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수호지)
1. 수호전의 등장인물
戴宗.
[image]
중국 소설 수호지에 등장하는 인물. 강주부의 감옥 간수였다가 양산박의 두령이 되었다. 양 다리에 부적(갑마)를 붙이면 엄청난 속도로 달릴 수 있는 도술을 부릴 수 있다. 그래서 별명이 신행태보(神行太保).
강주부로 귀양 온 송강에게 상납금을 안 바친다고 심술을 부렸으나, 강호에서 명성이 자자한 송강이란 것을 알자 꺼뻑 죽어서 바로 형님 대접을 한다. 원래 오용과 아는 사이여서, 송강이 귀양갈 때 대종을 만나보라고 귀띔해줬다.[1]
강주부에서 수하로 부리던 거친 사내 이규를 막 대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대종의 특기 때문에 전령이나 탐색 등 역할을 많이 맡는데, 이때 세상 구경하고 싶은 이규도 동행하겠다고 떼를 썼기 때문에 종종 함께 행동한다.
한번은 이규에게 갑마를 주면서 '도술의 비결은 채식에 있으니 절대로 고기를 먹지 말라'고 당부했지만 당연히 이규는 씹었고, 덕분에 광란의 질주(...)를 벌였다. 사실 채식 운운은 처음부터 뻥이었고, 이규가 빌자 술법을 풀어줬다. 대종이 맡는 임무들은 하나같이 기밀과 정숙을 요하는데 개망나니 이규가 겁없이 나대다가 일을 망칠까봐 군기를 잡은 것. 계획대로.
도술에 있어서 먼치킨적 존재인 공손승과 달리 사실 대종은 '''신행법만 능했지, 다른 도술은 능한 말이 없다'''. 또한 사실 신행법도 완벽한 편도 아니라서 전호전에서 역적 전호의 부하 마령에게 달리기로 한번 발린 적이 있다. 마령이 노지심에게 잡히고 양산박을 잠시 도울 때 마령에게 도술을 배워 신행법을 업그레이드시킨다. 방랍 토벌 후에는 벼슬을 받았으나 송강과 만나 이야기 하다가 송강에게 자신은 벼슬을 반납할려고 한다고 말한다. 송강이 이유를 묻자 꿈 속에서 최판관(저승사자)을 만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종은 벼슬을 반납하고 산[2] 으로 들어가 도를 닦다가 수호후전에서 채경의 편지셔틀(...)을 하다가 옛 동료들과 다시 뭉친다.
기타 창작물에서는 어째선지 전투형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대종은 신행법 빼고 전투를 한 적이 없는지라... 초고속능력의 속성을 살리기위해 이런 식으로 띄워준 것 같다.
수호전 천도 108성에서는 57/76/70 체력:88이라는 애매한 능력치를 갖고 있다. 간수 출신이기 때문에 조형도 검은 옷의 하급 관료 조형이며, 그냥 초반 인재없을 때나 전투에서 몇번 쓰고 요새에서 노동이나 할 인재처럼 보이지만... 사실 숨은 보정인 신행법을 갖고 있어서 전투에서는 그야말로 날아다니고 요새 이동 시에도 다른 무뢰한보다 훨씬 빨리 도착한다. 기량 80, 지력 80까지 키우면 엄청난 활약이 가능한 무뢰한.
수호지 만화를 그린 적이 있던 요코야마 미츠테루는 훗날 자신의 오리지널 만화인 자이언트 로보에서 자신이 그렸던 대종을 그대로 출현시켰다. 이 대종에 관해서는 대종(자이언트 로보) 항목을 참고할 것.
수호지 for Kakao에서는 세 번째 등급의 병사로 나오며, 원작의 캐릭터답게 모든 병사들 중에서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르다. 근데 원작의 대종과 달리 생긴게 전혀 딴사람 같이 생겼다(...).
2011년 드라마 수호지에서는 굉장히 파격적인 헤어스타일을 하고 나온다. 무려 모히칸 스타일(...) 그리고 '''종이말(갑마)은 거짓말이라고'''.[3] 그냥 빠르게 달리는 걸로 묘사된다 갑마가 거짓말이라고 한 설정 때문에 이규를 길들이려 광란의 질주(...)를 시킨 것은 이규가 먹은 술에 설사약을 타 이규의 배를 아프게 해 골탕먹이고 이규가 아침에야 겨우 설사가 멎자 이규의 돈을 다 가지고 먼저 출발해 이규를 골탕먹이는 쪽으로 각색되었다.
2. 호접몽전의 등장인물
위원회 천강위 서열 20위. 점퍼를 입고 비니를 쓴 작은 체구의 청년. 별호는 원전과 마찬가지로 신행태보.
노준의의 소집회에서 첫 등장. 노준의의 명령을 받고 천기로 동평을 데리고 온다. 일정이 빡빡해서 노준의에게 투덜거린다. 노준의는 태연하게 웃으며 앞으로는 주의하겠다고 대충 넘긴다.
2.1. 능력
신행법 神行法
신행법은 수백,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를 초음속으로 달리는 것이 가능한 천기다. 대종 자신과 그의 병마용군을 제외하고 한 번에 최대 두 명까지만 동행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1] 이를 듣고 송강은 다른 관리들에게는 인심 크게 돈을 푼 데 반해 대종에게만은 고의적으로 돈을 바치지 않고 버티고 있었다. 그러면 대종이 아무것도 모른 체 자신을 찾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2] 이전 버전에는 '''악왕묘'''라고 적혀 있으나 이쪽의 악묘는 '''嶽廟'''로 악왕묘와는 다른 곳이다. 당나라 시인 한유의 시중에도 이 악묘가 나오는 내용이 있다.[3] 요술 등의 미신적 요소를 등장시키지 못한다는 중국 당국의 규정이 있다. 그래서 공손승의 도술도 트릭을 이용한 사기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