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전

 

1. 개요
2. 역사
3. 나무위키에 등재돼 있는 국어사전
4. 관련 사이트


1. 개요


國語辭典
한국어 단어를 한국어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사전이다.
현재 국어사전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것은 관찬이라는 권위를 지닌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과, 민간기관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이다.
한국의 포털 사이트 중에선 네이버다음이 제공하고 있으며, 초기에 네이버는 표준국어대사전을, 다음은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을 제공하였으나, 현재는 네이버와 다음 둘다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을 전부 제공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이 나오기 이전에는 한글학회의 큰사전, 새한글사전과 이희승이 감수한 민중서림의 국어대사전이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공무원 시험수능에서는 대체로 표준국어대사전을 참조하여 문제를 출제한다. 다만 국어학계와 국문학계를 비롯하여 이 사전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학자들이 '''한둘이 아니다'''. 심지어는 표준국어대사전더러 오류 투성의 폐급으로 취급하는 일부 학자들도 있기도 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비해 단어의 형태소 분석을 매우 잘 해 놨다는 또 하나의 어마어마한 장점도 존재한다. 거기에 더해서 한자어는 해당 한자까지 알려 주며, 외래어/외국어는 유래가 된 외국어를 알려 주고, 순우리말은 음절 단위로 쪼개 주는 등 단어 구성 성분에 초점을 많이 맞추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그런 거 없다).
영미권의 영어사전(특히 옥스퍼드, 롱맨, 케임브리지, 콜린스/콜린스코빌드)과 다르게 국어사전은 말뭉치(코퍼스)의 활용이 미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도 모국어인 일본어의 단어를 수록한 사전을 '국어사전'이라고 하며, 일본어 표기는 国語辞典이다. 대만에서도 마찬가지로 국어사전(國語辭典)이라고 한다.대만교육부 국어사전
2016년 10월 5일 국립국어원에서 위키 형식의 누리꾼 참여형 사전인 우리말샘개통했다. 이와는 별도로 국어 기본단어 5만여 단어가 수록된 한국어기초사전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외국어 학습 사전도 함께 개통했다. 네이버에도 위키 형식의 오픈사전이 있는데 여기 있는 단어들은 '''표준어가 아니고 신빙성이 떨어지므로 주의'''.
중형사전 중에는 동아출판의 동아 새국어사전이 표준국어대사전(2004년 5판 출간 시점 기준)을 가장 잘 반영한 편이다.[1] 감수자는 이기문 서울대 명예교수이고, 표준국어대사전 편집을 두산동아(현 동아출판) 사전편찬팀이 맡은 경험을 살렸다고 4판 서문에서 밝히기도 했다. 현재 발매되고 있는 것이 2004년 5판이지만 최근 인쇄본에서는 그 이후의 표준어 변화(짜장면 등이 표준어로 추가 인정)가 반영되어 있긴 하다. 2004년 5판 1쇄본에서는 짜장면이 틀린 것으로 나와있지만 최근의 5판 인쇄본에서는 자장면 항목으로 넘어가는 것으로 수정된 게 그 예다.

2. 역사


국어사전의 역사는 조선시대까지 올라가나, 현대적인 언어학에 따라 편찬된 현대적 사전은 일제 강점기로 올라간다.
최초의 현대적인 국어사전은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것으로, 1920년 '조선어사전'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이 사전은 한일합방 직후인 1911년부터 편찬에 들어갔으며,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한학자였던 박이양, 현은, 송영대, 김돈희가 편찬위원으로 초고를 집필하였다. 조선총독부판 조선어사전은 총 58,639개의 표제어가 수록된 대사전이며, 이 중 고유어가 17,178개, 이두가 729개로 근대 이행기의 국어 모습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국어학적 사료이다. 표제어는 한자로 기록함을 원칙으로 하되 발음을 한글로 기록하였고, 뜻풀이는 일본어로 하였다. 즉, 이 사전은 전형적인 행정 사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표제어와 뜻풀이 모두가 한글로 쓰인 한국어로 이루어져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국어 사전은 1925년 출판되었다. 당시, 경성사범학교 훈도였던 심의진이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했는데, '조선어독본'이라는 당시 보통학교의 국어 교과서 학습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책은 개인이 출간한 것이기 때문에 그리 많은 양이 발행되지 못했으며, 2017년 현재 초판은 현전하지 않고 그나마 3판 이후의 것들이 전해지는데 전부 합쳐서 20권이 채 안 된다. 이 사전의 표제어는 총 6,106개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위 두 종류의 사전이 국어사전의 전부였고, 그나마 후자는 물량 부족으로 인해 보급은커녕 세간에 잘 알려지지도 못했다.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사전은 총독부의 물량 공세로 현재까지도 꽤 많은 점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총독부판 조선어사전이 행정사전의 성격을 띠었지만 현대 국어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일단, 이 사전에 실린 표제어들은 우리말 큰사전(한글학회 큰 사전)의 초안 작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조선어사전은 출간 이후 경성제국대학 조선어학조선문학부와 일본의 조선어학자들에게서 크고 작은 증보과정을 거치며 완성도가 계속 높아져 갔는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3판에서는 서구 언어학의 사전 체계가 적용되며 사전이 전면개정되었다. 이러한 현대적 체계는 우리말 큰사전의 초고에 거의 그대로 녹아들어가게 되었다.

3. 나무위키에 등재돼 있는 국어사전



4. 관련 사이트




[1] 한편 이희승(1989년 작고)이 생전 감수한 엣센스 국어사전의 2002년 개정판 서문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의 출간으로 인해 기존 엣센스 국어사전 나름대로의 해석을 포기하고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라 대폭 수정했다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