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그마

 


1. 영어 단어
3. 피나렐로사의 기함급 로드바이크
4. AV 레이블 중 하나


1. 영어 단어


Dogma
도그마는 신조(信條), 교조(敎條) 또는 신앙심(信仰心)으로 번역되는, 무언가에 대한 굳은 믿음과 그러한 가치관을 의미한다. 누군가 굳이 이 단어를 사용할 때는 대개 부정적인 어감으로 '''독단''', '''집념''' 또는 '''고집'''같은 맥락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다.
논리학적으로는 논증이나 증명을 거부하면서 다른 논증의 근거는 되는 막다른 벽을 의미한다. 신은 절대적인 선이다. 라는 주장에 대해 근거가 뭔가? 라고 물으면 "신의 말씀"이다. 라거나 "성경"에 써 있다. 라는 식이다. 이 문제는 수사학 에서는 굉장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부분이다. 그리스에서 소크라테스이 사형당한 이유이기도 했으며 중세기 수사학은 신학대학에 종속되어 있었으므로 스콜라 철학에서 끊임없이 도전하다 성직자라는 자신의 신분 문제 때문에 계속해서 좌절하며 논증이 뒤틀리는 것이 철학사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논리학에서 인과론은 인식론과 존재론에서 매우 중요한 이설이다. 연역법의 인과는 A는 B의 존재 때문이다.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물이 떨어지는 이유는 중력이 있기 때문이다. 중력이 있는 이유는 질량이 있기 때문이다. 질량이 있는 이유는... 이렇게 근원을 따라가다보면 언젠가는 원인을 추궁할 수 없는 무언가가 나와야 한다. 그렇지않고 A->B->C->A로 이어지게 되는건 순환논증이 되어 아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1] 따라서 명명한 이 제1원인은 모든 결과의 궁극적 원인이며 그 원인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 제1원인, 원인이 없는 결과라는 모순을 신학에서는 당연히 이걸 "신"으로 간주하는데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라는 명언은 제1원인론으로 신을 이성으로 대체하였으며 이로소 신학이 지배하던 중세가 끝나고 사상적으로 근대가 시작된다.
본래 가톨릭에서의 진리나 교의를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지금 같은 독단이라는 의미로 확장된 것은 중세 시대 이후이다. 자연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신앙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많은 현상들이 밝혀진 반면에 신학자들이 기존의 종교적 입장을 고수하며 이에 대한 비판을 원천봉쇄하는 모습을 보이자, 이를 한심하게 여긴 무신론자와 계몽가들이 도그마를 '쓸데없는 집념'이나 '광적인 믿음' 같은 어투로 사용하면서 그 뜻이 변했다. 여기에서 유래된 용어가 바로 '''교조주의(敎條主義, Dogmatism)'''라는 사상이다. 이름만 들으면 '남을 가르치려 하는 사상' 이라고 해석하기 쉽지만 바로 위에 말했듯 '비합리적으로 자신의 신념을 고집하는 사상'을 뜻하는 단어다. 다만 이런 사람이 알량한 지식으로 남을 가르치려 드는 경향이 짙기는 하다.
물론 본인이 성당에 다닌다면 이 단어를 원래의 뜻 그대로 접할 것이며 위의 뜻은 생각하지도 않는 것이 좋다. 카톨릭에서 도그마는 당연히 전자의 의미에서 쓰이는 단어다. 전례를 한글로 한 이후 평신도가 접할 일이 잘 없지만 라틴어는 여전히 신학대학 필수과정이며 교리나 진리라는 단어는 신학 및 중세철학에서 뻔질나게 나온다. 이를테면 신의 이데아가 흘러넘쳐 도그마로 표현된다는 유출설 이라던가.. 그리고 수녀나 신부에게 대놓고 이 단어를 저런 의미로 사용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기도 하기에 가끔 이 단어를 원어 그대로 "교리"나 "진리"를 의미하는 단어로만 생각하고 표현하는 신부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카톨릭 신자인데 생각없이 본당신부나 수도자,수녀에게 이 단어를 저런 의미로 사용하다가 들키면 혼날 수 있다. 그 이전에 신자로서의 교회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
'''그러나 이런 논증은 반드시 신을 거론하는 종교에만 해당하지는 않는다.''' "자본론"에 써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이라는 논증은 동구권 국가에서 사상 탄압에 자주 쓰였으며 그 개인의 권위를 떠나 공산주의 이론 자체는 어떤 일이 일어나도 틀릴 수가 없는 "반증불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렇기에 소련이 저렇게 박살났어도 공산주의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다. 라는 식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 이런 것들이 논리학적으로는 도그마적 주장이다. 이런 점 떄문에 포퍼는 더 나아가 공산주의는 본인들이 주장하는 "과학적" "사회주의"가 아니라 그냥 "종교"라고 보기도 한다.
도그마는 'Dogma 단백질'처럼 '명제', '규칙', '핵심'이라는 의미도 담고 있다. 원어 자체가 그런 의미이며 논리학이나 사회학에서 쓰이는 용법은 비꼬는 식으로 말하는 것이 오랜 세월 현대사회를 만들어낸 석학들이 삐딱한 용법으로 자주 쓰다보니 아예 그 뜻으로 굳어진 것이다. 분자생물학 용어로 센트럴 도그마라는 말도 있다.
한편 약자를 응원하는 언더독 효과가 고집으로 변질된 언더도그마도 있으니 참고.

2. 미국 영화




3. 피나렐로사의 기함급 로드바이크


천만원이 넘는 피나렐로사의 최상급 자전거이다. 연도별로 도그마 60.1, 도그마 65.1, 도그마 F8, 도그마 F10이 있다. 단단하고 비대칭 설계와 온다기술이 적용된 포크가 유명하다. 타고 나가면 주위 자덕들이 하앍하앍대면서 우러러보는 시선을 즐길 수 있다고 카더라. 우리나라에서는 잘 모르지만 도그마는 로드바이크뿐만 아니라 MTB도 나오는 피나렐로의 기함라인이름이다.

4. AV 레이블 중 하나




[1] 당연히 여기에 태클을 건 철학자가 있다. 헤겔은 이걸 순환논증으로 본게 아니라 상호부정성이라고 칭하며 네트워크적인 인식개념을 제시한다. 그 저서가 유명한 소논리학, 또는 정신현상학 서문이다.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