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차수열

 


1. 개요
2. 상세
3. 성질
4. 계차수열로 원래 수열의 합 구하기
5. 교육과정


1. 개요


difference sequence(progression) ・
수열의 인접한 두 항에 대하여, 뒤 항에서 앞 항을 뺀 값을 '''계차'''(difference, )라고 하는데, 원래 수열의 계차들을 항으로 하는 수열을 원래 수열의 '''계차수열'''이라고 한다. 따라서 계차수열은 그 자체로 성립하지 않고 별도로 원래 수열의 존재를 전제해야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원래 수열의 계차수열의 계차수열을 원래 수열의 '''제2계 계차수열'''이라 하고, 제$$m$$계 계차수열의 계차수열을 제$$(m+1)$$계 계차수열이라 한다.

2. 상세


수열 $$\{a_n\}$$에 대하여
$$b_n=a_{n+1}-a_n$$
이면 $$b_n$$은 계차이고, $$\{b_n\}$$은 $$\{a_n\}$$의 계차수열이다. 여기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ed}\cancel{a_2}-a_1&=b_1\\\cancel{a_3}-\cancel{a_2}&=b_2\\& \;\;\vdots\\\cancel{a_{n-1}}-\cancel{a_{n-2}}&=b_{n-2}\\+\qquad a_n-\cancel{a_{n-1}}&=b_{n-1}\\ \hline a_n-a_1&=\displaystyle\sum_{k=1}^{n-1}b_k\\ \\ \therefore a_n&=\displaystyle\sum_{k=1}^{n-1}b_k+a_1\;(n\geq 2)\end{aligned}$$
따라서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안다면 원래 수열의 일반항 역시 알 수 있다.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모른다면 제2계 계차수열 $$\{c_n\}$$의 일반항을 구해 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ed}b_n&=\displaystyle\sum_{k=1}^{n-1}c_k+b_1\;(k\geq 2)\\\therefore a_n&=\displaystyle\sum_{k=1}^{n-1}b_k+a_1\\&=\sum_{k=1}^{n-1}\left(\sum_{j=1}^{k-1}c_j+b_1\right)+a_1\;(k,\,n\geq 2)\end{aligned}$$
제3계, 제4계 계차수열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m$$계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모른다면 제$$(m+1)$$계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구해 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3. 성질


수열 $$\{a_n\}$$의 일반항이 $$r$$차 다항식
$$a_n=c_rn^r+c_{r-1}n^{r-1}+\cdots+c_1n+c_0\;(r\neq 0)$$
이면 $$\{a_n\}$$의 계차수열 $$\{b_n\}$$의 일반항은
$$\begin{aligned}b_n&=a_{n+1}-a_n\\&=\{c_r(n+1)^r+c_{r-1}(n+1)^{r-1}+\cdots+c_1(n+1)+c_0\} \\ &\qquad \qquad -(c_rn^r+c_{r-1}n^{r-1}+\cdots+c_1n+c_0)\\&=(\cancel{c_rn^r}+c_rrn^{r-1}+\cdots)-(\cancel{c_rn^r}+\cdots)\end{aligned}$$
이와 같이 최고차항이 상쇄되므로 $$(r-1)$$차 이하의 다항식이 된다. (정확하게는 원래 다항식의 차분이 된다) 마찬가지로 계차수열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에는 일반항이 일차식인 등차수열이 나오며, 그 다음에는 모든 항이 그 등차수열의 공차인, 다시 말해 수열의 일반항이 상수인 수열이 나온다. 한번 항의 값이 일정한 수열이 나왔으므로 이후에는 계속해서 모든 항이 0인 수열만 나오는데, 다음 예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해 보자.
'''수열'''
'''항'''
'''일반항'''
'''비고'''
원래 수열
$$3,\,17,\,55,\,129,\,251,\,433,\,\cdots$$
$$2n^3+1$$
삼차식
계차수열
$$14,\,38,\,74,\,122,\,182,\,\cdots$$
$$6n^2+6n+2$$
이차식
제2계 계차수열
$$24,\,36,\,48,\,60,\,\cdots$$
$$12n+12$$
일차식(등차수열)
제3계 계차수열
$$12,\,12,\,12,\,\cdots$$
$$12$$
상수식(일반항이 공차)
제4계 계차수열
$$0,\,0,\,\cdots$$
[math(0)]
상수식(일반항이 0)
제5계 계차수열
$$0,\,0,\,\cdots$$
[math(0)]
상수식(일반항이 0)
$$\vdots$$
$$\vdots$$
$$\vdots$$
$$\vdots$$

