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먼 대사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원작 코믹스의 등장인물. 4권에 잠깐 등장하는 단역이다. 한 샘터에 있는 숨겨진 사당에서 치크크와 생활하고 있었다.
본래 도르크 제국의 주민들이 믿고 있던 전통종교의 사제지만, 새로 등극한 신성황제가 전통종교를 이단으로 몰아 박해하자 세속의 권력을 피해 인적이 드문 시골에 은둔하고 있다. 불교의 승려처럼 머리를 깎고 있으며, 노환 때문인지 단식 때문인지는 몰라도 몹시 말라 있다. 본디 수많은 사제들과 함께 수행을 하고 있었던 것 같지만 근처의 사제들은 모두 앉은 상태 그대로 사망해 있었고 그만 극도로 쇠약해진 상황에서 살아남아 있는 상태였다. 멀쩡히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은 어린아이인 치크크 뿐인 듯한데 먹을 것을 구하거나 한 것은 어떻게 했는지 의문. 신을 섬기기 위해 스스로 빛을 버렸다지만 나우시카가 온 것을 멀리서 알아채기도 하고, 죽은 이후에도 유언을 남기는 등 여러모로 신비한 인물.
삶에의 의지가 강한 나우시카와는 달리, 죽음이나 파괴 또한 피할 수 없는 세계의 이치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있다. 때문에 나우시카와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다고도 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나우시카를 부정하지 않고 그녀를 "오랫동안 기다려 온 '''상냥하고 맹렬한 바람'''"이라 부르며 나우시카와 만난 것을 기뻐한다. 독시를 피해 대피하려는 나우시카와 치크크의 짐이 되지 않고자 벌레의 독기가 몰려오기 전 스스로 입적하고, 나우시카의 앞길을 축복한다. 마지막 유언은 "'''가거라, 그대의 마음 가는 대로. 사랑스런 바람이여….'''"[1]
죽음에 관해 부정적이지는 않지만 어디까지나 피할 수 없는 죽음을 받아들인다는 것일 뿐,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는 타인의 열정은 폄훼하지 않고 도리어 진심으로 응원해주는 대인배이다. 다만 이후 나우시카가 절망에 빠졌을 때, 그녀의 마음 속에 있는 허무와 자살충동이 종종 대사의 모습을 하고 나우시카를 속이려 들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 때마다 나우시카가 허무를 향해 '너는 대사님과 다르다'며 선을 긋고 물리치는 것을 보면 나우시카 또한 양자의 차이점은 확실히 인지하고 있다. 그리고 나우시카가 슈와에서 묘소의 주인과 대적할 때, '''멸망은 우리와 함께 살고 있으며 생명은 어둠 속에서 타오르는 빛이다'''라며 일갈을 날리는 것을 보면 나우시카도 죽음과 생명을 억지로 떼어놓을 수 없다는 깨달음에 도달한 듯하다.
잠깐 등장한 단역이지만, 그럼에도 작품의 주제와 연결된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사라진 중요한 조역.
본래 도르크 제국의 주민들이 믿고 있던 전통종교의 사제지만, 새로 등극한 신성황제가 전통종교를 이단으로 몰아 박해하자 세속의 권력을 피해 인적이 드문 시골에 은둔하고 있다. 불교의 승려처럼 머리를 깎고 있으며, 노환 때문인지 단식 때문인지는 몰라도 몹시 말라 있다. 본디 수많은 사제들과 함께 수행을 하고 있었던 것 같지만 근처의 사제들은 모두 앉은 상태 그대로 사망해 있었고 그만 극도로 쇠약해진 상황에서 살아남아 있는 상태였다. 멀쩡히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은 어린아이인 치크크 뿐인 듯한데 먹을 것을 구하거나 한 것은 어떻게 했는지 의문. 신을 섬기기 위해 스스로 빛을 버렸다지만 나우시카가 온 것을 멀리서 알아채기도 하고, 죽은 이후에도 유언을 남기는 등 여러모로 신비한 인물.
삶에의 의지가 강한 나우시카와는 달리, 죽음이나 파괴 또한 피할 수 없는 세계의 이치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있다. 때문에 나우시카와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다고도 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나우시카를 부정하지 않고 그녀를 "오랫동안 기다려 온 '''상냥하고 맹렬한 바람'''"이라 부르며 나우시카와 만난 것을 기뻐한다. 독시를 피해 대피하려는 나우시카와 치크크의 짐이 되지 않고자 벌레의 독기가 몰려오기 전 스스로 입적하고, 나우시카의 앞길을 축복한다. 마지막 유언은 "'''가거라, 그대의 마음 가는 대로. 사랑스런 바람이여….'''"[1]
죽음에 관해 부정적이지는 않지만 어디까지나 피할 수 없는 죽음을 받아들인다는 것일 뿐,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는 타인의 열정은 폄훼하지 않고 도리어 진심으로 응원해주는 대인배이다. 다만 이후 나우시카가 절망에 빠졌을 때, 그녀의 마음 속에 있는 허무와 자살충동이 종종 대사의 모습을 하고 나우시카를 속이려 들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 때마다 나우시카가 허무를 향해 '너는 대사님과 다르다'며 선을 긋고 물리치는 것을 보면 나우시카 또한 양자의 차이점은 확실히 인지하고 있다. 그리고 나우시카가 슈와에서 묘소의 주인과 대적할 때, '''멸망은 우리와 함께 살고 있으며 생명은 어둠 속에서 타오르는 빛이다'''라며 일갈을 날리는 것을 보면 나우시카도 죽음과 생명을 억지로 떼어놓을 수 없다는 깨달음에 도달한 듯하다.
잠깐 등장한 단역이지만, 그럼에도 작품의 주제와 연결된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사라진 중요한 조역.
[1] 연출을 보면 이미 사망한 주변의 사제들도 이러한 메시지를 남긴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