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의 모험/직업

 


1. 개요
2. 기본 캐릭터
2.1.1. 장단점
2.1.2. 추천 아이템 / 세팅
2.1.3. 스킬
2.2.1. 장단점
2.2.2. 추천 아이템 / 세팅
2.2.3. 스킬
2.3.1. 장단점
2.3.2. 추천 아이템 / 세팅
2.3.3. 스킬
2.4.1. 장단점
2.4.2. 추천 아이템 / 세팅
2.4.3. 스킬
3. 히든 캐릭터
4. 관련 문서


1. 개요


스핏파이어, 레인저, 버서커, 웨펀마스터, 그리고 히든 캐릭터인 소울브링어, 런처까지 총 6개다.

2. 기본 캐릭터


기본적으로 플레이 할 수 있는 캐릭터들, 장비 착용과 2차각성이 가능하다.
스핏파이어는 0.1버전, 레인저는 1.2버전, 버서커는 1.8버전, 웨펀마스터는 2.4버전에 추가되었다. 스핏파이어, 레인저는 버전이 오르면서 조금씩 스킬이 추가되었다.
한때 로그, 런처 등으로 레바의 모험 상상패치를 하는 사람이 있었다만[1], 런처만은 정말 나왔다.

2.1. 스핏파이어


레스트바티칸의 직업으로, 탄 버프나 류탄, 각종무기로 공격하는 거너. 스킬의 종류가 다양하다.
카카오와 레바 작가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이다. 사기라서 그렇다고 한다.(레바작가는 원작 한정)
스핏파이어인데 머스켓이나 보우건이 아닌 원작의 메카닉의 주무기인 자동권총 위주로 쓴다. 탄 버프를 통한 안정적인 원거리 지속딜이 특징. 파이널에서 무적기가 다수 사라졌지만 원거리 평타를 주무기로 쓰므로 충격파에 잘 당하지 않으며 기절이나 빙결 등의 상태이상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본작과는 달리 C4에 상대방의 이동속도는 느려지게 한다거나 하는 기능도 없는데다 1번쓰면 쿨타임이 지나도 사용이 안되던 시절이 있었다.
닐 스나이핑이 시리즈에 따라 사기기술이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난이도 시스템이 추가되고, 난이도별로 체력과 방어력이 증가하게 되면서 닐 스나이핑은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닐 스나이핑 강화 아이템을 껴도 전체 스테이지 중간 이후를 지나면 닐 스나이핑이 주는 데미지가 확 약해진다.
오버드라이브나 데스 바이 리볼버 같은 전체 데미지 강화 버프기가 아닌 평타만 강화하는 탄 버프를 가지고 있지만, 섬광류탄의 감전 지속시간이 매우 길고 감전에 걸린 적에겐 스킬로도 추가 데미지가 들어가므로 반드시 적에게 감전을 걸어야 제대로 된 딜링이 나온다.
탄 버프는 두 가지가 있는데, 다단 히트가 가능하고 아이템 시너지를 잘 받는 대신 폭발로 인해 뜨는 고도가 낮아 안정적인 콤보가 힘든 작열탄과, 단타로 강한 데미지를 주지만 아이템 시너지를 노리기 힘든 철갑탄으로 나뉘어져 있다. 구 버전에선 은탄도 존재했으나, 파이널 버전 기준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철갑탄을 강화하는 스틸불릿 브레히트를 써도 감전된 적에겐 작열탄이 더 강하므로 사실상 작열탄만 쓰게 된다.
보스전에 특화되어 있는 직업이라 요원R이나 점심밥을 가장 쉽게 죽일 수 있다. 요원R은 히트 수만큼 데미지를 받았다가 파이널에서 정상적으로 데미지를 받게 됐지만 가장 안정적으로 장거리 지속딜을 투사할 수 있기애 여전히 쉬운 편이다. 점심밥 또한 플래시 마인, 닐 스나이핑 등으로 슈퍼아머를 깨부순 후 다단히트로 안정적으로 요리할 수 있다.
다단히트 스킬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고 화속성 데미지와 감전 디버프를 걸 수 있어 거의 모든 아이템과 궁합이 잘 맞는 편. 다만 2각 패시브가 사실상 없는데다[2] 2차 각성기의 데미지도 약한 편이라 2각 완료시에도 그리 강해지진 않는다. 그리고 종결급 무기의 자체 성능도 타 캐릭에 비해선 떨어지는 편. 하지만 캐릭 자체 성능이 월등하다 보니 최종셋팅 시엔 다른 캐릭터랑 비슷해지는 수준이다.
2.8버전까진 웬만한 필드는 무큐 없이 깨고 최고난이도 보스를 아이템 없이도 손쉽게 깰 정도의 사기캐였으나, 파이널에서 섬광류탄의 데미지감소와 류탄 무적 삭제, 크로스모어 무적 삭제 등의 큰 너프를 받아 일반 유저들이 잘 못 쓸 정도로 '무적기 고인' 이 되어버렸다. 물론 무적기 고인이라는 거지 아예 고인이 아니다. 17년 말 이후의 대부분의 유저의 평가는 '너프 당해도 여전히 강캐'.
현재 원작의 스핏파이어는 대부분의 스킬들이 뜯어고쳐졌으니 과거 스핏의 향수를 느껴보고 싶다면 추천한다.

2.1.1. 장단점


'''장점'''
<color=black>
* '''강력하고 안정적인 화력'''

* '''다양한 상태이상과 닐 스나이핑의 유틸성'''
'''단점'''
<color=black>
* '''적은 무적기'''

* '''높은 난이도'''

2.1.2. 추천 아이템 / 세팅


무기
어떤 무기를 착용하더라도 일정 이상의 성능은 보장하지만, 반대로 얘기해서 뚜렷하게 가장 좋은 무기라고 꼽을 수 있는 무기가 있지도 않다. 자신의 취향과 플레이스타일에 따라 적절한 장비를 찾아 착용하는 것이 최선.
* 철갑탄과 ~관통력을 강력하게 강화시키는 '''스틸불릿 브레히트'''
* 화속성 강화와 추가 스킬, 파열류탄 & 네이팜 범위 증가 옵션을 달고 있는 '''소닉 붐'''
* 강력한 추가데미지 옵션을 갖고 있는 '''데스 바이 오토건'''
* 3%의 로또를 노리는 '''마이스터의 개조오토건 레볼루션'''
* 종결급 추가 데미지와 미칠 듯한 빙결로 승부를 보는 '''프로스페로''' (+ 웨펀마스터의 확률 주작)
* 산탄 옵션의 넉백과 강력한 일격 닐 스나이핑을 노리는 '''폭풍전야'''
반지
반지는 섬광류탄의 감전 디버프를 활용할 수 있는 검은형체의반지-전이나, 추가 데미지 옵션을 갖고 있는 두개의 반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 섬광류탄의 감전 디버프를 활용할 수 있는 '''검은 형체의 반지-전'''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반지'''
*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형 반지 '''사신의 숨결'''
목걸이
무엇을 끼더라도 무난한 스핏파이어답게 장비의 선택폭이 굉장히 넓은 편이다.
* 닐 스나이핑 무기 시너지를 보고 착용하는 '''스나이퍼 스코프'''
* 작열탄 및 네이팜탄 시너지 세트템, '''제라드의 갑옷 조각'''
* 섬광류탄의 감전 디버프를 강화시키는 '''쇼크 웨이브'''
* 살을 주고 뼈를 깎는 초 극단적 하이리스크 세팅, '''광기의 목걸이'''
* 무난한 추가 데미지를 받는 '''패왕의 목걸이'''
팔찌
다른 장비와 마찬가지로 선택폭이 넓다. 다양한 세팅을 시험해 보자.
* 닐 스나이핑 삼종신기의 마지막인 '''스나이프 패닝'''
* 화속성 데미지 증가 옵션을 달고 있는 '''제라드의 장갑'''
* 언제나 무난한 추가데미지 옵션 '''패왕의 팔찌'''
  • 추천 세트 1
무기
소닉 붐 or 폭풍전야
목걸이
제라드의 갑옷조각
팔찌
제라드의 장갑
반지
검은 형체의 반지 - 전 or 패왕의 반지
화속셋. 작열탄의 데미지가 극단적으로 상승하고, 폭풍전야를 착용하였을 경우 네이팜이 보는 이가 뿌듯해지는 데미지를 내게 된다. 단점은 작열탄 탄버프가 걸리지 않았을 때의 딜 누수 현상. 캐스팅이 취소되거나 하지 않는 이상 쿨타임보다 지속시간이 더 긴 탄버프 특성상 컨트롤에 주의한다면 그다지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 킹까지는 마검빼고 무난히 개통한다.
  • 추천 세트 2
무기
마이스터의 개조오토건/마이스터의 개조오토건 레볼루션
목걸이
블러드 아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검은 형체의 반지 - 전
로또 퍼레이드 세팅. 매 히트마다 확률이 계산되는 특성상 작열탄을 켜고 섬광류탄을 던진 후 블랙로즈 전대와 함께 신나게 총질을 하다 보면 분수마냥 터져 나오는 레이징 퓨리과 함께 산화되는 적의 모습을 구경할 수 있다. 단, 다단히트로 확률을 보정했다 하더라도 어디까지나 확률이기 때문에, 옵션이 터지지 않을때 다른 세트에 비해 딜로스가 발생한다는 것이 단점이나 레볼루션일 경우 작열탄에 데클키고 평타만 쓰면 게이볼그 펀치가 날라오는 기적을 볼 수 있다...
  • 추천 세트 3
무기
강력한 확대의 머스킷 : 닐 스나이핑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스나이퍼 패닝
반지
패왕의 반지 or 사신의 숨결
통칭 닐스셋. 닐 스나이핑의, 닐 스나이핑을 위한, 닐 스나이핑에 의한 아이템 세팅. 전부 다 착용하였을 경우 닐 스나이핑을 총 10발 사격할 수 있고, 후딜이 70% 감소한다. 말 그대로 닐 스나이핑을 극단적으로 강화하는 세팅. 스나이퍼 스코프는 추뎀 30%이 아닌 데미지 30 추가라 쓰레기. 노말 마검 피가 5000이 넘는것을 보면 그냥 패목이 답이다. 단점은 닐 스나이핑 이외의 시너지라 할 것이 없다는 점. 이걸 끼면 크레인의 난이도가 매우 낮아진다. 닐스 연사 후 네이팜탄 하나 써주면 그대로 죽는다. 하지만 네이팜탄은 랜드러너가 맞아서 미사일이 날라오니 크로스모어를 사용하자.
  • 추천 세트 4
무기
플라잉 건즈
목걸이
쇼크 웨이브 or 제라드의 갑옷 조각 or 패왕의 목걸이
팔찌
창공의 무법자
반지
검은 형체의 반지 -전 or 패왕의 반지 or 사신의 숨결
공중사격셋. '''이론상''' 레바의 모험 최강의 딜을 자랑하는 세팅이다. 순수하게 데미지만 보면 마검같은 최종셋팅급의 딜을 뿜어낼 수 있다. 하지만 공중사격의 공격 범위가 애매해서 맞추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 공중사격중엔 무적 판정이 없으므로 적을 놓치면 그대로 얻어맞게 되며 플레이어 위치로 충격파나 미사일 등을 떨어뜨리는 적에게는 공중사격 사용이 봉인된다. 잡몹용 셋팅이라 보면 된다. 스테이지 9까진 쓸만하다. 참고로 쇼크 웨이브를 낄 경우 섬광류탄을 안 던져도 감전이 아주 잘 걸린다.
* 추천 세트 5
무기
프로스페로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사신의 숨결
종결셋. 프로스페로 덕분에 적을 때릴 때마다 계속 얼려대며, 아이스니들의 데미지가 상당하다. 버프와 각성기를 총동원하면 슬레이어 마검마저 원콤낼 정도.
  • 전직업 공통 깡딜셋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사신의 숨결
매우 얻기 힘든 패왕의 목걸이, 사신의 숨결 때문에 쓰는 사람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2.1.3. 스킬


