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1000계 전동차
[image]
리뉴얼후 이케가미선에서 운용중인 20편성
'''東急 1000 系 電車 '''
도큐 9000계 전동차의 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개발된 18m급 3도어 구조의 스테인레스 차량이다. 9000계와 차체 및 전장, 문 수, 창문 수는 다르지만 기본적인 차체 구조와 전면 형상은 공통으로 개발되었다. 9000계와 비슷하면서도 다르게 제작된 이유는, 이렇게 하면 검수나 개조등을 할시 단가 절감등으로 유리한다고 한다. 그러나 9000계와의 구별을 위해 전면의 롤지 종별지시자는 주변이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본 계열에서도 9000계 뿐만 아니라 더 나은 거주성 및 승차감, 운전 조작성 향상, 에너지 절약, 보수성의 향상을 설계의 기본 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시리지는 1991년까지 도요코선의 영단 히비야선의 운행 차량으로 운용되던 7000계 초대 차량의 후속차량으로 투입된것과 이케가미선의 7200계 대체를 목적으로 투입된것으로 구분되며 이케가미선 투입용은 '1000N계'로 불리기도 한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도요코선 8량편성 8개 64량, 도요코선, 메카마선 겸용 4량편성 4개 16량, 이케가미선 3량편성 11개 33량 총 113량이 도큐차량에서 제조되었다.
도요코선용 차량은 2013년 3월 16일 도요코선과 후쿠토신선 상호 직통운전에 의한 히비야선 직통운전종료에 따라 도요코선에서 영업운전을 종료하였다. 이후 일부 차량은 3량으로 개조를 받고 1500번대로 번대 개명을하여 이케가미선 계열로 운용이 변경되었다.
9000계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틸 경량 차체로 제작되었으나, 당시 히비야선의 열약한 수송 한계 능력이었던 18m를 초과할수 없었던 탓에 18m로 제작되었다. 창문 배치는 초대 7000,7200번대와 마찬가지로 제작되었다. 전면 형상은 9000계와 같이 비상구를 전면 좌측에 배치한 좌우 비대칭 구조로 하고, 비상구 쪽에 지하구간의 비상용 사다리도 설치되어 있다.
도요코선용 편성은 4호차의 바닥 전장품에 히비야선에서 사용되는 유도무선용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7호차에도 바닥 전장품에 당시 히비야선에서 사용하는 열차운행번호표시용 응답 블록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응답블록 본체는 후에 히비야선 운행관리시스템을 싸그리 바꾸면서 불필요해져서 철거했다. 또한 도요코선용은 훗날 전동차를 대상으로 차량간 전락방지덮개가 설치되었다.
구동음. 맨처음부터 차례로 7700계, 1000계, 1000계 1500번대
9000계와 같은 VVVF 인버터 제어로 전기자동차중 'M1차'에 GTO 사이리스터 소자를 이용한 도요전기제의 ATR-H8130-RG621A형이 탑재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는 세계 최초의 히트파이프 냉각식 8개의 모터 일괄제어 VVVF 인버터이며, 후에 일본 각지의 전동차에 장착되게 된다.
도요코선 투입분은 이전 영단과의 노선 연장협정의 성능을 충족시켜 편성중 중간 차량은 모두 동력차로 되어 MT비가 6M2T로 높게 설정되었고, 제어 장치도 1개에서 2대분 8개의 주요 전동기를 제어하는 1C8M 방식이 채택되었다. 1C4M 제어방식을 채용한 9000계와 비교하면 MT비는 높지만 반대로 제어 장치의 대수가 감소해 그만큼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수 있었다.
1990년에 제작된 1010~1013F는 도요코선 및 메카마선 공통 예비 편성으로 4량으로 제조되었다. 도요코선 내에서는 1010+1011와 1012+1013으로 운용되었다. 이것은 종래 메카마선과 이케가미선은 18m 3비차라는 공통 규격의 차량이 사용된 두 노선에 예비차를 공통으로 운용할수 있었다. 그러나 1989년 3월부터 메카마선 차량은 4량으로 운용되고, 이케가미선의 일반 예비차 확보를 하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요코선에서 운용되는 히비야선 직통분 열차의 일부를 메카마선에게 공통으로 예비차량으로 한것이다.
이 4량 편성은 8량편성시 8량 관통편성의 MT비 통일 목적으로 3M1T로 편성되었기 떄문에 일부 차량의 제어장치에 대해 1C4M에서 사용하는것과 동시에 각 편성의 하행 선두차량이 제어전동차로 바뀌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8량편성으로 운용시에 중간에 포함될 선두차 4량은 연결시에 관통 덮개를 연결하여 관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면 관통문이 중앙에 배치된 점에서 다른 차량과 다른 모습 외에도 운전석의 크기가 줄어들었다. 또한, 동 4편성은 1000N계로 불리기도 한다. 평소에는 도요코선의 운용을 맡고 있었으나, 어떠한 사정으로 메카마선에서 차량 부족이 발생했을시, 4량 편성으로 분할하여 동선의 운용에 집중하고 있옸더.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도큐가 돌연 메카마선을 두개의 노선으로 분리시켜버리면서 4량편성 2개는 현재 남아있지 않는다.