4. 계차수열로 원래 수열의 합 구하기



어떤 수열 $$\{a_n\}$$과 그의 계차수열 $$\{b_n\}$$에 대하여, 앞서 밝혔듯이

$$a_n=a_1+\displaystyle\sum_{k=1}^{n-1}b_k\;(n\geq 2)$$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begin{matrix}&a_1&\!\!\!=\!\!\!&a_1\\&a_2&\!\!\!=\!\!\!&a_1&\!\!+\!\!&\!\!\!\!\!\!\!b_1\!\!\!\!\!\!\!\\&a_3&\!\!\!=\!\!\!&a_1&\!\!+\!\!&\!\!\!\!\!\!\!\!\!b_1\!\!\!\!\!\!\!\!\!&\!\!+\!\!&\!\!b_2\!\!\\\;&\vdots&&\!\!\vdots&&\vdots&&\vdots\\&a_{n-1}&\!\!\!=\!\!\!&a_1&\!\!+\!\!&\!\!\!\!\!\!\!\!\!b_1\!\!\!\!\!\!\!\!\!&\!\!+\!\!&\!\!b_2\!\!&\!\!+\!\!&\cdots&\!\!+\!\!&b_{n-2}\\\!\!+&a_n&\!\!\!=\!\!\!&a_1&\!\!+\!\!&\!\!\!\!\!\!\!\!\!b_1\!\!\!\!\!\!\!\!\!&\!\!+\!\!&\!\!b_2\!\!&\!\!+\!\!&\cdots&\!\!+\!\!&b_{n-2}&\!\!+\!\!&b_{n-1}\\\hline&\displaystyle\sum_{k=1}^na_k&\!\!\!=\!\!\!&na_1&\!\!+\!\!&\!\!(n-1)b_1\!\!&\!\!+\!\!&\!\!(n-2)b_2\!\!&\!\!+\!\!&\cdots&\!\!+\!\!&2b_{n-2}&\!\!+\!\!&b_{n-1}\end{matrix}$$
결과를 합의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displaystyle\sum_{k=1}^na_k=na_1+\sum_{k=1}^{n-1}(n-k)b_k\;(n\geq 2)$$
혹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도 있다.
$$\begin{matrix}&{\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a_1}\!\!\!\!&&\!\!\!{\color{red}b_1}\!\!&\!\!\!\!\!\!\!{\color{red}+}\!\!&\!\!\!\!{\color{red}b_2}&\!\!\!\!\!\!\!\!{\color{red}+}\!\!&{\color{red}\cdots}&\!\!{\color{red}+}\!\!&\!\!\!\!{\color{red}b_{n-2}}&\!\!\!{\color{red}+}\!\!&\!{\color{red}b_{n-1}}\\&{\color{dodgerblue}a_2}&\!\!\!\!=&\!\!\!\!\!{\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red}b_2}&\!\!\!\!\!\!\!\!{\color{red}+}\!\!&{\color{red}\cdots}&\!\!{\color{red}+}\!\!&\!\!\!\!{\color{red}b_{n-2}}&\!\!\!{\color{red}+}\!\!&\!{\color{red}b_{n-1}}\\&{\color{dodgerblue}a_3}&\!\!\!\!=&\!\!\!\!\!{\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2}&&{\color{red}\cdots}&\!\!{\color{red}+}\!\!&\!\!\!\!{\color{red}b_{n-2}}&\!\!\!{\color{red}+}\!\!&\!{\color{red}b_{n-1}}\\\;&{\color{dodgerblue}\vdots}&&\!{\color{dodgerblue}\vdots}&&\!\!\!{\color{dodgerblue}\vdots}&&\!\!\!\!\!\!{\color{dodgerblue}\vdots}&&\vdots&&\!\!{\color{red}\vdots}&&{\color{red}\vdots}\\&{\color{dodgerblue}a_{n-1}}&\!\!\!\!=&\!\!\!\!\!{\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2}&\!\!\!\!\!\!\!\!{\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cdots}&\!\!{\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n-2}}&&\!{\color{red}b_{n-1}}\\\!\!+\!\!\;&{\color{dodgerblue}a_n}&\!\!\!\!=&\!\!\!\!\!{\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2}&\!\!\!\!\!\!\!\!{\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cdots}&\!\!{\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n-2}}&\!\!\!{\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n-1}}\\\hline&{\color{dodgerblue}\displaystyle\sum_{k=1}^na_k}&\!\!\!\!=&\!\!\!\!\!na_n\!\!\!\!&\!\!-\!\!&\!\!\!{\color{red}\{b_1}&\!\!\!\!\!{\color{red}+}&\!\!\!\!{\color{red}2b_2}&\!\!\!\!\!\!{\color{red}+}&{\color{red}\cdots}&{\color{red}+}&\!{\color{red}(n-2)b_2}&\!{\color{red}+}&\!{\color{red}(n-1)b_1\}}\end{matrix}$$
위 식의 결과를 합의 기호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color{dodgerblue}\displaystyle\sum_{k=1}^na_k}=na_n-{\color{red}\displaystyle\sum_{k=1}^{n-1}kb_k}\;(n\geq 2)$$
어떤 방식으로 공식을 유도하든 값은 같다.
$$\begin{aligned}na_1+\displaystyle\sum_{k=1}^{n-1}(n-k)b_k&=na_1+n\sum_{k=1}^{n-1}b_k-\sum_{k=1}^{n-1}kb_k\\&=na_1+n(a_n-a_1)-\sum_{k=1}^{n-1}kb_k \\&=na_n-\displaystyle\sum_{k=1}^{n-1}kb_k\end{aligned}$$

5.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