  • A 혹은 Z - 잭스파이크
근거리의 적을 띄운다. 발동 속도가 느린 편.
A키로 쓰면 평타를 즉시 캔슬하며 나가지만 Z키로 하면 늦게 나간다. 미친듯이 잠깐이지만 무적판정이 존재한다.
  • S - 라이징 샷

get smash

적을 띄우는 탄을 발사한다.
  • D - 크로스모어

Cross!

산탄을 발사한다. 적을 밀쳐낸다. 파이널 버젼에서 무적판정이 사라졌다.
  • F - 파열류탄

Buster ready

스킬키를 누르면 5발이 장전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수류탄을 던진다. 본래 무적판정이 있었으나 파이널 패치에서 장전 중 및 후딜레이 동안의 무적시간은 남고 투척 중 무적시간이 사라졌다. 이는 아래의 섬광류탄과 빙결류탄도 마찬가지다.
  • G - 섬광류탄

Flasher ready

4발 장전. 적에게 15초간 감전을 건다. 항시 유지해야 하는 디버프다. 감전 딜이 상당하다. 작열탄과의 시너지가 좋다.
  • H - 빙결류탄

Freezer ready

3발 장전. 적을 빙결상태로 만든다. 작열탄이나 네이팜탄 등의 화속성 공격을 맞추면 풀린다.
  • Q - 작열탄, 철갑탄

작열탄: Flame shot loaded

철갑탄: Steel shot loaded

스킬 시전 후 위, 아래 방향키로 각각 작열탄, 철갑탄을 시전할 수 있다. 1.5초 정도 기다리면 무적상태가 된다.
작열탄은 강력한 데미지와 다단히트 덕분에 주력 스킬이다.
철갑탄은 공격력과 관통력이 우수하나 철갑탄을 강화시켜주는 아이템이 거의 없다. 게다가 단발 히트라서 감전과의 시너지도 적어 공격력도 작열탄에 밀린다.
꼭 써야만한다면 데인저클로즈랑 같이.....
  • W - 플래시 마인

In trapping

바닥에 지뢰를 설치한다. 명중하면 띄우기와 함께 기절이 걸린다. '''슈퍼아머를 깰 수 있는 기술.'''
슈퍼아머가 있는 적에게 빙결류탄을 던지고 플래시마인을 그 밑에 깔고 빙결이 풀리면 적 기절 후 폭딜을 넣을 수 있다
  • E - 원격조작 C4

(격발 시) Crack down!

적에게 3개의 폭탄을 부착해 터트린다. 부착시 적에게 경직을 건다. 다만 근접해야 되거니와 그러면서 적에게 쳐맞을수 있기에 잘 안쓰인다.
부착된 적이 죽으면 격발시키지 않아도 터지는데, 그 이후 공격하면 적이 멀리 밀려나는 버그가 있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R - 네이팜탄
> Burning shot!
전방 바닥에 네이팜탄을 쏴서 폭발을 일으켜 적을 띄운후 바닥에 화염지대를 생성.
프로스페로를 낄 때 네이팜탄이 수속성으로 바뀐다, 판정은 듀란과 아킬레스를 닐스 등등으로 다시 얼리면 냉기의 사야와 동일한 판정으로 피가 쭉쭉 빠지는 버그가 생긴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T - 닐 스나이핑

Back up! (사격 성공 시) Good, Kill, OK

사용시 무적과 동시에 화면이 던파와 동일하게 변한다. ( )
'''스핏의 아이덴티티'''
조준대를 방향키로 움직이고 스킬키로 공격을 한다. 6발 장전이며, 명중된 적은 기절에 걸린다. '''슈퍼아머를 깰 수 있는 기술.'''
연발로 사격하면 스킬이 끝나고 적이 기절에서 풀려나므로 1발을 남긴 상태에서 적이 기절이 풀렸을 때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이 게임에서 가장 무적시간이 긴 스킬이다(...). 적이 무슨 공격을 하든 '''10초'''동안 죄다 씹어버릴 수있다.
무색 큐브 조각 2개 소모.
  • Y - 특수기동전대 블랙로즈

Come on, My Black rose, (Y를 한번더 누르면) 전원 집중 포화!!

각성기. 네명의 보조 사수들을 부른다.
Y키를 다시 누르면 일제 사격 모드가 5초동안 지속된다.
참고로 소총수들의 총탄에 작열탄이나 철갑탄이 적용된다.
무색 큐브 조각 5개 소모.
  • B - 플라잉 C4

(격발 시) Crack down!

EX 스킬. 상점에서 구입한다.
폭탄이 부착된 디스크를 총 5개 던진다. 관통이 되어 모든 적에게 명중하면 모두 폭탄이 붙는다.
여담으로 플라잉 C4로 적들에게 폭탄들을 붙이고 원격조작 C4로 그 폭탄들을 터뜨리는것이 가능한데 이러면
원격조작 C4만 쿨타임이 빠져서 다시 플라잉C4를 사용 할 수 있다. 다만 던진 횟수는 영향 받는지라 5번 던져둔 상태라면 크랙 다운!만 하고 끝날수도 있으니 주의.
빙결상태에서는 한번만 던져도 여러번 폭탄이 붙는다.
  • Shift - M-61 마인

In trapping

EX 스킬. 소닉 붐 장착시 활성화된다.
플래시 마인과 동일해 보이지만 중복 설치가 가능하고, 한번 폭발 후 조그만 폭탄이 나와 다시 터진다.
마찬가지로 명중시 기절, 슈퍼아머를 뚫는다. 설치하고 터뜨리지 않은 채로 다음맵으로 넘어가면 그 위치에 사라지지 않고 설치되어 있다.
플래시 마인과 사용시 둘 다 데미지가 상당하다.
  • 이동+Z - 슬라이딩
  • V - 바베큐

오라!

홀딩기이며 상대를 무릎으로 차올려 개틀링건으로 쏜다.
  • ↓ - 백스텝
뒤로 살짝 점프한다.
점프중일때 무적시간이 있다. 무적시간이 은근 길어서 타이밍만 잘잡으면 프레드가 나오자 마자 사용하는 귀영섬을 무시하거나, 부숴지기 전 요원R의 미사일패턴을 회피할수도있다.
  • ctrl - 데인저 클로즈

Danger close

2차 각성후 쓰는 기술, 공격 시 화염지대를 생성하는 포탄을 20%의 확률로 날리는 버프이다. 이 버프로 평타만 날려도 포탄이 우수수수 떨어진다. 실제 던파와는 달리 화속성 포격만 구현되어 있다.
무색 큐브 조각 3개 소모
  • space - 슈퍼 노바

Shining star


데인저 클로즈와 궁합이 상당하다. 이유는 다단히트 때마다 확률을 계산하기 때문.
2차 각성기,엄청난 빛을 내며 폭발하는 탄을 던진다. 다단히트와 공격력이 상당하다. 그러나 화면을 하얗게 가려서 플레이어가 무적기를 쓴 적에게 맞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어서 무적기는 필수.
플레이어 위치에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적에게 사용할거라면 시전 후 곧바로 닐스를 사용하자.(안그럼 충격파땜에 죽을 수도)
무색 큐브 조각 10개 소모

2.2. 레인저


어떠한 자세에서도 총을 난사할 수 있는 캐릭. 현란한 총공격을 쓸 수 있으며, 다리를 이용한 격투 기술도 사용 가능하다. 에어레이드, 리벤저 등 스킬창에 나오지 않는 스킬들도 있다.
빠른 스피드를 주로 삼아 느린 몬스터들을 체술스킬과 사격기술로 유린할 수있다. 기술은 마하킥, 라이징샷, 윈드밀, 헤드샷, 웨스턴 파이어, 멀티헤드샷, 데스 바이 리볼버, 이동사격, 난사, 더블건호크, 스커드 제노사이드 등이 있다.
'''당신 손에 따라 무시무시한 사기캐(템 착용 한정)와 고인을 오간다.'''
구매기술로는 얼티밋 멀티 헤드샷이 있다. 무기로 얻을 수 있는 스킬은 에어 스핀이다. 어떤 무기를 끼느냐에 따라서 스타일이 확 바뀌는 캐릭터. 윈드밀 무한으로 적을 농락하느냐(미트스핀), 더 강력한 난사를 쓰느냐(헤븐즈 데드아이, 파이어 크래커), 아니면 특정 스킬을 강화하느냐 (후아레즈의 부름) 등 여러 선택지가 존재한다. 무기 선택에 따른 재미를 추구할 수 있는 캐릭터.
일반스킬 쿨타임이 전반적으로 길어 잔몹을 사냥할 때 무큐를 아끼기 어렵다. 일반스킬을 돌리다 보면 무큐기만 남는 타이밍이 있다. 2각을 하면 공속이 빨라지고 막타가 헤드샷이 돼서 해결되는 단점.
'선셋 라이더나 디스트로이를 장착하고 더블 건호크 원킬'도 할 수 있으니 선택은 자유.
2각을 완료하면 평타 공격 횟수, 공격 속도가 증가하며 마지막 공격마다 헤드샷을 사용한다. 덕분에 '슬레이어 난이도 아이템/아바타 없이 클리어' 퀘스트를 깨기가 한층 수월하다.