한편 이케가미선 투입분은 2M1T의 3량편성으로 제조되었다. 각 차량에 제어장치를 탑재하는 1C4M 사양이 되었다. 1014F-1024F 열차는 1000N'계라고 불리며, 편성의 전동차 전차량이 제어장치를 탑재하기 때문에 차종 기호나 제어장치의 유무를 나타내는 숫자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주 전동기는 1C4M, 1C8M 구별없이 히타치또는 도요전기제를 사용하며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9000계와 동일한 강체가선 대응형의 PT44-SDM이다.
대차도 9000계와 같은 볼스터레스 대차이지만, 바닥 높이를 45mm 낮게하기 위해 설계 변경한 TS-1006,1007가 상요된다. 팬터그래프는 9000계와 똑같은 제를 쓰지만 높이를 낮게한 강체가선 대응형의 PT44-SDM 모양이다.
공기압축기는 8량 편성의 9000계와 똑같은 보조전원장치에서 심상교류 400V를 전원으로 하는 HS-20-1를 탑재한다. 4량 편성의 1000N계는 4량 편성이 보조전원장치가 열차 내에서 하나가 되기 위해, SIV 급전 방식이 아닌, 가선 급전방식의 HS-20G형으로 하여 SIV의 부하를 줄이고 있다. 또한 1000N'계는 1000N계와 마찬가지로 가선급전 방식이지만, 용량을 축소한 HS-10형을 사용하고 있다.
냉방장치는 도시바제 인버터 제어에 의한 능력가변식을 채용하여 제습운전도 가능하게끔 하였으며, 최대치는 10000kcal/h이다. 바닥에 인버터 제어 장치가 1량당 한개, 지붕에 집약분산식 냉방장치 본체가 1량당 3개 탑재되어 있다. 1005F까지 왕복식 압축기를 사용한 RPU-2214B형이었으나, 1006F이후부터 저소음형 스크롤 압축기를 사용한 RPU-2214C형을 사용하고 있다. 본 계열의 차량 냉방 확산방식은 냉각 덕트를 통한 방식을 채용하고 차체 전장에 걸쳐 냉풍덕트 분출구와 보조 송풍기인 라인 델리아가 수납된 판이 있다. 이 라인 델리아는 선두차량에 8대, 중간차에 9대 달려있다.
보안장치는 도요코선용은 처음에 히비야선의 WS-ATC와 도큐 ATS가 탑재되어 있었다. 그후 1997년 3월까지 도요코선의 신 ATC설치공사가 실시되었고 2003년 10월까지 히비야선 신 CS-ATC 설치공사가 실시되었다.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용은 도큐형 ATS와 TASC를 탑재하나, CS-ATC는 탑재하지 않는다. 1500번대는 이케가미선의 3량작업화 당시 CS-ATC를 철거하기도 했었다.
[image]
도요코선 ATC-P 장비
이케가미선 투입분은 2005년 3월부터, 도요코선 투입분은 2006년 12월부터 선두차량에 보조 선로표지판의 설치를 시작했으나, 1005F와 1013F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1005F는 1500번대용 선로표지판이 장착되었기 때문에 현존하는 1013F만 유일하게 스커트 미 장착이 되었다.
또한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의 편성은 팬터그래프가 하부교차형 마름모꼴 더블암 방식에서 싱글암식으로 개조공사를 받았다.
내부는 9000계와 동일한 솔리드 패턴무늬를 사용하고 바닥은 갈색을 사용하고 있다. 주 전동기의 3상전력 화로 인해서 차내 바닥 전동기 점검 뚜껑은 설치하지 않는다. 좌석은 9000계에서 채용된 차량 단부의 크로스시트는 설치되지 않고 모두 롱시트 사용. 18m 3문 자동차의 차체 구조상 승객용 도어 사이의 좌석은 9명이며, 차량 단부는 4인용이다. 중간 좌석에 3-3-3 형태의 칸막이가 있는게 특징이며, 좌석 모켓도 오렌지, 브라운으로 교체되었다. 선반도 문 근처 가장자리까지 설치해 물건을 쉽게 올릴수 있게 되었다.
1992년에 새롭게 제조된 이케가미선의 1000'N계는 기존 차량보다 더 업글하여 좌석 칸막이 부분에 손잡이 막대 2개 설치, 원맨운전화하고 자동방송장치 추가, 운전대에 서비스 장비 조작 스위치를 설치했으며, 각차량의 3대씩 대화형 비상통보장치가 설치되었다. 또한 3량편성으로 제작된 1024F는 처음부터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시범적으로 도어 상단에 출입문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다. 후에 1014-1018 편성에도 원맨화 개조가 설치되었다.
이케가미선용 1000N'계는 2000년까지 데하 1200형의 일부 좌석을 철거하고 휠체어 공간을 설치하였다. 도요코선 소속 차량도 2004년까지 2,7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었다. 이중 일부 차량에서는 벽면형 히터 설치도 이루어졌다. 2006년에 우선석의 손잡이도 교체되었다.
운전대는 9000계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제작, 색상은 차내 아이보리, 계기판은 갈색+와인색 섞은 색이다. 주제어장치는 데드맨 장치가 있는 T자형 원핸들의 왼쪽 공간에 무선 송수화기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속도계 및 표시등의 주위를 녹색으로 하여 9000계와 구별하고 있으며, 오른쪽에 승무원 연락용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케가미선용으로는 원맨 운전에 문 개폐 버튼, 차내·차외 안내방송용 마이크, 서비스 컴포넌트 조작 및 수중 스위치, 자동차에 ITV 장치 등이 추가되었다. 또한 운전실과 객실 사이에 자동도어를 설치하고 반대편 승무원실에도 자동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케가미선 계열의 열차에는 운전대 속도계 주변의 녹색이 철거되었다.
