금속신소재공학과와 통합되어 현재의 신소재공학부가 만들어졌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8호관. 공대 학생들은 보통 '''재료과'''라고 부른다.
재료공학 중 반도체, 무기재료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사회 진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으로 한다.

2.4. 에너지공학부


학과 홈페이지 2011년 개설되었다. 학부 내 세부전공으로 '''신재생에너지전공'''(재료·화학공학, 물리·원자력에너지 기반)과 '''에너지변환전공(전기·전자공학 기반)'''이 있다. 신재생에너지전공에서는 에너지 생산에 속하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태양광/수소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에 관한 학문을, 에너지변환전공에서는 생산된 전기에너지의 변환/제어/전송에 관한 학문을 학습 및 연구한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7호관.

2.5. 응용화학공학부



2.5.1. 응용화학전공


학과 홈페이지 1970년 공과대학 설립 당시 응용화학과로 개설되었다. 1978년 고분자공학과와 함께 공업화학과로 통합되었다가 1985년에 다시 분리되었고, 1987년에는 염색공학과가 분리되었다. 2004년에 응용화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15년에 화학공학과와 함께 응용화학공학부로 통합되었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1호관.

2.5.2. 화학공학전공


학과 홈페이지 1982년 개설되었다. 2015년에 응용화학과와 응용화학공학부로 통합하였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9호관.

2.6. 고분자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67년 관련 학과로는 국내 최초로 개설되어 공과대학 내의 과 중에서는 가장 역사가 긴 학과이다. 대구의 섬유 및 의류, 구미의 전자, 포항의 철강, 부산과 울산의 석유화학 등 지역의 주력 산업들과 면밀한 관련이 있어 관련 업계 대기업 등으로의 진출이 활발하며, 대학원 진학 비율도 높은 편이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9호관.

2.7. 토목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82년 개설되었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2호관.

2.8. 섬유시스템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87년 염색공학과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어 2005년에 섬유시스템공학과로 개칭하였다. 전통적으로 섬유 산업이 발달하고 섬유 도시인 대구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학과이다. 염색공학과로 출발한 섬유시스템공학과는 화학, 고분자, 섬유, 염색 가공, 화학공정 등을 배운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1호관.

2.9. 환경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92년 개설되었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6호관.

3. 공과대학의 주요 동문


  • 곽병술(기계공학): 한국중부발전 기술본부장
  • 구광시: 전 코오롱 대표이사
  • 김수정: 전 울산지방경찰청장, 중앙경찰학교장(치안감)
  • 김영환 (공업화학): 조인스닷컴 경영지원실장
  • 김이슬 (환경공학): 2011년 미스코리아
  • 김태한 (고분자공학):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 김홍배 (고분자공학): 前 육군 소장(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감찰실장, 37보병사단장)
  • 류두열 (고분자공학):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 박병식 (응용화학):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이사장,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 박창언 (기계공학): 전 대구경북본부세관장
  • 박현동 (응용화학):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장
  • 방창섭 (기계공학): 현대케피코 대표이사 부사장
  • 배철한 (응용화학): 인터플렉스 대표이사, 삼성SDI Digital Display 사업부장(부사장)
  • 서남용 (섬유공학): 개그맨
  • 서현석 (건축토목공학): 롤 SBNU KOREA 탑라이너
  • 신경창 (토목공학): 대한민국 미식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신현철 (공업화학): 전 부산소방본부장(소방감), 한국소방안전협회 회장
  • 유을봉 (금속공학): 세아특수강 대표이사 사장
  • 이은직 (화학공학): 김천과학대학교 총장
  • 이정식 (금속공학): 포스코 부사장
  • 이정주 (기계공학):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 임한순 (화학공학): TBC 보도본부장, 사업이사
  • 정영익 (응용화학): 한수원 고리원전본부장
  • 조재필 (재료공학): 유니스트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1]
  • 최대진 (토목공학): 경상북도 경산시 부시장
  • 최진석 (금속공학): 한화그룹 제조부문 운영혁신총괄 사장
  • 홍원화 (건축공학): 제19대 경북대학교 총장
  • 황정모 (공업화학): 효성첨단소재 대표이사 부사장

[1] 2차 전지 분야 세계적인 권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