2.2.1. 장단점


'''장점'''
<color=black>
* '''빠른 콤보 연계'''


* '''휼륭한 반격기.기절을 통한 유틸성'''
'''단점'''
<color=black>
* '''적은 슈퍼아머 파괴기'''


* '''쉽게 취소당하는 무큐기'''

2.2.2. 추천 아이템 / 세팅


무기
레인저 같은 경우는 아무 장비나 껴도 최소한의 성능은 보장해준다.
* 스핏파이어의 초고성능 버프기인 작열탄을 쥐어주는 '''파이어 크래커'''
* 다양한 유틸성을 가지고 있는 '''후아레즈의 부름'''
* 조건부 종결템 '''미트스핀'''
* 레인저의 준최종템 '''선셋 라이더'''
* 레인저의 종결템 '''디스트로이'''
* [버그]
목걸이
* 빠른 이동속도를 보장해주는 '''왕가의 목걸이'''
* 파이어 크래커와 좋은 궁합을 자랑하는 '''제라드의 갑옷조각'''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목걸이'''
팔찌
* 공중 공격을 강화해주는 '''창공의 무법자'''
* 파이어 크래커와 좋은 궁합을 자랑하는 '''제라드의 장갑'''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팔찌'''
반지
* 미트스핀과 조합하면 종결템이 되는 '''킥 앤 데드'''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반지'''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사신의 숨결'''
  • 추천 세트 1
무기
파이어 크래커
목걸이
쇼크 웨이브/블러드 아이
팔찌
제라드의 장갑
반지
검형반 - 전/혈
화속깡딜 및 다단히트로 빠르게 승부보는 조합. 히트 수가 워낙 넘사벽이라 화속 올인보다는, 감전/출혈 셋의 성능이 월등하다. 다만, 감전쪽이 추가피해 덕에 검형반 옵이 더 잘 터진다. 선셋 라이더를 얻기 전까지 딜 걱정없다. 단, 점 심밥 전에서는 봉인하자. 딜은 세지만 폭격이 끝없이 쏟아져 익스가 한계다. 마검, 듀란 상대도 어렵다.
  • 추천 세트 2 (최종셋 1)
무기
'''미트스핀'''
목걸이
왕가의 목걸이
팔찌
창공의 무법자
반지
'''킥 앤 데드'''
윈드밀이 시전중 무적판정이라 제대로 쓰면 윈드밀-에어레이드-공중공격 콤보로 슬심밥까지 노 데스, 노 히트 전부 가능하다. 이 세트는 다단히트로 승부하는 조합이 아니라 각종 상태 이상 템과 안 맞는다.
요원R단계에서 상기한 콤보로 마나걱정없이 계속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크레인 공격이 훨씬 수월해진다.
여담으로, 슬레이어 마검조차 오직 윈드밀3타-에어레이드-공중사격콤보에 바베큐 중력초기화로 콤보가 끊기지 않게만 해주면 매우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
  • 추천 세트 3 (최종셋 2)
무기
선셋 라이더 or 디스트로이
목걸이
왕가의 목걸이 or 패왕의 목걸이 or 블러드 아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패왕의 반지 or 사신의 숨결
최종템 둘둘 셋팅. 깡딜과 피깎/즉사로 적을 압살해보자.
안정적인 추뎀은 패왕의 목걸이, 확률 극대화는 블러드 아이를 쓰면 된다.
  • 추천 세트 4
무기
후아레즈의 부름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창공의 무법자 or 퍼펙트 쉴드 or 패왕의 팔찌
반지
사신의 숨결
재미조합이지만, 의외로 성능이 좋다.
여러가지 다양하고 재밌는 기능 을 가지고 있고 특히 리벤지의 쿨타임을 없애주는 후아레즈의 부름에다 리벤지를 더 쉽게 쓰게 해주는 퍼펙트 실드, 리벤지로 인한 부족한 mp도 어느정도 커버해주는 사신의 숨결을 껴주고, 후아레즈의 부름 특징상 데미지가 많이 떨어지는점을 패왕의 목걸이와 사신의 숨결이 커버해주기 때문.
  • 추천 세트 5
무기
리벤지 리볼버/선셋 라이더(이거 착용시에는 블러드 아이 필수)
목걸이
블러드 아이/광기의 목걸이
팔찌
프레드의 가면
반지
피를 부르는 중지
상대방 출혈시, 더블 건 호크나 난사를 쓰면 어마무시한 깡딜이 들어간다. 심지어 v스킬도 딜이 많이 들어간다. 다만 선셋 라이더는 조합템이니 얻기는 힘들지만... 확률로 출혈상태가 난다는 특성을 이용해 다단히트 스킬과 무척 궁합이 좋다.
  • 전직업 공통 깡딜셋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사신의 숨결
매우 얻기 힘든 패왕의 목걸이, 사신의 숨결 때문에 쓰는 사람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2.2.3. 스킬


  • Z - 잭스파이크
근거리의 적을 띄운다. 발동 속도가 느린 편. 타 직업과 달리 무적이 없다.
  • A - 마하킥
적을 밀쳐낸다. 발동속도가 빨라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일정 확률로 적이 기절함.
여담으로 이 기술을 이용해 4관문이 시작할 때 감옥 문을 열고 따라오라는 좀비를 밀어낼 수 있다. 마하킥으로 공격해도 미사일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 죽이는 것도 가능하나 진행이 불가능해진다.
  • S - 라이징 샷

get smash

적을 띄우는 탄을 발사한다. 스핏파이어의 그것과 동일. 사거리가 길기 때문에 돌진형 유닛들이 공격패턴 전이하기 전에 띄우고 공격을 넣을 수 있다. 다만 돌진기에 씹힐수도 있으니 주의.

  • D - 윈드밀

Rock n' roll!-적에게 공격 명중시, 으랏차!-적 공격 실패시

제자리에서 빙빙 돌며 발차기를 한다. 미트스핀을 이용해 무한 뺑뺑이가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후 연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시전중 무적이다. 다만 윈드밀이 적을 타격하지못하면 매우 빠르게 홱 돌면서 시전이 끝나버리는데 미트스핀끼고 무한뺑뻉이하다 이렇게 삑나서 끊기는경우가 허다하다
  • D->Z - 에어레이드

Bounce up!

윈드밀 사용 후 Z키를 입력하면 공중으로 발차기를 하며 올라가는 에어레이드가 사용 가능하다. 윈드밀에 적이 맞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
에어레이드도 사용시 무적판정이 있다.
참고로 이 스킬로는 하늘성 지하로 갈 수 없다.
  • 사격 계열 스킬
리볼버를 이용해 공격하는 스킬이다. 실제 던파처럼 다음의 스킬들은 윈드밀, 마하킥 사용 중 캔슬하여 사용 가능하다.
  • F - 헤드샷

Got it!

적을 관통하는 높은 데미지의 탄을 발사한다. 후아레즈의 부름을 착용할 시 두번 쏜다. 타당 2combo 판정이다.
2차 각성을 하면 평타 마지막에 헤드샷을 날린다.
  • G - 웨스턴 파이어

Go to hell.

뒤돌며 헤드샷을 발사한다.
데미지는 헤드샷보다 강력하다.
  • H - 멀티 헤드샷
총 6발을 발사할수 있으며, 발동 중엔 무적이다.
H를 누르고, 쏘고 싶은 쪽에 해당하는 '''방향키'''를 눌러 총을 발사한다. H만 광클하면 총만 한 바퀴 돌리고 공격이 나가지 않는다. 타당 2combo 판정이다.
보기보다 사거리가 긴데, 평타나 헤드샷 등의 공격기술보다 캐릭터 크기 2배정도는 더 길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시작- full loading! 끝- My pleasure.
  • Q - 데스 바이 리볼버
항시 유지해야하는 버프.
총으로 공격시 해골 마크가 뜨며 공격력이 강해진다. 또한 총을사용하는 모든 공격에 발동하기때문에 난사,더블건호크,스커드 제노사이드등의 스킬을쓸때 키면 데미지가 엄청나게 강해지니 가능하면 버프를키고 유지될때 쓰는게 좋다. 해골 마크는 안 뜨지만 체술 계열 스킬의 데미지도 늘어난다.

Shoot to kill!

  • W - 이동사격
사용시 이동하며 한 방향으로 총을 쏠 수 있다. 단 정지해 있다 이동하거나 이동 방향을 바꾸거나 하면 기존에 쏜 탄이 사라지니 제자리에서 쏘는 편이 낫다.
20발이 장전되며, Z키를 누르면 방향이 바뀌고 C키를 누르거나 데미지를 받으면 스킬이 취소된다. 단 후아레즈의 부름을 착용시 윈체스터로 바뀌니 주의할 것. (이때 방향키를 끊으며 눌러주면 발사 후 딜레이가 없어진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Let's shoot out!

  • E - 난사
밥줄스킬.
사용시 무적이며, 온 방향으로 난사한다.
C키로 취소가 가능하다 적을 구석에몰아놓거나 캐릭터와 거의 겹쳐서 사용하면 난사하는총알을 더 많이 명중시킬수있으니 참고.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Show time!