차장 스위치는 준공당시 전 차량이 기계식이었지만, 이케가미선용으로는 원맨 운전시 가로누름 단추식으로 변경되었다.
운전대와 객실의 분할 부분에는 전면 창문과 동일한 위치에서 분할 창 3장이고 분할창은 차광막 대신 하강식 차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용 차량은 왼쪽 2장의 유리가 차광 유리로 사용되고 있다.
차내 방송은 9000계와 같이 자동 방송장치가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히비야선의 자동 방송에 대응하지 않고 차장의 수동 방식이었으나, 훗날 일부 편성이 개조공사를 받았다. 2004년 가을 무렵부터 9000계와 똑같은 LED식 차내안내표시기가 1량당 4개, 승객용 도어 상단의 미닫이 틀 부분에 좌우 2개씩, 중앙문에만 좌우 양쪽에 설치되었다. 이케가미선 계열 차량도 차내 안내 표시기의 준비공사와 실내 조명의 LED화가 되고 있다.
9000계에서는 제작 당시 준비공사만 되어있던 차량 외부 스피커가 있었으나, 본 계열에서는 차량 외부 스피커도 설치되어 출고되었으며, 승강장 출입문 방송이 가능하다.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의 3량편성 9개 72량이 유키가야 검차구에 소속되어있다.
도요코선의 8량편성 7개 56량이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에 소속되어있었고, 토요코선, 히비야선 직통운행에 운용되었다.
히비야선 내 운용이나, 히비야선- 도요코선 직통운행으로 운용했으며, 히비야선의 샌쥬 검차구에 주박도 하였지만, 노선 협정이나 신호장비 등등으로 도부 이세사키선에 입선하지 못하였다.
또한 다음의 경우는 정기열차로 입선하지 않는 시부야~나카메구로/키쿠나~모토마치 츄카가이역 사이를 운행할수 있었다.
종별 표시는 도요코선->히비야선 직통시 '히비야선 직통'이라고 표시하며 반대로 히비야선에서 도요코선에 직통할시 원칙적으로 히비야선에서 아무 표시도 하지 않으며, 나카메구로에서 승무원 교대 할때 도큐 차장에 의해 각역정차로 표시한다.
이것이 1002F의 명판. 도큐차량 밑에 쇼와 64년이 1월 X일에 제작하였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image]
도큐 1000계 키니나루 열차
2004년 8월 16일부터 9월 10일까지 도요코선, 히비야선 직통운전개시 40주년을 기념해 1001F와 1002F에게 기념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그후 2007년 8월부터 1년간 이케가미선 개통 80주년을 기념해 1012F와 1023F 기념 스티커를 붙었다.
2016년 3월 18일에 1017F가 데하 3450형의 구 도큐 표준 도색으로 바꾸고 측면의 도큐 마크가 벗겨지고 TKK가 붙여 넣어졌다. 이 열차는 토고시긴자역의 나무로 되는 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동시에 손잡이 나무화와 목적지 표시기가 풀컬러 LED화로 되었다. 그러나 차내 안내표시기, 문 차임의 사용을 중지중이다.
[image]
도요코선과 히비야선의 상호 직통운전을 종료한 편성이 각종 개조공사를 받고 7700계등의 기존 차량 대체를 목적으로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으로 이적하였다. 편성은 쿠하 1000형-데하 1200형-쿠하 1100형을 개조하여 데하 1500형-데하 1600형- 쿠하 1700향의 3량편성화 되었다. 2014년 5월 10일 영업운전 재개.
개조후에는 차체 색상 범위를 7000계에 준한 짙은 그린리프+그린골드의 3색을 띠 색상으로 하였다. 그 외에 수납식 부분에 초승달 마크를 추가하고 있다. 개조전에 전면 컬러 범위에 있던 차량 번호 표기는 종별표시기 있던 장소로 바꿨고, 목적지 표시자도 롤지에서 풀컬러 LED화로 바꿨다.
목적지 표시자도 일본어+한글+영어+한자를 지원하며, 일본어와 한글을 교대로 표시한다. 전면은 노선명의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도 나타나고 직통 열차는 'ㅇㅇ선 직통'으로 표시한다.
차량은 7000계에 준한 목조장판, 먹색의 바닥 깔개에 새롭게 디자인된 좌석 표지는 녹색 계열로 대체해 좌석 사이에는 손잡이 막대가 추가되었다. 데하 1600형은 휠체어 공간도 설치되었다. 또한 실내 조명도 형광등에서 LED로 교체되었고, 비상통보장치는 경보식에서 대화식 비상통보장치 3개로 추가되었다. 운전대도 원맨운전장치가 추가되었다.
제어 장치는 중간차인 데하 1600형에 7000계와 동일한 도시바 보조전원공급장치 일체형의 VVVF 인버터 장치(SVF091-B0형 듀얼모드)로 교체했다. 또한 팬터그래프도 더블암 1개에서 싱글암 2개로 증설되었다. 메인 모터는 130kW 출력의 TKM-88형이 쓰인다. 보안 장치는 ATC-P가 제거되고 기존 도큐 ATS외 TASC가 설치되었다.
