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울 속요
ラバウル小唄
1. 개요
일제의 군가/전시가요. 1944년에 발표되었다.
원래는 닛타 하치로(新田八郞)가 부른 남양항로(南洋航路)라는 노래였다. 시마구치 코마오(島口駒夫)가 곡을 만들었으며, 와카스기 유자부로(若杉雄三郞)가 가사를 붙여, 1940년 9월에 빅타레코드(현 빅터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되었다.
일제는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연맹에 의해 구 동맹국(주로 카이저 독일)의 식민지였던 태평양의 내남양 지역(미국령 괌을 제외한 마리아나, 트럭, 팔라우 제도)에 대한 신탁 통치를 실행하고 있었다. 내남양지역의 위임통치는 국책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1920년에는 내남양 신탁통치령의 통치를 위해 남양청이 신설되었다. 전전 일제에게 있어 남양 진출은 중요한 사업이였으며, 일본우선[1] 을 위시한 해운업체의 태평양 진출, 대일본항공의 적도항로 개척 등의 남양 진출 사업들이 일제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런 남양 붐(南洋ブ-ム)은 개전 직전까지 이어졌다. 남양항로 역시 이런 분위기에서 만들어졌다.
당 항목에서 소개하는 라바울 속요는 대략 1944 - 45년 무렵에 처음 불렸다고 추측한다. 남양항로의 음을 따서 개사되어 불러진 것이 시초였으며, 속요(小唄 Kouta)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정형화된 가사 없이 사람들의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져오는 노래였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음반으로 정식 취입되었다.
해당 곡의 개사 시기와 주체에 관해서는 대전 말기 파푸아뉴기니 라바울 전역에서 후퇴한 병사들로 짐작된다. 군가보다는 전시가요의 성격이 짙으며, 또한 전시가요임에도 전쟁과 관련된 가사는 없다. 주로 남양지에 주둔한 병사들이 느꼈던 이국적인 느낌과 추억을 노래하고 있다.
전후 발매된 음반에서는 본 곡의 제목인 라바울 속요(ラバウル小唄) 이외에도 ‘라바울 속요 (남양항로)’(ラバウル小唄 (南洋航路)) 라는 제목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라바울 속요 (남양항로)로 소개된 경우 2~3절 이후의 노랫말로 남양항로의 노래가사가 들어가기도 하였으며, 일부 음반에서는 작사자가 若杉雄三郞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여담이지만, 북녘 왕국의 핵종 뽀그리우스 황제 가 즐겨 불렀다고 알려져있다.[2] 그리고 1.4 후퇴때 흥남에서 피난하던 실향민들이 '함흥'으로 가사를 바꿔 부르면서 실향에 대한 아픔을 달랬다 한다. 대한민국 해병대에서는 '말뚝가'라는 사가로 개사되어 불렸으며, 대한민국의 해병대를 제외한 군대에서는 '이제가면 군바리다'라는 사가'로 불렸다.[3] 중화민국 국군에서도 타이완 진행곡(台灣進行曲)이라는 이름의 군가로 개사되어 불리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찬송가로 개사되어 불리고 있다.(라바울 속요와 개사된 곡들)
2017년작 영화 군함도에서 나온다.
2. 음원 및 가사
''' 원곡 남양항로(南洋航路)의 가사.'''
'''* 라바울 속요(ラバウル小唄)의 가사.'''
[1] 닛폰유센. 미쓰비시 그룹의 자회사로 출발한 회사이며, 현 일본 유수의 해운회사중 하나인 NYK Lines로 이어지고 있다.[2] 김정일의 요리사에서 언급되었다.[3]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인 음은 라바울 속요와 상당히 흡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