  • R - 더블 건호크
2.2까지만 해도 레인저의 마지막 스킬이었다. 전방으로 총을 날린다. 다단히트가 많고, 총 세번을 다시 잡고 던질 수 있다.
던진 뒤 다른 쪽 방향키를 누르며 스킬을 사용하면 그쪽 방향으로 발사된다. 던진 상태에서는 자유롭게 스킬을 사용할수 있으나, 받지 못하면 스킬이 끝난다.
다시 던질때마다 크기와 사거리가 증가하고, 각각 '더블' '건호크' '부메랑'의 음성이 나온다. 히트수가 매우많지만 사용중 무적이아니기때문에 적과 붙어서사용하면 충격파에 끊기니 주의. 같은이유로 일정콤보부터 충격파가 타겟팅이 되는 점심밥이나 아예 처음(15콤보)부터 충격파가 타겟팅인 마검을상대로는 그리 쓰는걸 추천하지않는다 ~
무색 큐브 조각 2개 소모.

1 - Double 2 - Gunhawk! 3 - Boomerang!

  • T - 스커드 제노사이드
1차 각성기. 총을 4개 던지고 난사 후 총을 버리고 2개를 받아 난사, 마지막으로 나머지 2개를 받아 공중에서 회전 난사를 한다. 상당히 멋진 모션. Z키를 누르면 다음 난사시 방향이 바뀌고, 스킬 사용 도중 이동이 가능하다.
이 스킬로 적을 죽일 경우, 마지막으로 땅에 내려와 '아디오스'를 외치며 적이 폭발한다. 점심밥과 테드레이, 마검 히페리온에게 사용하면 죽을때 상당히 재밌는 모습을 하고 있다.
Z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천인대장 투오를 '''나무를 안 부수고 잡을 수 있다.'''
이 각성기를 쓰는 도중 적이 슈퍼아머 상태로 사망하면 각성기 끝날 때 사망 판정이 생기지 않는다.
여담으로 Z키를 꾹누르면 방향을 아주 빠른속도로 이리저리 전환한다.
무색 큐브 조각 5개 소모.
평소에 딜이 잘 안나오긴 하지만 선셋라이더와 궁합이 좋은편. 패망의 탑 15층 투오에게 사용해서 죽이면 다음으로 안넘어가지는 버그가 있다.

Time to die. (맞은 적 사망 판정 시) Adios.

  • B - 얼티밋 멀티 헤드샷
EX 스킬로, 상점에서 구매한다.
땅을 발로 찍어 적을 띄워 모은 후 잭스파이크로 띄운뒤 5발을 순식간에 발사하고 마지막엔 폭발과 함께 탄환을 발사한다.
무적에 발동이 빠른 스킬. 또한 레인져의 몇 안되는 몹몰이 기술로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Shift - 에어스핀
무기로 얻는 EX 스킬로써, 알피스트 착용시 활성화된다.
에어레이드처럼 윈드밀 후에 연계하는 스킬. 크레인에 상당한 데미지를 넣을 수 있다
  • 이동+Z - 슬라이딩
  • 피격 도중 Z - 리벤저
스탠딩 상태로 피격 중에 발동하면 양쪽으로 총을 쏜다. 일정 확률로 적 기절. 사용 중 무적이다. 리벤저로 테리카의 그물콤보와, 요원T의 개틀링건, 그리고 패망의 탑 가더의 극진 농민의 수레바퀴를 피할수있다. 후아레즈의 부름을 끼면 z키를 연타할 시 가더의 극진 농민 수레바퀴, 점심밥 새틀라이트, 현무의 오라 등등을 한 대도 안 맞고 피할 수 있다.

Counter shot!

  • V - 바베큐

오라!

홀딩기이며 상대를 무릎으로 차올려 개틀링건으로 쏜다.
  • ↓ - 백스텝
뒤로 살짝 점프한다.
점프중일때 무적시간이 있다.
  • 트리플 클러치
패시브 스킬로 윈드밀 - 마하킥 - 라이징샷 순서로 빠르게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스타일리쉬가 적용 됨에 따라 윈드밀 마하킥 이후 어떠한 사격 스킬이든 사용가능하다. 윈드밀 도중 캔슬 안되는 기술은 데스 바이 리볼버,이동 사격,바베큐 정도
  • ctrl - 패스트 드로우
2차각성후 사용할수 있는 스킬, 총 4자루를 순서대로 꺼내면서 전방으로 빠르게 쏜다. 관통률이 매우 높다.
레인저의 레전더리 무기인 디스트로이의 평타 효과는 이 스킬의 탄환 발사 모션에서 가져왔다.

평타가 패스트 드로우인줄 알았어요

'''네 평타가 패스트 드로우에요'''

위의 글은 실제 한 유저가 썼던 댓글과 제작자인 카카오의 답글.
무색 큐브 조각 3개 소모

There is... bull's eye

  • space - 세븐스 플로우
2차 각성기, 움직이면서 난사를 시전한다. 방향키로 방향을 정할 수 있고 막타에서 폭발을 한다.
무색 큐브 조각 10개 소모, 패망의탑 20층 보스인 테드 레이도 사용한다.
총 데미지 자체는 더블 건호크만큼의 위력이지만 타 스킬에 비해 넓은 타격 판정(양방향)과 슈아를 씹기 때문에 종종 쓰이곤 한다.
다만 더블건호크가 양쪽에 적이있는상황에선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고 풀히트도 힘들며 무엇보다 피격시 다시받지못할확률이 높기때문에
사실상 세븐스 플로우의 데미지기대값이 훨씬 높으며 슈퍼아머를 부수고 주변전체를 쓸어버릴수있기때문에 각성기값은 충분히한다.
~

시작- It's time. 끝- for ravening.


2.3. 버서커


귀검사로, 자신의 혈기를 이용한 공격을 한다. 프렌지를 사용하면 평타가 이도류로 바뀌고, 범위가 넓은 스킬들이 다양하다. 대부분 공격하면 상대는 출혈 상태를 일으킨다.
대체적으로 기술이 자신의 HP를 소모한다. 기술은 고어크로스, 붕산격, 블러드러스트, 레이징 퓨리, 프렌지, 블러드소드, 블러디 레이브, 아웃레이지 브레이크 등이 있다.
구매기술로는 버스트 퓨리가 있다. 무기로 얻을 수 있는 스킬은 블러드 루인.
각성기로는 1차에 익스트림 오버킬과 2차에 블러드 리븐.
원래는 에쉔 포크 스킬이 없었으나 파이널 패치로 에쉔 포크를 받았다.
본작과는 달리 피를 보급하지 못하는 패널티가 있다. 그로 인해 몇몇 특수 아이템으로만 피를 보급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템의 효과를 매우 잘 받는다. 다른 직종은 아이템을 껴도 별 차이가 없거나 하위템들이 좋지 않은데 버서커는 뭘 껴도 딜은 잘 나온다.
근접딜러라 일정 히트수마다 나오는 충격파에 대응하기 힘들다. 그래서 상대방의 슈퍼아머를 뚫게 해주는 블러드 소드를 잘 사용해야한다. 체력을 사용하지 않는 스킬 위주로 쓰는게 보통은 좋지만 마나가 부족할 경우엔 반대로 체력을 소모하는 스킬을 위주로 싸우는 쪽이 좋다.
파이널 버전 초기에는 강캐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시간이 지나 평타로 딜을 넣기 어렵다는 점[3], 기본적으로 체력 보충이 불가능하다는 점[4] 때문에 시리즈 최약캐로 추락하였다. 특히 2각 퀘스트 하러 패망의 탑 돌때 다른 직업군은 몰라도 버서커는 정말 암이 걸린다.
그래도 어찌저찌 2각 찍으면 그럭저럭 해지는 수준.
사실 저평가의 이유 중 하나는 웨펀마스터는 제라드의 화염검이라는 상점에서 돈주고 사는 레전드급 무기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노템기준으로는 웨펀보다 강하다. 스킬의 딜량도 꽤 차이 나는 편.
그러나, 마검을 얻으면 여러 사람들이 많이 쓰는 캐릭터가 된다. 본작 최강의 사기무기기 때문에 버서커의 성능이 전과는 격을 달리할 정도로 올라간다.

2.3.1. 장단점


'''장점'''
<color=black>
* '''HP를 소모해서 MP가 여유로움'''


* '''엄청난 깡딜'''
'''단점'''
<color=black>
* '''부족한 체력'''


* '''평타로 딜을 넣기 어려움'''