2017년 1월 현재 유카가야 검차구에 3량편성 7개 21량이 배속되어 있다.
편성표
2007년부터 투입된 이케가미선 계열의 신 7000계가 투입되고, 2013년 3월 히비야선의 상호직통운전 종료와 동시에 다수 폐차가 발생하고 있으며, 히비야선 직통용 일부 차량을 1500번대로 개조한것 말고도 다른 철도사업자에게 차량이 양도되었다.
리뉴얼후 이케가미선에서 운용중인 20편성
1. 제원
'''
2. 개요
도큐 9000계 전동차의 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개발된 18m급 3도어 구조의 스테인레스 차량이다. 9000계와 차체 및 전장, 문 수, 창문 수는 다르지만 기본적인 차체 구조와 전면 형상은 공통으로 개발되었다. 9000계와 비슷하면서도 다르게 제작된 이유는, 이렇게 하면 검수나 개조등을 할시 단가 절감등으로 유리한다고 한다. 그러나 9000계와의 구별을 위해 전면의 롤지 종별지시자는 주변이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본 계열에서도 9000계 뿐만 아니라 더 나은 거주성 및 승차감, 운전 조작성 향상, 에너지 절약, 보수성의 향상을 설계의 기본 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시리지는 1991년까지 도요코선의 영단 히비야선의 운행 차량으로 운용되던 7000계 초대 차량의 후속차량으로 투입된것과 이케가미선의 7200계 대체를 목적으로 투입된것으로 구분되며 이케가미선 투입용은 '1000N계'로 불리기도 한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도요코선 8량편성 8개 64량, 도요코선, 메카마선 겸용 4량편성 4개 16량, 이케가미선 3량편성 11개 33량 총 113량이 도큐차량에서 제조되었다.
도요코선용 차량은 2013년 3월 16일 도요코선과 후쿠토신선 상호 직통운전에 의한 히비야선 직통운전종료에 따라 도요코선에서 영업운전을 종료하였다. 이후 일부 차량은 3량으로 개조를 받고 1500번대로 번대 개명을하여 이케가미선 계열로 운용이 변경되었다.
3. 구조
3.1. 차체
9000계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스틸 경량 차체로 제작되었으나, 당시 히비야선의 열약한 수송 한계 능력이었던 18m를 초과할수 없었던 탓에 18m로 제작되었다. 창문 배치는 초대 7000,7200번대와 마찬가지로 제작되었다. 전면 형상은 9000계와 같이 비상구를 전면 좌측에 배치한 좌우 비대칭 구조로 하고, 비상구 쪽에 지하구간의 비상용 사다리도 설치되어 있다.
도요코선용 편성은 4호차의 바닥 전장품에 히비야선에서 사용되는 유도무선용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7호차에도 바닥 전장품에 당시 히비야선에서 사용하는 열차운행번호표시용 응답 블록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응답블록 본체는 후에 히비야선 운행관리시스템을 싸그리 바꾸면서 불필요해져서 철거했다. 또한 도요코선용은 훗날 전동차를 대상으로 차량간 전락방지덮개가 설치되었다.
3.2. 주요 장비
구동음. 맨처음부터 차례로 7700계, 1000계, 1000계 1500번대
9000계와 같은 VVVF 인버터 제어로 전기자동차중 'M1차'에 GTO 사이리스터 소자를 이용한 도요전기제의 ATR-H8130-RG621A형이 탑재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는 세계 최초의 히트파이프 냉각식 8개의 모터 일괄제어 VVVF 인버터이며, 후에 일본 각지의 전동차에 장착되게 된다.
도요코선 투입분은 이전 영단과의 노선 연장협정의 성능을 충족시켜 편성중 중간 차량은 모두 동력차로 되어 MT비가 6M2T로 높게 설정되었고, 제어 장치도 1개에서 2대분 8개의 주요 전동기를 제어하는 1C8M 방식이 채택되었다. 1C4M 제어방식을 채용한 9000계와 비교하면 MT비는 높지만 반대로 제어 장치의 대수가 감소해 그만큼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수 있었다.
1990년에 제작된 1010~1013F는 도요코선 및 메카마선 공통 예비 편성으로 4량으로 제조되었다. 도요코선 내에서는 1010+1011와 1012+1013으로 운용되었다. 이것은 종래 메카마선과 이케가미선은 18m 3비차라는 공통 규격의 차량이 사용된 두 노선에 예비차를 공통으로 운용할수 있었다. 그러나 1989년 3월부터 메카마선 차량은 4량으로 운용되고, 이케가미선의 일반 예비차 확보를 하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요코선에서 운용되는 히비야선 직통분 열차의 일부를 메카마선에게 공통으로 예비차량으로 한것이다.
이 4량 편성은 8량편성시 8량 관통편성의 MT비 통일 목적으로 3M1T로 편성되었기 떄문에 일부 차량의 제어장치에 대해 1C4M에서 사용하는것과 동시에 각 편성의 하행 선두차량이 제어전동차로 바뀌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8량편성으로 운용시에 중간에 포함될 선두차 4량은 연결시에 관통 덮개를 연결하여 관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면 관통문이 중앙에 배치된 점에서 다른 차량과 다른 모습 외에도 운전석의 크기가 줄어들었다. 또한, 동 4편성은 1000N계로 불리기도 한다. 평소에는 도요코선의 운용을 맡고 있었으나, 어떠한 사정으로 메카마선에서 차량 부족이 발생했을시, 4량 편성으로 분할하여 동선의 운용에 집중하고 있옸더.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도큐가 돌연 메카마선을 두개의 노선으로 분리시켜버리면서 4량편성 2개는 현재 남아있지 않는다.
