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제호

 

[image]
'''제원'''
전장
66.7미터
전폭
9.1미터
흘수
6.4미터 / 9.03미터 (만재시)
인원
100명
기준 배수랑
9??톤 / 적재 톤: 540톤
만재 배수량
1,056톤
엔진
삼연성(三連成) 레시프로형 기관 2기
속력
2,438 마력으로 최대 ??노트
순항 거리
14.8노트로 최대 ?,???해리? nm? 까지 항해가능
함포
76.2mm ??구경장 단장 함포 x 3문
1. 개요
2. 상세
3. 같이보기


1. 개요


대한제국의 군함.

2. 상세


이 군함은 일본 가와사키조선(川崎造船) 고베조선소에서 1904년(광무 8) 11월 건조한 것으로, 무선전신시설이 장치된 것은 1910년 9월이다. 원래 근대식 군함을 도입하려고 추진한 것은 1881년(고종 18) 군비강화책의 일환으로 공채를 모집하면서부터다.
1902년 말 해군을 창설하면서 화물선을 급히 개조한 양무호라는 군함을 도입하였으나 운영비가 많이 들어, 다시 일본의 가와사키[川崎] 조선소에서 이 군함을 건조하였으며, 당시의 조선술로서는 최신의 기선이었다. 여기에 3인치 포를 장치하여 해안경비, 등대 순시와 세관 감시 등 여러 목적에 사용되었다.
다른 나라 놔두고 일본에서 들인 까닭은 일본이 서양에서 군함을 도입할 길을 끊어 놓았기 때문이다. 이쪽 비화는 양무호 참고.
광제호(廣濟號)를 도입하면서 지금까지 육군편제로만 구성된 15군부를 개편하여, 근대식 해군편제를 마련하는 등 입법조치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1905년 11월 을사조약의 체결을 계기로 해군군함으로서의 사명을 끝내고, 인천항을 모항으로 하는 탁지부 관세국 소속의 연안세관 감시선이 되었다. 그러다가 1910년 9월 15일 처음으로 무선전신시설을 설치하였다. 초대 선장은 신순성이었다.
한 달 후 한일 합병으로 조선총독부 소속이 된 광제함은 광제환(光濟丸, 고사이마루)로 개명된다. 1912년부터 24년까지 조선총독부 체신부(통신부) 소속으로서 인천항의 초계를 담당하고 무선 통신 업무 등에 사용되었다. 1925년 광제호는 조선우선주식회사에 팔려 화물여객선으로 원산-청진 노선에 취항했으나 28년까지만 업무에 쓰였다. 1930년, 일본 해군에 이관된 광제호는 허드렛 선박의 일종인 여객화물선으로 분류되어 진해와 일본 사세보 사이의 연락 임무에 쓰였다. 이 후, 1945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할 때까지 살아남는다.
1945년 광복 이후 광제호는 한반도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을 일본 본토로 수송하는 데 쓰이면서 일본으로 건너가 버렸다. 이 탓에 한국은 변변한 전투함 한 척도 없었고, 해방병단을 세운 손원일 제독은 말 그대로 맨땅에서 해군을 일궈야만 했다.[1] 일본 해군에 소속된 광제호는 1947년까지 구난 선박으로서 수송임무에 쓰이다가 1947년 5월 14일 오사카에서 요코스카로 항해 도중 좌초하여 전손 처리되었다.
이 함은 당시에 현재로 치자면 초계함 ~ 호위함 정도의 성능이었다.

3. 같이보기



[1] 물론 광제호 자체가 당시 40년이 넘었던 노후함이라 두고 갔어도 큰 도움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이후 손원일 제독이 직접 미국에서 도입해온 백두산함은 광제호보다 수십년 후에 건조된 군함이다. 물론 광제호가 대한민국 해군에서 재취역했으면, 대한민국 해군이 조선 수군 - 대한제국 해군을 계승했다는 정통성은 더 강화되었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