2.3.2. 추천 아이템 / 세팅


무기
버서커의 경우는 최종템인 마검 때문에 다른 무기가 묻히기도 한다.
* 버서커판 미트스핀 '''강력한 맹공의 그레이트 소드 : 레이징 퓨리'''
* 슈퍼아머가 많은 적에게 안성맞춤 '''노움의 유물'''
* 스킬 범위를 키우며 HP를 채우는 '''멜티브레이크'''
* 다양한 효과와 함께 HP/MP를 채우는 '''블러드 슬레이어'''
* 火(화)속성 공격으로 적을 녹이는 '''파이어 폭스 레볼루션'''
* 무난한 추뎀을 가진 버서커의 준최종 무기 '''무형검 엘레노어'''
* 명실상부 최강템 '''마검 히페리온'''
목걸이
* 레이징 퓨리로 콤보력 상승 '''블러드 아이'''
* 파이어 폭스 레볼루션과 함께면 적들이 녹는 '''제라드의 갑옷조각'''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목걸이'''
팔찌
* 부족한 체력을 상당부분 채워주는 '''알루미늄 실드'''
* 파이어 폭스 레볼루션과 함께면 적들이 녹는 '''제라드의 장갑'''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팔찌'''
* 항시 블리딩인 버서커와 궁합이 좋은 '''프레드의 가면'''
반지
* 말이 필요없는 꿀템 '''검은 형체의 반지 - 혈'''
* 무난한 추뎀옵션 '''패왕의 반지'''
* 사실상 패왕의 반지인 '''피를 부르는 중지'''
''''''
  • 추천 세트 1
무기
파이어 폭스/파이어 폭스 레볼루션
목걸이
제라드의 갑옷조각
팔찌
제라드의 장갑 or 패왕의 팔찌 or 창공의 무법자
반지
검형반-혈 or 피를 부르는 중지 or 패왕의 반지
화속깡딜로 세트. 고어크로스의 딜이 상상을 초월하게 된다. 다만 검형반-혈은 비매품인데 드랍하는 몹까지 강해서 구하는게 꽤 피곤하다는게 단점. 만약에 공격 시 공중 평타를 주로 사용하려는 경우, 추가 데미지 15%인 창공의 무법자를 끼우는 게 다른 팔찌 끼우는 것보다 더 효율이 좋다.
  • 추천 세트 2
무기
강력한 맹공의 그레이트 소드 : 레이징 퓨리
목걸이
블러드 아이
팔찌
프레드의 가면
반지
피를 부르는 중지/패왕의 반지 or 검형반-혈
버서커판 미트스핀. 레이징퓨리 시전시 무적이고, 블리딩도 붙는다. 게다가 목걸이로 블러드 아이를 끼면 공중에서 가끔씩 연발로 레이징 퓨리가 터질때도 있다.
  • 추천 세트 3
무기
블러드 슬레이어 or 멜티브레이크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or 블러드 아이
팔찌
프레드의 가면
반지
패왕의 반지/피를 부르는 중지 or 검형반-혈
두 아이템 모두 출혈 관련 옵션이 붙어있어 출혈 아이템과의 궁합이 좋다. 블러드 슬레이어는 블러디 레이브를 막타만 쓰고 쿨타임을 70%감소 시키기 때문에 무시무시한 추뎀을 보여주며 피격시 자기의 마나와 체력을 일정 확률로 보강하고 상대의 체력을 안정적으로 깎아 내린다. 멜티브레이크는 스킬의 범위가 늘어나서 콤보를 연계하기 쉬워지고 블러드루인으로 체력을 회복할 수 있으며 프레드의 가면과 함께라면 블리딩 데미지가 늘어난다.
  • 추천 세트 4 (준최종셋)
무기
무형검 엘레노어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패왕의 반지/피를 부르는 중지 or 검형반-혈 or '''사신의 숨결'''
마검 히페리온 없는 깡딜셋. 패망 가더의 난이도조차 급격히 하락한다. 아무리 유틸성 올려봐야 후술할 최종 세팅의 하위호환.
* 추천 세트 5 (최종셋)
무기
마검 히페리온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or 왕가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or 알루미늄 실드
반지
패왕의 반지 or 검형반-혈 or 사신의 숨결
단점이 몇 개 존재하는데 첫번째 스테이지에서 고블린에게 죽어서 고블린 왕국에 진입하는 게 귀찮아진다. 왜냐하면 피격 시 마검 히페리온의 효과로 검은 번개가 떨어지는데 고블린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HP를 소모하는 스킬을 사용하고 죽어줘야한다.(그냥 마검을 빼고 들어간 후 클리어화면에서 인벤토리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마검 히페리온을 쓰러뜨리는 데에도 까다로운 점이 있는데 마검 히페리온이 피격시 레바를 즉사시키는 스킬을 사용했을 때에 히페리온의 공격을 피하지 못할경우 검은 번개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도 이 스킬이 빠졌을 때 히페리온을 한쪽으로 몰아놓고 도망치면서 플레이하면 깰 수 있다.
참고로 이 셋[5]은 본작 최고 극깡딜셋이며[6], 무려 블러드 리븐 - 익스트림 오버킬 콤보 시전시 '''슬레이어 마검을 녹여버리는''' 어마무시한 딜을 준다.
  • 전직업 공통 깡딜셋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사신의 숨결
매우 얻기 힘든 패왕의 목걸이, 사신의 숨결 때문에 쓰는 사람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2.3.3. 스킬


  • Z - 어퍼 슬래시
스킬창엔 없지만 커맨드인 Z키로 사용 가능. 적을 띄운다.
  • 점프 +z - 에쉔 포크(파이널 버전부터 가능)
칼로 땅을 찌른다. 최대한 높이 있을때 z를 누르면 충격파가 발동된다. 원래 웨펀마스터만 사용 가능했지만 파이널 버전부터는 버서커도 사용 가능하게 됐다.
  • A -고어 크로스

Cruel

무적판정 : 없음
HP를 소비하는 기술이다.
전방을 붉은 십자 모양으로 벤다. 명중시 블리딩을 입히며, 사용 중 A키를 다시 누르거나 Z키를 누르면 대각선 추가베기를 한다.
HP를 소모하여 발동시키는 기술.
  • S - 붕산격
무적판정 : 존재
점프해 내려찍으며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충격파 명중시 블리딩을 입힌다.
스킬키를 누르는 시간에 비례해 점프 거리가 늘어난다. 충전 및 사용 시 무적.
매우 짧은 쿨타임과 넓은범위, 좋은 데미지와 사용 내내 무적이란 점으로 인해 버서커를 어느정도 통달하면 최고의 밥줄스킬이 된다.
  • D - 블러드 러스트
무적판정 : 존재
상대를 잡아 혈기를 흡수한 뒤 내뿜는다.
블리딩 상태인 적에게 사용하면 이펙트가 추가되며 더 강력해진다. 슈퍼아머를 뚫는다. 열파참과 비슷한 용도의 잡기 스킬.
여담으로 건물형인 요원R이 타고 있는 기간틱 런처도 잡을수 있다. 물론 잡는다고 들어올려지지는 않지만 무적기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파이널 버전부터는 원작처럼 사용하여 공격이 성공시 공격력이 상승하는 버프가 걸린다. 폭주랑 버프가 같이 병행하면 대미지가 엄청 올라간다.
  • F - 레이징 퓨리
무적판정 : 파이널 기준 무적시간이 폭발 직전까지만.
시전시 바닥에 원이 하나 생겨서 적을 띄운후 혈기를 위로 폭발시킨다. 다단히트가 상당하다. 게다가 레이징 퓨리로 적을 죽이는 순간 패탑에서 다음으로 넘어가면, '''그 다음 적이 피해를 입는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파이널 버젼에서는 시전 후딜레이가 줄어 폭발할 때 플레이어가 움직일 수있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징 퓨리 발동시간이 짧아져 무적시간이 폭발 전으로 바뀌었다.
  • G - 폭주
무적판정 : 없음
버프 스킬로, 사용시 공격력과 스피드가 대폭 증가한다. 원작처럼 방어력이 낮아져서 피해를 더 받는다거나 그런것은 없으니 이런 부분은 안심해도 좋다. 파이널 버전부터는 프렌지를 사용한 뒤 폭주를 사용하게 되면 평타 1타 2타를 반복해서 사용한다. b스킬이나 익오킬 등의 타수가 높은 스킬들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캐스팅 중에 무적이 아니니 주의 할것.
  • H - 프렌지
무적판정 : 존재
스킬을 사용하기 위해 써야 하는 버프기. on/off 스킬이며 발동 중 지속적으로 HP가 감소한다.
평타 공격이 이도류로 바뀌고 평타에 블리딩 효과가 추가된다. 이 스킬 사용시에 Q, W, E 스킬이 활성화된다.
프렌지를 on 하게 되는 경우 캐스팅을 하는데 이때 무적시간이 존재한다. 또한 off을 하게 되는 경우는 붉게 변한 캐릭터가 곧바로 원래의 색깔로 돌아온다.
참고로,마검 히페리온을 장착하고 이버프를 on하면 '''평타가 마검 프레드의 흑영검이 된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Q - 블러드 소드
무적판정 : 존재
프렌지를 사용한 상태에서만 사용가능하다. HP를 소비한다.
검으로 적을 찔러 폭발시킨다.적을 맞추지 않아도 폭발하며, '''슈퍼아머를 부술 수 있다.'''
버서커의 실력을 가르는 스킬로서,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점심밥이든 마검이든 손쉽게 공략할 수 있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W - 블러디 레이브
무적판정 : 회오리 기둥을 일정시간 모은 후와 혈기로 내뿜어 쳐낼때 무적
프렌지를 사용한 상태에서만 사용가능하다.
적을 회오리로 모은 뒤 혈기를 내뿜어 쳐낸다. 회오리는 데미지는 없으며, 블리딩을 건다. 모으는 거리가 상당히 길며, 잡으면 기절을 걸기 때문에 슈아를 뚫을 수 있다.
다단히트가 엄청났지만 파이널버전 출시이후로 다단히트가 사라졌다. 이유는 그 엄청난 다단히트로 적의 충격파를 피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한다.
스킬키를 꾹 누르면 회오리가 오래 지속된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옛날 이름은 피폭풍.

Rave storm!

  • E - 아웃레이지 브레이크
무적판정 : 존재
프렌지를 사용한 상태에서만 사용가능하다. HP를 소비한다.
전방을 내리찍어 땅을 부수고 혈기를 폭발시킨다. 데미지가 좋은 스킬.
근데 HP를 무지막지하게 잡아먹으므로 2번이상 사용하기가 힘들다...
무색 큐브 조각 2개 소모.
  • R - 익스트림 오버킬
무적판정 : 존재
1차 각성기. 원작과 달리 충전없이 곧바로 피니시가 나간다. 처음에 칼을 소환하고 전방으로 내려찍는다. 이후 칼로 찍은 부분에서 거대한 폭발공격을 가한다. 이 폭발 공격은 엄청난 '''다단 히트'''를 자랑한다.(55히트). 모든 각성기 중 대미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 첫타가 적의 슈퍼아머를 뚫기에 강한적을 상대로 피니시를 넣기에 매우 좋다.
다만 타격 범위가 다른 각성기에 비해 폭이 적어 몹이 무적기로 피해버리거나 잘못 쓰는 경우 (바로 앞에서 또는 다른 방향)가 있다, 이 각성기를 쓸 때 주의할 것.
이 다단 히트 때문에 블러드 슬레이어를 장착하고 있을 시 HP와 MP가 쭉쭉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블러드 아이까지 꼈을 때는 레이징 퓨리가 폭발한다. 레바의 모험 내에서 최강의 1차 각성기라 할 정도로 딜이 잘 박힌다. 마검 히페리온과 같이 쓰면 툼스톤이 비오듯이 쏟아진다.[7]
크레인을 때릴 수 있다.
무색 큐브 조각 5개 소모.
  • B - 버스트 퓨리
EX 스킬. 상점에서 구매한다.
무적판정 : 존재
다단히트가 일품으로, 스킬 키를 누르는 동안에 혈기를 계속 분출한다. 시전시 MP를 소비하나 분출하는동안 체력이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특이한 구조의 기술. 많이 쓰면 체력이 엄청 단다.
  • Shift - 블러드 루인
EX 스킬. 멜티브레이크 장착시 활성화된다.
무적판정 : 존재
사용시 구슬 모양으로 기를 모으며 혈기를 분출한다.
구슬에 적이 닿으면 자신의 HP가 회복된다. 패탑에는 버서커 효자 스킬.
무색 큐브 조각을 1개 소모.
  • V - 열파참

Lift!