한편 이케가미선 투입분은 2M1T의 3량편성으로 제조되었다. 각 차량에 제어장치를 탑재하는 1C4M 사양이 되었다. 1014F-1024F 열차는 1000N'계라고 불리며, 편성의 전동차 전차량이 제어장치를 탑재하기 때문에 차종 기호나 제어장치의 유무를 나타내는 숫자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주 전동기는 1C4M, 1C8M 구별없이 히타치또는 도요전기제를 사용하며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9000계와 동일한 강체가선 대응형의 PT44-SDM이다.
대차도 9000계와 같은 볼스터레스 대차이지만, 바닥 높이를 45mm 낮게하기 위해 설계 변경한 TS-1006,1007가 상요된다. 팬터그래프는 9000계와 똑같은 제를 쓰지만 높이를 낮게한 강체가선 대응형의 PT44-SDM 모양이다.
공기압축기는 8량 편성의 9000계와 똑같은 보조전원장치에서 심상교류 400V를 전원으로 하는 HS-20-1를 탑재한다. 4량 편성의 1000N계는 4량 편성이 보조전원장치가 열차 내에서 하나가 되기 위해, SIV 급전 방식이 아닌, 가선 급전방식의 HS-20G형으로 하여 SIV의 부하를 줄이고 있다. 또한 1000N'계는 1000N계와 마찬가지로 가선급전 방식이지만, 용량을 축소한 HS-10형을 사용하고 있다.
냉방장치는 도시바제 인버터 제어에 의한 능력가변식을 채용하여 제습운전도 가능하게끔 하였으며, 최대치는 10000kcal/h이다. 바닥에 인버터 제어 장치가 1량당 한개, 지붕에 집약분산식 냉방장치 본체가 1량당 3개 탑재되어 있다. 1005F까지 왕복식 압축기를 사용한 RPU-2214B형이었으나, 1006F이후부터 저소음형 스크롤 압축기를 사용한 RPU-2214C형을 사용하고 있다. 본 계열의 차량 냉방 확산방식은 냉각 덕트를 통한 방식을 채용하고 차체 전장에 걸쳐 냉풍덕트 분출구와 보조 송풍기인 라인 델리아가 수납된 판이 있다. 이 라인 델리아는 선두차량에 8대, 중간차에 9대 달려있다.
3.3. 보안장치
보안장치는 도요코선용은 처음에 히비야선의 WS-ATC와 도큐 ATS가 탑재되어 있었다. 그후 1997년 3월까지 도요코선의 신 ATC설치공사가 실시되었고 2003년 10월까지 히비야선 신 CS-ATC 설치공사가 실시되었다.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용은 도큐형 ATS와 TASC를 탑재하나, CS-ATC는 탑재하지 않는다. 1500번대는 이케가미선의 3량작업화 당시 CS-ATC를 철거하기도 했었다.
[image]
도요코선 ATC-P 장비
3.4. 선로표지판, 팬터그래프
이케가미선 투입분은 2005년 3월부터, 도요코선 투입분은 2006년 12월부터 선두차량에 보조 선로표지판의 설치를 시작했으나, 1005F와 1013F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1005F는 1500번대용 선로표지판이 장착되었기 때문에 현존하는 1013F만 유일하게 스커트 미 장착이 되었다.
또한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의 편성은 팬터그래프가 하부교차형 마름모꼴 더블암 방식에서 싱글암식으로 개조공사를 받았다.
4. 차내
내부는 9000계와 동일한 솔리드 패턴무늬를 사용하고 바닥은 갈색을 사용하고 있다. 주 전동기의 3상전력 화로 인해서 차내 바닥 전동기 점검 뚜껑은 설치하지 않는다. 좌석은 9000계에서 채용된 차량 단부의 크로스시트는 설치되지 않고 모두 롱시트 사용. 18m 3문 자동차의 차체 구조상 승객용 도어 사이의 좌석은 9명이며, 차량 단부는 4인용이다. 중간 좌석에 3-3-3 형태의 칸막이가 있는게 특징이며, 좌석 모켓도 오렌지, 브라운으로 교체되었다. 선반도 문 근처 가장자리까지 설치해 물건을 쉽게 올릴수 있게 되었다.
1992년에 새롭게 제조된 이케가미선의 1000'N계는 기존 차량보다 더 업글하여 좌석 칸막이 부분에 손잡이 막대 2개 설치, 원맨운전화하고 자동방송장치 추가, 운전대에 서비스 장비 조작 스위치를 설치했으며, 각차량의 3대씩 대화형 비상통보장치가 설치되었다. 또한 3량편성으로 제작된 1024F는 처음부터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어 시범적으로 도어 상단에 출입문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다. 후에 1014-1018 편성에도 원맨화 개조가 설치되었다.
이케가미선용 1000N'계는 2000년까지 데하 1200형의 일부 좌석을 철거하고 휠체어 공간을 설치하였다. 도요코선 소속 차량도 2004년까지 2,7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치되었다. 이중 일부 차량에서는 벽면형 히터 설치도 이루어졌다. 2006년에 우선석의 손잡이도 교체되었다.
