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릴(SNK)
'''온 힘을 다하게 만든 네놈 잘못이다!''' (本気にさせたてめえが悪いんだぜ!)[2]
○ XIV의 시전 대사
1. 개요
아랑전설, KOF 시리즈의 야마자키 류지가 사용하는 초필살기. 길로틴이 아랑전설3부터 나온 반면 드릴은 리얼 바웃 아랑전설에서 잠재능력 초필살기로 첫 등장했다.
현재의 모션은 리얼 바웃 아랑전설 스페셜에서 완성된 것이며 리얼바웃 아랑전설의 모션은 이후의 모션보다 히트 수가 적고 모션도 썰렁한 편이다. 중간의 난무보다 피니쉬 공격에 훨씬 더 집중한 느낌이다. 총 다섯 가지 버전이 있다. 가장 위력적인 것은 반사기가 아닌 '''장풍으로서의''' 배로갚기 버전. 오직 궁극의 단계에서만 시전된다. 저래봬도 MAX 갤럭티카 팬텀, 버그데미지가 적용된 MAX 파이널 브링거 다음으로 강한 MAX 초필이다.
리얼바웃 당시의 커맨드는 근접해서 레버1회전+C. KOF는 근접해서 →↘↓↙←→↘↓↙← + A or C.
2. 사용례
상대방을 잡아서 어퍼컷을 날린 후에 기를 모은다. 여기서 버튼을 연타하면 A와 C(아랑전설 시리즈에선 C만) 연타횟수에 따라서 4개의 다른 연출(당연히 단계별로 데미지도 다르다.)로 공격해준 후 세드매저의 어퍼를 날리는데 찰나에 잠깐 보이던 드릴 같은 기 뭉치가 3배로 확대되어 3초 정도 나타난다.
시리즈에 따라 연출이 조금씩 다르고 MAX 초필살기까지 존재하는 게임에서는 골라쓰는 재미가 있다. 막상 실전으로 가면 일반시에는 가장 데미지가 높은 뱀술사 난무버전, MAX시에는 뱀술사 버전 바로 앞의 C기본잡기 모션 버전인 3단계를 주로 사용한다. 이는 MAX판 드릴의 뱀술사 버전은 무려 43타나 때리기 때문에 상대의 기가 거의 1칸 가까이차버리는 반면 C기본잡기 모션버전은 처음과 맨 마지막을 제외하고 상대방의 기가 전혀 차지 않으면서 대미지 차이도 거의없다. 물론 마지막 상대가 거의 죽을 때가 다 되면 MAX라도 4단계 넣어도 된다. 어차피 죽고 라운드도 끝이니까.
02, 03에서의 낮은 단계의 드릴은 정말 대미지가 안습해져서 필히 연타를 해줘야한다. 어느 정도냐면 MAX 드릴의 1단계판과 노멀 길로틴의 데미지가 똑같다.
타수에 따라서 단계가 달라지며 1단계는 0-4회 연타, 2단계는 5-8회, 3단계 9-12회, 4단계는 13회 이상이다. 5단계는 98UM의 우라 야마자키만 가능하며 13회 이상 연타 후 A+B+C를 누르면 나간다.
각 단계의 달라지는 모션은 다음과 같다. 마지막 공격은 늘 사드마조 펀치의 다단히트 버전이며 MAX버전이 더 히트수가 많다.
- 노말 1단계: 확 찌르기-길로틴의 어퍼-근접 강발
- 노말 2단계: 근접 약발-원거리 약발-수직점프 강발-지상 날리기-밟기-원거리 강발
- 노말 3단계: 다시 잡아 든 다음 폭탄 박치기 8연타
- 노말 4단계: 뱀술사 21연타
- 노말 5단계: 배로 갚기에서 사용되는 장풍 7연타
- MAX 1단계: MAX 길로틴의 밟기모션으로 7번 밟고 근접 약발-원거리 약발-모래차기
- MAX 2단계: 모래차기-심판의 비수 12연타
- MAX 3단계: 다시 잡아 든 다음 C잡기 모션으로 14번 땅에 박아 버린 뒤 폭탄 박치기
- MAX 4단계: 뱀술사 33연타
- MAX 5단계: 배로 갚기에서 사용되는 장풍 11연타.
3. 역사
KOF 97의 MAX 버전은 어째서인지 2단계가 4단계보다 아주 약간 강하다. 4단계는 상대 기를 엄청나게 채워주는 문제도 있으므로 이런 이유로 2단계를 애용하게 된다.
리얼 바웃 2과 KOF 98UM에서도 클래식 야마자키에 드릴 5단계인 배로 갚기 난무가 추가되었다,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기 1줄을 더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MAX로 사용할 경우 아주 시원한 타격감과 큰 데미지를 자랑한다. 다만 98UM ABC의 입력 타이밍이 거의 저스트 프레임 급이며 실패시 1단계로 초기화된다. 혹시라도 실수하면 폭망.