무적판정 : 존재
적을 잡아 파동륜으로 다단히트 한 뒤 밀쳐낸다.
잡기 스킬로, 귀검사 공통 스킬.
재밌는 버그가 있는데, 현무가 캐릭터에게 뛰어들어 잡는 순간 타이밍을 맞춰 열파참으로 잡으면 앞으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돌진한다. 흡사 순간이동.
  • ↓ - 백스탭
뒤로 살짝 점프한다.
점프 중일 때 무적시간이 있다.
  • ctrl - 블러드 붐
무적판정 : 존재
2차 각성한 후 사용할 수 있는 기술. HP를 소모하여 넓은 범위에 폭발을 일으킨다. 맞은 적은 블리딩에 걸리고 밀려난다. 무적기이며 슈퍼아머를 뚫는다.
무색 큐브 조각 3개 소모

Blut..!

  • space - 블러드 리븐
2차 각성기. 몸을 혈마인으로 변형시켜 전방으로 뛰어들어 피폭발을 일으킨다. 스킬키를 누르고 있으면 크기가 커진다. 2각이 끝나면 적은 기절한다.
무색 큐브 조각 10개 소모.

(혈마인으로 변할때) じしょう- (지쇼-)

(돌진 할때) Riven! (리븐!)

  • 혈십자(패시브)
2차각성 후 자동으로 주어지는 패시브로 알려졌으나, 실제 던파에서와 같이 1각에서부터 적용되며 자신의 hp가 낮을수록 공격력이 증가한다. 단, 실제 던파와 달리 레바의모험에서의 버서커는 hp를 회복할 수단이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부러 hp를 빼고 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버서커를 살려주는 효자 패시브로서 딜 증가는 혈십자 패시브, 폭주 스킬, 블러드 러스트의 버프 셋이서 담당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2.4. 웨펀마스터


광검을 이용하여 빠르고 현란한 검술기술을 사용한다. 콤보수가 많고 발도나 맹룡단공참시 감전을 일으킬 수 있다. 에쉔포크, 백스텝 커터 등 스킬창에 나오지 않는 스킬도 있다.
웨펀마스터는 5가지 무기를 다루지만 레바의 모험에서는 광검과 대검만 사용한다. 가장 쓰기 쉽고 다단히트가 높은 스킬 덕에 대부분이 먼저쓰는 직종.
근접딜러의 특성상 레비던스처럼 일정 히트수마다 충격파를 방출하는 적에겐 취약하다. 게다가 이런 적들은 플레이어의 빈틈을 노리고 기회가 보인다 싶으면 바로 무한콤보로 끔살시키니 더 조심해야 한다.
본작에선 감전시 추가 데미지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몹몰이 후 맹룡 4타나 발도 추가타를 이용해 감전을 걸고 동료를 불러내 감전딜을 극대화 시키면 몹을 수월히 잡을 수 있다. 다만 지속시간이 매우 짧고, 점심밥은 항시 슈아라 감전되지 않고 동료로 띄워야 감전된다.[8] 보스 전에서는 심검의 활용도가 중요하니 이를 참고하자.
잘 보면 웨펀마스터의 스킬 대부분의 막타가 검으로 올려쳐서 날리기다. (평타, 어퍼슬래시, 단공참, 차지 크래시, 맹룡단공참, 극 귀검술 폭풍식, 차지 버스터)

2.4.1. 장단점


'''장점'''
<color=black>
* '''쉬운 콤보와 낮은 진입장벽'''


* '''다양한 무적기'''
'''단점'''
<color=black>
* '''근접 공격으로 인한 충격파의 위험성'''


* '''아이템이 없으면 부족한 딜'''

2.4.2. 추천 아이템 / 세팅


무기
무기 간의 밸런스가 불균형하므로 좋은 것만 쓰자.
* 번개로 기절, 감전, 딜을 넣기 쉬운 '''웨데로스의 검'''
* 평타만으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광염검 썬슬레셔'''
* 괴랄한 검풍 능력을 지닌 '''진 요도 시란'''
* 화염으로 순간적인 폭딜이 가능한 '''제라드의 화염검'''
* 웨펀의 단점을 모두 없애주는 '''마인 아수라'''
목걸이
감전을 활용할 수 있는 쇼크 웨이브나 제라드 또는 광염검을 강화해주는 제라드의 갑옷 조각을 이용하게 된다.
* 화염검 또는 광염검의 시너지템, '''제라드의 갑옷 조각'''
* 발도와 맹룡 또는 웨데로스의 검의 감전 디버프를 강화시키는 '''쇼크 웨이브'''
* 강제 타임어택 템 '''광기의 목걸이'''
* 무난한 추가 데미지를 받는 '''패왕의 목걸이'''
팔찌
선택폭이 매우 좁다.
* 화속성 데미지 증가 옵션을 달고 있는 '''제라드의 장갑'''
* 언제나 무난한 추가데미지 옵션 '''패왕의 팔찌'''
반지
반지는 맹룡이나 발도의 감전 디버프를 활용할 수 있는 검은형체의반지-전이나, 추가 데미지 옵션을 갖고 있는 두 반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 맹룡, 발도의 감전 디버프를 활용할 수 있는 '''검은 형체의 반지 - 전'''
* 무난한 추뎀 옵션 '''패왕의 반지'''
* hp대신 마나와 추뎀과 속도를 살린 '''사신의 숨결'''
  • 추천 세트 1
무기
제라드의 화염검 or 광염검 썬슬래셔
목걸이
제라드의 갑옷조각 or 쇼크 웨이브(검형반-전 한정)
팔찌
제라드의 장갑
반지
검형반-전 or 패왕의 반지 or 사신의 숨결
통칭 제라드 셋. 화속 깡딜을 주력으로 삼는 아이템 세팅. 웨펀답지 않은 어마어마한 딜과 다단히트를 볼 수 있다. 이 셋 덕분에 적이 많은 패탑에서 3분대가 나오는 고수들도 많이 있다. 광염검 썬슬래셔 역시 광염 발사에 화속강이 붙는다. 제라드 한정으로 블러드 아이를 끼는 경우도 있는데 그냥 화속으로 가는게 더 좋다. 검형반-전 한정으로 쇼크 웨이브면 모를까.
버서커에게 파이어 폭스를 끼우면 제라드의 화염검의 용암이나 마개레의 랜드러너으로 공격할 시 익스플로전이 추가되는 버그가 있다. 확인 결과, 파이어 폭스에는 확률과 관련된 스크립트가 없었으며, 용암 공격 스크립트에 용암 시전 시 파이어 폭스가 착용돼 있으면 익스플로전 시전이 무조건 되도록 작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 추천 세트 2
무기
웨데로스의 검
목걸이
쇼크 웨이브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검은 형체의 반지 - 전
웨데로스 셋. 발도와 맹룡단공참이 빛을 발하는 셋. 쇼크 웨이브로 감전을 강화시키고 웨데로스의 검으로 번개 딜을 넣고, 검형전으로 피깎까지 하므로 딜이 아주 잘 나온다. 그러나 위의 세팅이 더 세서 묻힌다.
  • 추천 세트 3
무기
진 요도 시란 or 마인 아수라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검혈반-전 or 패왕의 반지 or 사신의 숨결
준최종/최종템 둘둘셋. 광염검은 세트 1이 더 세니 생략.
  • 타임어택 세트 [9]
무기
마인 아수라
목걸이
광기의 목걸이
팔찌
알루미늄 실드
반지
사신의 숨결
타임어택에 특화된 깡딜셋. 패왕의 팔찌를 껴도 된다만 후반부가 어려워진다. 점심밥 전에서도 체력이 겨우 80인데다 시시각각 달기 때문.
제라드의 화염검이 아닌 이유는 화염이 연속으로 터지면 기록 단축이 어렵기 때문
  • 전직업 공통 깡딜셋
목걸이
패왕의 목걸이
팔찌
패왕의 팔찌
반지
사신의 숨결
매우 얻기 힘든 패왕의 목걸이, 사신의 숨결 때문에 쓰는 사람은 별로 존재하지 않는다.

2.4.3. 스킬


  • 백스텝+X - 백스텝 커터
백스텝하며 벤다. 스킬창에 표시되지 않는 스킬로 쿨타임이 존재한다. 2차각성을 하면 검기가 나가고 진 요도 시란을 끼면 검풍이 나간다. 검기와 검풍이 사정거리가 상당해 멀리 있는 적에게 콤보를 넣기 좋다.
  • 점프+Z - 에쉔 포크
빠르게 하강하며 적을 찌른다. 최대 높이 위에서 쓰면 바닥과 충돌할때 충격파가 생긴다. 던파에서와 달리 백스텝+에쉔포크는 사용이 안된다. 스킬창에 표시되지 않는 스킬이며, 당연히 쿨타임도 있다.
  • Z 혹은 A - 어퍼 슬래시
적을 띄운다. 타 직업과 달리 쿨타임이 짧은 편.
  • S - 리 귀검술
이도류로 총 세번을 벤다. 대검의 경우는 횡베기후 쓸어베기. 던파와 달리 마나 소모가 없다. 사실상 웨펀마스터의 두번째 평타. [10] 리치도 준수해서 끝 사거리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오버히트시 발생하는 적들의 충격파의 바깥에서도 안전하게 리귀검술로 콤보를 이을 수 있다. 평타와 같이 사용 가능. 그리고, 아토믹 슬래셔로 대검 리귀검술을 쓴다면 리귀검술의 마지막 공격이 나갔을때 백스텝 커터나 어퍼 슬래시를 쓰면 적을 밀어내는게 캔슬되며 콤보를 쉽게 이을 수 있다.원작과는 달리 대검 리귀 마지막타를 충전할 수 없다.
  • D - 단공참
광검의 경우 5번, 대검의 경우 3번을 이동하며 베는데, 스킬키를 연타해서 발동시킨다. 원작과는 다르게, '''첫 타격이 슈퍼아머를 뚫고''', 마지막 베기는 적을 상당히 높게 띄운다. 그러나 단공참이 무적판정을 가진 스킬이 아니라서 슈퍼아머 판정이 있는 적 스킬을 파고들어 슈퍼아머를 부수는 것은 어렵다. 또 대검은 3번만 공격해서 막타가 없다.