4.1. 운전대
운전대는 9000계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제작, 색상은 차내 아이보리, 계기판은 갈색+와인색 섞은 색이다. 주제어장치는 데드맨 장치가 있는 T자형 원핸들의 왼쪽 공간에 무선 송수화기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속도계 및 표시등의 주위를 녹색으로 하여 9000계와 구별하고 있으며, 오른쪽에 승무원 연락용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케가미선용으로는 원맨 운전에 문 개폐 버튼, 차내·차외 안내방송용 마이크, 서비스 컴포넌트 조작 및 수중 스위치, 자동차에 ITV 장치 등이 추가되었다. 또한 운전실과 객실 사이에 자동도어를 설치하고 반대편 승무원실에도 자동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케가미선 계열의 열차에는 운전대 속도계 주변의 녹색이 철거되었다.
차장 스위치는 준공당시 전 차량이 기계식이었지만, 이케가미선용으로는 원맨 운전시 가로누름 단추식으로 변경되었다.
운전대와 객실의 분할 부분에는 전면 창문과 동일한 위치에서 분할 창 3장이고 분할창은 차광막 대신 하강식 차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용 차량은 왼쪽 2장의 유리가 차광 유리로 사용되고 있다.
4.2. 차내 정보기기
차내 방송은 9000계와 같이 자동 방송장치가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히비야선의 자동 방송에 대응하지 않고 차장의 수동 방식이었으나, 훗날 일부 편성이 개조공사를 받았다. 2004년 가을 무렵부터 9000계와 똑같은 LED식 차내안내표시기가 1량당 4개, 승객용 도어 상단의 미닫이 틀 부분에 좌우 2개씩, 중앙문에만 좌우 양쪽에 설치되었다. 이케가미선 계열 차량도 차내 안내 표시기의 준비공사와 실내 조명의 LED화가 되고 있다.
9000계에서는 제작 당시 준비공사만 되어있던 차량 외부 스피커가 있었으나, 본 계열에서는 차량 외부 스피커도 설치되어 출고되었으며, 승강장 출입문 방송이 가능하다.
5. 운용
5.1. 이케가미선용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의 3량편성 9개 72량이 유키가야 검차구에 소속되어있다.
5.2. 도요코선용
도요코선의 8량편성 7개 56량이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에 소속되어있었고, 토요코선, 히비야선 직통운행에 운용되었다.
히비야선 내 운용이나, 히비야선- 도요코선 직통운행으로 운용했으며, 히비야선의 샌쥬 검차구에 주박도 하였지만, 노선 협정이나 신호장비 등등으로 도부 이세사키선에 입선하지 못하였다.
또한 다음의 경우는 정기열차로 입선하지 않는 시부야~나카메구로/키쿠나~모토마치 츄카가이역 사이를 운행할수 있었다.
- 사고등의 예상치 못한 사태로 다이아에 지장이 발생하고 히비야선의 직통운전 중단이 된 경우 시부야행으로 운행한다.
- 연휴등 요코하마시 중심부에 대규모 수송이 예상될 때 한번 운행하는 임시열차' 미나토미라이'호에 운용하고, 히비야선 키타센쥬에서 모토마치.츄카가이까지 운행했었다.
종별 표시는 도요코선->히비야선 직통시 '히비야선 직통'이라고 표시하며 반대로 히비야선에서 도요코선에 직통할시 원칙적으로 히비야선에서 아무 표시도 하지 않으며, 나카메구로에서 승무원 교대 할때 도큐 차장에 의해 각역정차로 표시한다.
6. 편성
- 1차차 (1988년산): 1001F, 1002F
- 2차차 (1989년산): 1003F~1007F, 1010F+1011F
- 3차차 (1990년산): 1008F, 1012F+1013F
- 4차차 (1991년산): 1014F~1018F, 메카마선용 1000N'계 4량편성 5개
- 5차차 (1992년산): 1019F~1023F의 선두차량, 1024F 이케가미선용 1000N'계 13량
- 1002F
이 차량이 특별한 이유는 명판 도장날짜가 1월 1일~1월 7일 사이 1주일동안 명판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1월 7일에 쇼와 덴노가 사망하고 헤이세이 덴노가 즉위함으로써 쇼와 64년->헤이세이 원년으로 바꿔야 되는데 이미 명판이 제작되어서 쇼와 64년으로 인쇄되어 명판에 달아졌다.
[image]이것이 1002F의 명판. 도큐차량 밑에 쇼와 64년이 1월 X일에 제작하였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 1003F
2012년에 운용을 이탈하여 13년 1월에 종합차량제작소로 갑종 수송되었다.
- 1005F
위에 언급한대로 본 차량만 도입당시부터 다른차량들이 스커트를 설치하는동안도요코선에서 퇴출,이적 전까지 스커트를 설치하지않았다.(그후리뉴얼 할때 설치.)
- 1010F-1013F
위 4편성은 전술한바와 같이, 도요코선, 메카마선 겸용 편성으로, 준공당초 편성 전후 선두차의 전면 형상이 다르게 편성되었다.
