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두암81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두암81번
기점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마을)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종점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마을)
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장등공영차고지)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22:10
막차
22:10
평일배차
30~40분
주말배차
30~50분
운수사명
대창운수(장등 소속)
인가대수
평일 8대, 공휴일 6대
노선
(장등마을) - 장등공영차고지 - 각화중 - 광주병원 - 무등도서관 - 북구청 - 전남대 - 광주역 - 롯데백화점 - 동부소방서 - 대인시장(서) - 동구노인종합복지관 - 법원 - 지산유원지 - 산수무등파크 - 율곡초교 - 대주빌라 - 문화초교 - 각화중 - 장등공영차고지 - (장등마을)

2. 개요


대창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3. 역사


  • 예전에는 지산유원지에서 출발했다.
  • 금남55번이 단사공원으로 가지 않게 되면서 단사공원 경유로 변경되었다.
  • 지산유원지 회차지가 폐쇄되면서 장등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광주1호선 연계를 위해 2011년 4월 30일 개편 때 수창초교후문, 대인광장 대신 롯데백화점과 광주일고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7년 2월 25일 개편 때 종점이 장등차고지로 단축되는 47번을 대신하여 종점이 장등마을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중형 순환노선이라는 장점 때문인듯. 다만 전체 편성이 아닌 일부 편성만 장등마을로 가는데, 문제는 들어가는 시간대가 워낙 들쑥날쑥이라 꽤 불편할 듯하다.
  • 각화동 아파트 단지들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2018년 하반기부터 입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힐스테이트 각화 정류소가 신설되었다.

4. 특징


  • 광주 시내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지산유원지를 경유한다. 2006년 개편 전에는 구 19번(살레시오고 - 건국동 - 문화전당역 - 지산유원지)과 구 777번(송산유원지 - 운남지구 - 양동시장 - 지산유원지) 등도 경유했으나 지금은 두암 81번이 유일하다. 2018년까지는 공항버스 1000번도 지산유원지를 경유하였으나 폐선되었다. 주말만 되면 관광객 수요가 엄청나다.
  • 두암동에서 금남로로 가지 않아 승객들의 불편이 있었다. 상술했던 것처럼 당시에는 지산유원지 착발이었기 때문에 두암지구에서 금남로로 가려면 광주병원, 말바우시장 등을 뺑 돌아가야 했다. 이는 몇 달 후에 금호36번이 생기면서 해결되었다.
  • 참고로 광주병원에서 산수동 가겠다고 이 노선을 이용하면 북구청, 광주역으로 뺑뺑 돌아가니 지원15번, 진월17번, 운림35번, 송암74번, 충효187번을 이용하도록 하자. 단 진월17번과 충효187번(배차간격 60분)을 제외한 노선 모두가 광주병원을 지나지 않아 인근 정류장으로 이동해야 하고, 진월17번과 운림35번은 산수5거리 쪽이 아닌 두암동-법원(밤실로) 쪽으로 향하니 주의.
  • 시계방향 한정으로 대인광장(동, 북) 정류소에 정차한다. 동부소방서에서 롯데백화점 쪽으로 바로 좌회전 할 수 없어 돌아오기 때문.
  • 방향구분을 위해, 시계방향은 무등파크, 반시계방향은 각화초교나 광주병원행 보조 LED를 키고 다닌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금남로5가역[1]
  • 일반 철도 :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1] 광주일고/롯데백화점에서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