(막타)Tri切り!


  • F - 차지 크래시

Charge! 하압! (내려치기) Crash!

일정 거리를 대쉬한 뒤 올려벤다. 대검 사용시 추가 내려베기를 할수 있다. 내려베기는 차지 가능. 풀 차지시 충격파가 형성되는데, 이 충격파는 노움의 유물 충격파랑 같다. 2차각성시 올려벨 때 검기가 생겨 넓은 범위의 적을 띄운다. 쿨타임이 짧은 무적기+돌진기로 시전 선딜레이도 전무해서 웨펀의 콤보와 스킬회피에 지대한공헌을하는 효자스킬이다.
  • G - 발도
넓은 범위를 벤다. 원작과는 다르게 사용시 무적이다. 스킬키를 계속 누르고 있거나 연타 시 제 2타를 사용해 적을 감전시킨다. 대검의 경우 2타격이 불가능하지만 충전이 가능하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H - 오버드라이브

Overdrive!

지속시간 동안 공격력이 증가. 켰을 때의 딜링이 안 켰을 때의 딜보다 1.5배는 더 높아 보인다. 원작에서는 내구도를 빠르게 소모하지만 레바의 모험에서는 내구도라는 개념이 없어서 사실상 공짜 버프기.
  • Q - 맹룡단공참
광검은 최대 4번, 대검은 최대 3번 일정한 거리를 돌진하며 거리 안의 모든 적을 벤다. [11] 명중 여부와는 관계 없이 마지막 공격을 했을 때 정해진 적을 감전시킨다. 2차각성을 하면 회오리가 생긴다. 웨펀의 밥줄기로 멀리있는적에게 접근, 맵쓸이에 4연타 다단히트로 콤보를 확 올려주며 감전을 걸어 추가딜까지넣는 매우 훌륭한 스킬이다.무큐기중에 압도적으로 자주쓰게 되는 효자스킬. 상당한 다단히트로 제라드의 화염검과의 궁합도 최고라서 운이 좋으면 환영검무, 각성기에 맞먹는 데미지를 뽑아낸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마지막 타격 시)響く!

  • W - 환영검무

Illusion struck![12]

범위 안의 적을 빠르게 벤 뒤 검풍을 일으켜 마무리한다. 스킬키나 공격키를 연타하면 베는 횟수가 증가한다.
검풍을 날릴때 검을 아래로 크게 휘두르고 잠시 멈추는데 이때 까지도 무적판정을 가진다. 2차각성을 하면 분신이 생성된다. C(점프)키를 누르면 중간에 캔슬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검풍후 생기는 약간의 딜레이를 캔슬 할 수 있다. 진 요도 시란은 끝 말고도 중간에 무려 3번이나 검풍을 날린다. 대검을 끼고 이 스킬을 날리면 무려 60%나 대미지가 증가한다. 무색 큐브 조각 2개 소모.
  • E - 극 귀검술 - 폭풍식
각성기. 각종 무기를 원 모양의 결계속에서 소환한다. 첫번째 타격은 무기들이 땅으로 찍히면서 공중으로 살짝띄운뒤, 무차별적으로 적을 강력한 다단히트로 난도질한다. 마지막으로 바람으로 적을 높고 멀리 날려버린다. 난도질까지 하기 선딜이 길어서 즉흥적인 콤보에 중간에 대입하는 것은 어려운편이다. 본작과는 달리 홀딩이 불가. 사용 시 무적. (좋은 컴이 아니라면 폭풍식 쓸 떄 항상 렉이 걸린다는...) 무색 큐브 조각 5개 소모.
  • B - 극초발도
EX스킬. 상점에서 구매 가능. 무색 큐브 조각 2개 소모.
충전 스킬. 최대 충전 시 캐릭터가 하얘진다. 이 때 스킬 사용 시 강력한 검기가 방출된다. 원작과는 다르게 광검을 껴도 전범위로 퍼져나가지 않고 무조건 앞으로만 간다. 상점에서 사는 특성스킬중 가장 구리다. 범위만 넓지 데미지는 최대 충전해도 마나와 무큐 소모 대비 평범한 수준에다[13] 발도와 달리 감전도 없고 충전 시간이 길며 충전 중 무적도 아닌지라 영 좋지 않다. 그나마도 충전을 안하면 데미지도 부실하다. 그래도 가더의 현무를 잡거나 요원 R의 로봇을 나오기도 전에 잡는등 어떻게든 써먹을 데가 있는데, 그래도 공략에 도움이 된다기보단 편의성이 조금 오르는 정도. 그런데, 검기가 방출되는 순간 스테이지가 끝나면, 패탑에서는 그 다음 적들에게 피해가 가는 버그가 있다. 이걸 잘 써먹으면 다음 스테이지에 유리할 수 있다.
  • Shift - 차지 버스트
EX 스킬. 울티메이트 어썰터 착용시 활성화.
어깨로 적을 치며 기절을 걸고, 다시 지나가며 검을 찌르며 적을 모으고, 그 다음 크게 올려벤다. 몹몰이용 스킬. 그래도 기절 옵션이 좋은 편이다.
  • V - 열파참(잡기)

Lift!

적을 잡아 파동륜으로 다단히트 한 뒤 밀쳐낸다. 잡기 스킬로, 귀검사 공통 스킬.
  • ↓ - 백스탭
뒤로 살짝 점프한다.
점프중일때 무적시간이 있다. 무적시간이 은근 길어서 타이밍만 잘잡으면 부셔지기전 요원 R의 미사일패턴을 피할 수 도있다.
  • ctrl - 극 귀검술 - 심검
> Fleetness!
2차 각성 이후 사용할 수 있는 스킬, 전방의 적에게 빠르게 다단히트 공격을 한다. 충전할 수 있고 최대 충전시 폭발을 일으킨다. 무색 큐브 조각 3개 소모. 완전 무적 상태를 제외한 슈아 뚫기가 가능해진다. 슈아를 뚫고 안정적으로 콤보를 넣을 수 있으며, 차지시 무적이기 때문에 회피 후 콤보 연계 용으로 쓸만하다.
  • space - 이기어검술

Control Blade!

2차 각성기, 등 뒤에 검을 생성하고 공격시 검이 날아간다. 원작과 같이 발동 후 30초의 시간이 지나거나 스킬키를 한번 더 누르면 피니시 공격을 한다. 피니시 공격시 상대 중 한명이 올려지며 공격을 한다. 무큐 10개 소모 그리고 '''상대가 완전 무적기를 써도 캔슬시킨다.''' '''사실상 본작 최강의 사기스킬'''로 제라드 세트(검,목걸이,팔찌)를 끼고 이기어 발동-띄우고 환영검무-1번-맹룡-피니시 발동-3번-폭풍식 콤보로 '''난이도 불문''' 점 심밥을 골로 보낼 수 있다. 본작의 모든 적[단]의 슈아/무적기를 무조건 캔슬시켜 콤보가 실패할 염려도 없다.
발동 중에는 콤보 도중 버프를 켤 수 있다는 점, 발동 후에는 상대를 홀딩시켜놓고 마음껏 공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능 역할을 하는 스킬이다.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다만 이 스킬의 다단히트와 웨펀 특유의 콤보능력이 합쳐져 적의 충격파가 미친듯이 쏟아지기때문에 충격파가 나오는 콤보수가 되기 전에 환영검무, 폭풍식등 무적시간이 긴 스킬을 사용하는것이 좋다.[14]
여담으로 피니시 발동 도중 다시하기를 누르면 2차각성기 피니시가 그대로 유지된체로 공격이 가능하다. 이것을 기간틱런쳐에게 하면 무려 '''기간틱런쳐가 들어올려져 있다'''(...) 이 동안은 레바가 기간틱런처는 때릴 수 있는데 기간틱런쳐는 특정 기술로 플레이어를 못 맞춘다. 이기어검술 피니시 어택이 끝나자마자 언제 그랬냐는 듯 제자리로 순간이동... 한다.

3. 히든 캐릭터


기본적으로 플레이할 수 없으며, 특별한 맵을 클리어해야 얻을 수 있는 캐릭터. 장비 착용과 2차 각성이 불가능하지만, 기본 공격력이 높게 책정되어 있다. 초중반에는 강력한 성능을 보여줘도, 캐릭터들이 2차각성을 하고 템도 어느정도 맞춰지는 시점부터 히든캐릭터로서의 단점이 더더욱 부각되어 후반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소울 브링어는 2.6버전, 런처는 파이널(2.9)버전에 출시 되었다...