1000N계의 구성형태
그후 히비야선의 직통열차 감편에 따라 2000년 1월에 1012F+1013F를 분할하여 메카마선에 전속하였다. 이때 양편성의 하행 선두차(데하 1312,1313)을 교체하여, 1012F가 표준 전면형상 선두차, 1013F이 전면 중앙부에 관통문을 가진 선두차로 통일되었다. 이것은 중앙관통 구조와 비대칭 관통 구조의 선두차량은 승무원실의 장비 배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선두차의 종류를 통일하여 기관사의 실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1012F는 같은해 4월부터 6월까지, 1013F는 같은해 2월부터 6월까지 메카마선 운전계통 분리후 이케가미,타마가와선 운용에 대비하여 3량 편성으로 단축 및 원맨운전 대응 개조 공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잉여가 된 중간차 2량(데하 1362,1363)은 폐차되었다. 편성은 데하 1350형의 편성 출력이 약해 쿠하 1000형에 탑재되던 보조전원장치 및 공기압축기를 1대 추가하였다.
또한 3량편성도 메카마선 운전계통 분리 이정에는 메구로역에 노선 연장운용이 존재했었다.
2003년 7월부터 8월에 걸쳐 1010F+1011F를 8량 고정편성으로 재조합하였다. 편성기준은 1010F+1011F 중간에 위치하고 있던 양 편성의 선두차를 상기한 폐차되는 1362,1363과 교환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데하 1363에 대한 전기 해제가 시공된 사하 1050형 1051과 새로운 형식 구분으로 개칭, 개번되었다. 이 차량은 4호차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유도무선 안테나도 설치되었다. 이 편성 기준에 따라 편성 사이에 보조전원공급장치 및 공기압축기의 위치 이전도 실시되었다. 그리고 편성에서 물러난 쿠하 1011, 데하 1310은 폐차되었다.
8량 관통 편성된후 도요코선용 1000N계
그후 쿠하 1011, 데하 1310은 약 6년간의 장기휴차 끝에 2009년에 폐차되었고, 일부 차량은 이가 철도로 양도되었다.
1010F에 대해서도 히비야선 직통 편수 감소에 따라 2008년 9월 하순에 운용에서 이탈하여 2009년에 폐차되었다. 중간차 6량은 해체되었으나, 쿠하 1010, 데하 1311에 대해서는 쿠하 1011, 데하 1310과 마찬가지로 이가 철도에 양도되었다.
1000N계의 구성형태
그후 히비야선의 직통열차 감편에 따라 2000년 1월에 1012F+1013F를 분할하여 메카마선에 전속하였다. 이때 양편성의 하행 선두차(데하 1312,1313)을 교체하여, 1012F가 표준 전면형상 선두차, 1013F이 전면 중앙부에 관통문을 가진 선두차로 통일되었다. 이것은 중앙관통 구조와 비대칭 관통 구조의 선두차량은 승무원실의 장비 배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선두차의 종류를 통일하여 기관사의 실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1012F는 같은해 4월부터 6월까지, 1013F는 같은해 2월부터 6월까지 메카마선 운전계통 분리후 이케가미,타마가와선 운용에 대비하여 3량 편성으로 단축 및 원맨운전 대응 개조 공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잉여가 된 중간차 2량(데하 1362,1363)은 폐차되었다. 편성은 데하 1350형의 편성 출력이 약해 쿠하 1000형에 탑재되던 보조전원장치 및 공기압축기를 1대 추가하였다.
또한 3량편성도 메카마선 운전계통 분리 이정에는 메구로역에 노선 연장운용이 존재했었다.
2003년 7월부터 8월에 걸쳐 1010F+1011F를 8량 고정편성으로 재조합하였다. 편성기준은 1010F+1011F 중간에 위치하고 있던 양 편성의 선두차를 상기한 폐차되는 1362,1363과 교환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데하 1363에 대한 전기 해제가 시공된 사하 1050형 1051과 새로운 형식 구분으로 개칭, 개번되었다. 이 차량은 4호차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유도무선 안테나도 설치되었다. 이 편성 기준에 따라 편성 사이에 보조전원공급장치 및 공기압축기의 위치 이전도 실시되었다. 그리고 편성에서 물러난 쿠하 1011, 데하 1310은 폐차되었다.
8량 관통 편성된후 도요코선용 1000N계
그후 쿠하 1011, 데하 1310은 약 6년간의 장기휴차 끝에 2009년에 폐차되었고, 일부 차량은 이가 철도로 양도되었다.
1010F에 대해서도 히비야선 직통 편수 감소에 따라 2008년 9월 하순에 운용에서 이탈하여 2009년에 폐차되었다. 중간차 6량은 해체되었으나, 쿠하 1010, 데하 1311에 대해서는 쿠하 1011, 데하 1310과 마찬가지로 이가 철도에 양도되었다.
- 1014F-1018F
이 5편성은 이케가미선용으로 1991년 제조된것이나, 이케가미선의 차량 한계 확폭 공사가 지연됨에 따라 잠정적으로 4량 편성으로 제작되어 메카마선에서 운영되었다.
메카마선 투입 당초 1000N'계
이듬해 1992년에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동 5편성은 중간차 1량을 편입하여 3량편성화 개조후 예정대로 이케가미선으로 이적하였다. 편성에서 제외된 중간차(데하 1219~1223)은 양 선두차(쿠하 1019~1023, 데하 1319~1323)을 신제 제작하여 3량편성화후 마찬가지로 이케가미선에 전속하였다. 이케가미선은 다른 노선에서 사용된 중고차량만 있었으며, 직접 신차를 투입하는 것은 이케가미 전기철도 시대 이후 63년만에 일이다.