98 UM에 클래식 야마자키가 생기면서 노멀과 클래식의 구분이 미세하게나마 생겼는데 노멀은 97 때부터의 "으으으으...."하는 음성인데 반해 클래식은 리얼바우트 스페셜 시절의 "오이야아아아-!!"하는 음성이다.
드릴을 사용하고 버튼연타후에 단계가 결정나서 야마가 때리고 있는 중에도 계속 연타를 하고 있을 경우엔 드릴이 끝나고 나서 야마자키 특유의 웃는 모션이 나간다. 쿄의 무식 연타 후의 도발과 비슷하다. 몬데그린으로는 "김태희, 신대감!!!"이 있다. 원문은 "いっぺんしんでこーい!!!!"("잇펜 신데코이!!!!")로, 원래 뜻은 "그럼 한번 죽어봐라!!!!"
와일드 앰비션 버전에서는 더욱 더 모션이 화려해졌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감이 있다.
CAPCOM VS SNK 시리즈에서는 배리에이션으로 인해 2는 C 그루브[3] 의 경우 12종의 드릴을 볼 수 있지만, 히트 수와 타격의 쾌감이 별로라는 것이...
그가 등장을 거듭하면서 진화를 이뤘고 리얼바우트 아랑전설 2에서 기어이 완성이라는 결실을 본 기술. RB의 4단 드릴이 RBS에서는 커맨드만 입력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 그 증명일지도.
KOF XIV에서는 최고 등급인 CLIMAX 초필살기로 등장한다. 그리고 발동할 때 '''온 힘을 다하게 만든 네놈이 잘못한 거다!'''라고 기분나쁘게 약올리는 대사가 추가되었다. 여기서는 연출이 변경되었는데 먼저 시전할 때 기존의 어퍼컷이 아니라, 땅에 던지고 그 반동으로 튕겨 올라오는 사이에 기를 모은다. 각 단계별 달라지는 모션은 다음과 같다. 컷씬은 2단계부터 적용된다.
1단계: 중단 킥-기합 넣기-2번 즈려밟기-지상 CD
패대기 40, 중단 킥 19, 기합넣기 18, 즈려밟기 18×2, 지상 CD 54, 피니시 17+(8 x 11)+127 합계 399.(무보정)
패대기 20, 중단 킥 10, 기합넣기 10, 즈려밟기 10×2, 지상 CD 30, 피니시 10+(5×11)+75 합계 230.(풀보정)
2단계: 킥-4번 즈려밟기-지상 CD
패대기 40, 킥 38, 즈려밟기 18×4, 지상 CD 36, 34+(8 x 11)+127 합계 435.(무보정)
패대기 20, 킥 20, 즈려밟기 10×4, 지상 CD 20, 피니시 20+(5×11)+75 합계 250.(풀보정)
3단계: 도구로 상대를 내려치기.[4]
패대기 40, 도구 내려치기 114 피니시 36+9 x 11)+162 합계 451.(무보정)
패대기 20, 도구 내려치기 60, 피니시 20+(5×11)+90 합계 245.(풀보정)
2단계 보다 풀보정 대미지가 5 낮다. 풀 보정 상황에서는 보통 4단계를 쓰지만 혹여라도 낮은 단계로 쓴다면 3단계는 거르자.
4단계: 뱀술사 난무. 이전까지의 뱀술사 난무와 다르게 양손으로 마구 후려친다. 자세나 형태를 보면 천수나한살과 비슷하다.
이 모션을 두고 일부는 ..!!나 광권과 비슷하다고 하지만 그 두 기술의 난무는 바닥에 눕혀놓고 하는거라 형태가 다르다. 그리고 EX 뱀술사처럼 상대를 잡아 자기 앞으로 데려와서 마무리를 날린다. 총합 히트수가 이전의 MAX 4단계 43보다 더 높은 63이라 파워 게이지를 왕창 체워주므로 상대의 마지막 엔트리인 대장을 확실히 끝낼수 있을때만 사용해야 한다.
뱀술사 난타는 2~38히트 구간에서는 야마자기가 상대를 두들겨 패는 것을 보여주다가 39~50히트 구간에서는 카메라 앵글이 바뀌며 열나게 두들겨 맞는 피격자의 상반신만 보여주는 컷으로 전환되며 컷이 전환 될때 대미지를 주는 방식이 달라진다. 2~38히트 구간은 0대미지가 섞이지만 39~50히트 구간은 0대미지가 섞이지 않는다. 그리고 50히트 때는 이제까지의 난타와 다르게 대미지가 더 크게 들어간다. 0대미지 구간이야 13부터 이어진거니 그렇다 쳐도 50히트의 대미지만 다른 이유는 불명.
패대기 40, 뱀술사 난타 카메라 앵글 1 (4 x 19)+(0 x 18)=76, 뱀술사 난타 카메라 앵글 2 9+(8 x 10)=89, 50히트 25, 피니시 36+(8 x 11)+120 합계 474.(무보정)
패대기 20, 뱀술사 난타 카메라 앵글 1 (2×19)+(0×18)=38, 뱀술사 난타 카메라 앵글 2 5×11, 50히트 15, 피니시 22+(5×11)+75 합계 280.(풀보정)
무보정시에도 474로 클맥 초필중에선 순위권의 고대미지 기술이고 풀 보정시에도 대미지가 상당하므로 가장 애용되는 단계지만 앞서 말했듯 히트수가 엄청나서 파워 게이지를 많이 체워주니 상대 팀의 대장을 끝낼수 있을때가 아니면 대미지를 희생하더라도 2단계를 써주자. 어차피 2단계 클맥 풀 보정 대미지도 제법 높은 축에 속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