그후, 신 7000계의 투입에 의해 2008년 1월에 1015F,1018F가, 같은해 7월에는 1014F,1016F가 각각 운용에서 이탈하였다. 이 4편성은 2량편성화 개조후, 2008년 8월부터 2009월 2월까지 모든 차량이 우에다 전철로 양도되었다. 또한 양도대상에서 제외된 중간차는 모두 폐차되었다.
도요코선-히비야선용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소속메카마선 투입 당초 1000N'계
이듬해 1992년에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동 5편성은 중간차 1량을 편입하여 3량편성화 개조후 예정대로 이케가미선으로 이적하였다. 편성에서 제외된 중간차(데하 1219~1223)은 양 선두차(쿠하 1019~1023, 데하 1319~1323)을 신제 제작하여 3량편성화후 마찬가지로 이케가미선에 전속하였다. 이케가미선은 다른 노선에서 사용된 중고차량만 있었으며, 직접 신차를 투입하는 것은 이케가미 전기철도 시대 이후 63년만에 일이다.
그후, 신 7000계의 투입에 의해 2008년 1월에 1015F,1018F가, 같은해 7월에는 1014F,1016F가 각각 운용에서 이탈하였다. 이 4편성은 2량편성화 개조후, 2008년 8월부터 2009월 2월까지 모든 차량이 우에다 전철로 양도되었다. 또한 양도대상에서 제외된 중간차는 모두 폐차되었다.
- 1003F는 2012년 운용을 이탈해 2013년에 종합차량제작소에 갑종 회송되었다.
- 1006F는 데하 1256과 데하 1456만 폐차되고 나머지 6량중 중간 차량은 모두 선두차화 개조공사를 받고 이가 철도로 양도되었다.
범례
- CONT-주제어
- cont- 주제어
- SIV - 보조동력 장치
- CP - 공기압축기
7. 차체 장식
[image]
도큐 1000계 키니나루 열차
2004년 8월 16일부터 9월 10일까지 도요코선, 히비야선 직통운전개시 40주년을 기념해 1001F와 1002F에게 기념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그후 2007년 8월부터 1년간 이케가미선 개통 80주년을 기념해 1012F와 1023F 기념 스티커를 붙었다.
2016년 3월 18일에 1017F가 데하 3450형의 구 도큐 표준 도색으로 바꾸고 측면의 도큐 마크가 벗겨지고 TKK가 붙여 넣어졌다. 이 열차는 토고시긴자역의 나무로 되는 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동시에 손잡이 나무화와 목적지 표시기가 풀컬러 LED화로 되었다. 그러나 차내 안내표시기, 문 차임의 사용을 중지중이다.
8. 1000계 1500번대
[image]
도요코선과 히비야선의 상호 직통운전을 종료한 편성이 각종 개조공사를 받고 7700계등의 기존 차량 대체를 목적으로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으로 이적하였다. 편성은 쿠하 1000형-데하 1200형-쿠하 1100형을 개조하여 데하 1500형-데하 1600형- 쿠하 1700향의 3량편성화 되었다. 2014년 5월 10일 영업운전 재개.
개조후에는 차체 색상 범위를 7000계에 준한 짙은 그린리프+그린골드의 3색을 띠 색상으로 하였다. 그 외에 수납식 부분에 초승달 마크를 추가하고 있다. 개조전에 전면 컬러 범위에 있던 차량 번호 표기는 종별표시기 있던 장소로 바꿨고, 목적지 표시자도 롤지에서 풀컬러 LED화로 바꿨다.
목적지 표시자도 일본어+한글+영어+한자를 지원하며, 일본어와 한글을 교대로 표시한다. 전면은 노선명의 '이케가미선, 타마가와선'도 나타나고 직통 열차는 'ㅇㅇ선 직통'으로 표시한다.
차량은 7000계에 준한 목조장판, 먹색의 바닥 깔개에 새롭게 디자인된 좌석 표지는 녹색 계열로 대체해 좌석 사이에는 손잡이 막대가 추가되었다. 데하 1600형은 휠체어 공간도 설치되었다. 또한 실내 조명도 형광등에서 LED로 교체되었고, 비상통보장치는 경보식에서 대화식 비상통보장치 3개로 추가되었다. 운전대도 원맨운전장치가 추가되었다.
제어 장치는 중간차인 데하 1600형에 7000계와 동일한 도시바 보조전원공급장치 일체형의 VVVF 인버터 장치(SVF091-B0형 듀얼모드)로 교체했다. 또한 팬터그래프도 더블암 1개에서 싱글암 2개로 증설되었다. 메인 모터는 130kW 출력의 TKM-88형이 쓰인다. 보안 장치는 ATC-P가 제거되고 기존 도큐 ATS외 TASC가 설치되었다.
2017년 1월 현재 유카가야 검차구에 3량편성 7개 21량이 배속되어 있다.
편성표
9. 중소 사철로의 양도
2007년부터 투입된 이케가미선 계열의 신 7000계가 투입되고, 2013년 3월 히비야선의 상호직통운전 종료와 동시에 다수 폐차가 발생하고 있으며, 히비야선 직통용 일부 차량을 1500번대로 개조한것 말고도 다른 철도사업자에게 차량이 양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