3.1. 소울브링어


귀신을 소환해 자신의 능력을 올려주거나, 귀신을 이용해 적을 공격하는 캐릭터. 적들을 약하게 한 후 공격하는게 좋다. 소울 브링어는 히든 캐릭으로, 아이템 착용이 불가능하다.
획득 방법 : 히든스테이지 - 수상한 집 클리어
무색 큐브 조각을 많이 소모하지만 스킬들의 데미지가 높은 편. 하지만 각성기인 광폭의 블라슈는 데미지가 매우 낮고 발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적이 슈퍼 아머 시전 시 스킬이 무시된다. 2.8까지는 이렇게 영 대우가 좋지 않았으나...
'''파이널에서 극강의 상향을 받았다!''' 웬만한 잡몹은 장판4개 깔고 가만히 서있어도 죽으며 거대보스는 툼스톤과 칼라를 쓰면 20초 미만컷도 가능하며 슈퍼아머를 뚫기가 매우 용이해졌다. 또, 기본 이동속도가 2.5 올랐다.
공격할 때 푸확 하는 소리와 함께 이전에 있던 은탄을 보라색으로 바꾼 이펙트가 나온다. 때문에 평타 데미지가 다른 캐릭에 비해 강하다. 레인저와 마찬가지로 무색 큐브 조각을 안 쓰는 공격스킬이 적지만 평타가 강한데다 버프기만 3개라서 초반구간에 무색 큐브 조각을 안쓰고 파밍하기 불편하진 않다.
때문에 극초반에 아무것도 없을때 이 캐릭터를 얻어두는것은 거의 필수이다. 이 캐릭터만 얻어두면 초반에도 공격적으로 싸울수 있다. 컨트롤만 받쳐 주면 시작하자 마자 엔딩을 볼 수도 있다. 패망의 탑 공략법이 널리 알려진 지금은 이 캐릭터가 사숨을 얻기 가장 좋은 캐릭터로 평가된다. 템을 다 빼야되는 특성상 일반 캐릭보다 스펙이 약간 높은 히든 캐릭터들이 유리하다.[15] 소울브링어와 맞먹을 수 있는 일반 직업은 이기어 있는 웨펀마스터 정도. 노템 기준이면 그나마 스핏파이어 정도다.

3.1.1. 스킬


  • Z - 어퍼 슬래시
스킬창엔 없지만 커맨드인 Z키로 사용 가능. 적을 띄운다. 다른 직업들과 달리 상대방을 더 높게 띄우며 슈퍼아머 무시가 있다.
  • A - 귀참
전방을 귀기가 담긴 검으로 벤다.
꾹 누르면 차지되는데, 이 상태에서 발동시 귀참 드라이브가 나간다.
귀참드라이브 시 마지막으로 소환한 귀신이 나간다.[16] 아무것도 소환 안 했다면 카잔이 나간다. 슈퍼아머 무시
  • S - 달빛 베기

Luna Slash! (만월베기 때) Another!

스킬키 연타로 만월 달빛 베기 가능.
위아래로 벤 뒤 크게 위로 올려벤다.
사용시 무적
  • D - 카잔

소메이나 카잔

카잔을 소환한다. 공격력 상승. '''시작하자마자 쓰자.'''
참고로 실제 던파와는 다르게 굳이 장판 위에 있지 않아도 공격력이 상승한다.
이 귀신은 아킬레스도 쓸 수 있다. 하지만 아킬레스가 카잔을 소환하면 똑같이 공격력이 상승하니 주의하자.
  • F - 몽롱한 눈의 브레멘

소메이나 브레멘

브레멘을 소환한다. 적 방어력 감소. '''카잔처럼 시작하자마자 쓰자'''
카잔과 마찬가지로 아무데나 써도 적 방어력이 감소한다.
  • G - 냉기의 사야

소메이나 사야

사야를 소환한다. 몹이 장판 내부에 있으면 빙결되며 데미지를 입는다.
'''소울브링어 유저들의 최애 스킬'''
귀신을 다수 소환해야 하는 소울브링어에게 빙결은 귀신 소환할 시간을 확보하기 용이하며, 자체 데미지도 상당하다. 빙결 풀리기 직전에 툼스톤으로 콤보를 연계할 수 있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버서커 계열 적에게 대미지가 무한으로 들어가는 버그가 있다. 무조건 무한은 아니고, 바로 걸리기도 하지만 대체로 귀영섬을 쓰고 다시 얼려지면 체력이 쭉 다는 기묘한 현상을 볼 수 있다
  • H - 역병의 라사

소메이나 라사

라사를 소환한다. 몹이 장판 내부에 있으면 라사가 붙어 블리딩 상태가 되고 공격 속도가 감소 한다. 방깎이 있는지는 불명.
공속이 감소한 적은 행동하는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동 속도는 그대로라 돌진기 이동거리가 길어진다.''' 때문에 레비던스같이 돌진기가 있는 적에게 사용했다간 2배로 길어진 차지크래시에 무한콤보를 맞고 죽을 수도 있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Q - 달의 커튼

루넨바인

범위 내 적의 저주 디버프 부여 및 암속성 저항을 감소시킨다. '''시작하자 마자 몹들 앞에서 쓰면 좋다.''' 아니면 안정성 있게 사야쓰고 써도 좋다.
  • W - 귀영보(잔영의 케이가)

Keiga

지속시간 중 달리면 무적이 된다. 이 때 귀영섬을 사용할 수 있다.
  • E - 귀영섬
귀영보를 켠 상태로 달리는 도중 사용 가능. 상대를 홀딩하며 적중한 상태는 머리 위에 해골이 뜨고 갈라지는 이펙트와 함께 데미지를 입는다. 디버프 사용 후 명중하면 데미지가 흠좀무하다. 레바의모험 최초로 각성기가 아닌데 왼쪽에 일러스트가 뜨는 유일한 스킬
간혹 홀딩 도중 적이 돌연 움직여서 대미지가 안들어가는 안습한 경우도 발생하니 주의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 R - 툼스톤

Stone shower!

비석 조각을 떨어트린다.
실제 던파마냥 집탄률이 좋지 않아 사실상 데미지를 바라기 어려운 기술이라 무적기로나 쓰던 기술이었지만 이것 역시 파이널 버전 기준으로 엄청난 상향을 먹은 스킬이다. 기간틱 런쳐에서 장판 세팅한 다음 사용한다면 기간틱 런쳐의 피가 녹아내린다.
무색 큐브 조각 1개 소모. 슈퍼아머 무시
  • T - 흑염의 칼라

(시전 시) Kalla! (피니시 공격 시) Ageto

사용시 평타에 흑염이 나가며 이 흑염은 명중된 적에게 몇초간 붙어 지속 데미지를 입히고 사라진다.
실제 던파처럼 점프 중 사용하면 빠르게 흑염이 나간다. 백스텝 중에도 사용할 수 있다. T키를 다시 누르면 마검 프레드의 흑염검 공격을 할 수 있다 피니쉬 공격 시 슈퍼아머를 무시한다.
백스텝하면서 평타를 마구 갈기면 빠르게 흑염을 날릴수있다.
무색 큐브 조각 2개 소모.
  • Y - 광폭의 블라슈
각성기. 사용시 맵에 늪이 깔리며 잠시 후에 블라슈가 나타나 적을 집어삼킨다.
소환된 귀신과 빙의된 귀신이 많을수록 등장 시간이 단축되고 데미지가 높아진다. 대신, 블라슈가 나올 때 장판과 빙의된 귀신들이 모두 사라진다.
그런데 각성기에다가 선딜도 길고 귀신들도 없어지는 패널티가 있는고 치곤 어째 데미지가 좀 낮은 편이다. 거기에다 소울브링어의 주력인 빙의된 귀신들이 없어진다는 패널티 특성상 매우 큰 패널티라서 그냥 봉인기가 된다. 그나마 쓸만 한 데가 중화기폐기장 3관문. 순서가 안맞아서 죽을거같으면 피 깎을대로 깎은다음 소환하고 누워주자. 그럼 마무리해주고 다음맵으로 갈때도 있다.
무색 큐브 조각 5개 소모.

Lift!

여타 귀검사와 동일.

3.2. 런처


중화기를 사용해 멀리서 공격하는 거너이다. 중화기의 강력한 화력으로 적을 제압한다. 화염 방사기와, 화염 강타 등 키를 지속적으로 누를 수 있는 스킬이 존재한다. 런처는 히든 캐릭터로, 아이템 장착이 불가능하다.
얻는방법 : 히든스테이지 - 추락한 비행선 클리어 후 진엔딩 보기
기본 이동속도가 3.5 높아 꽤 빠른 이동속도를 볼 수 있다.
레바의 모험에서 유일하게 스턱(stuck)판정이 존재한다.[17]
'''얘도 레인저와 더불어 컨 능력에 따라 무시무시한 사기캐가 되기도 하고, 쓰기 어려운 고인이 되기도 한다.''' 1대1 특화 캐릭터. 기본적으로 강한 편의 공격력 을 가졌지만 대부분의 공격이 한쪽만 집중공격을 하는 스킬이라 패망의 탑에 취약하다. 다만 스토리모드에서는 꽤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편. 어느 정도 실력만 되도 얘로 '''슬레이어 모드 기간틱 런처 전 스테이지들은 어느 정도 갈 수 있는 정도.'''
버그인지는 몰라도 런처는 다른 캐릭터보다 스킬사용시 필요한 mp가 매우 적다. 1차 각성기인 새틀라이트 빔은 mp 10을 소모하고, 가장 많은 mp를 소모하는 집중포화마저 겨우 15만 소모할 정도.
다만 집중포화 상태에서는 스킬들 후딜 제거 및 쿨타임이 줄어드는지라 스킬들 마구 쓰다보면 마나가 팍팍 줄어들어서 실질적으론
마나 소모량이 다른 직업군이랑 그럭저럭 비슷한 정도.
본래 하늘성 지하로 갈 수 없는 버그가 있었으나 수정되었다.
여담으로 요원 T랑 비슷하게 생겼다. 다른 점이라면 요원T한테 있는 어깨의 제복 비슷하게 생긴 것과 넥타이가 런처에게는 없다는 것.
또한 적 캐릭터중 하나인 프레드와 요원R에게 굉장히 취약하다.[18] [19] 스토리모드에서 요원 R은 점 심밥보다 어려운 존재로 느껴질정도. [점심밥]
그나마 스토리 모드에서의 프레드는 꺨 만하다. 초원거리에서 평타 갈겨주면 사거리 차이 떄문에 접근 못한다. 그러나 적이 많아 제대로 떄릴 수 없는 패탑에서는 그냥 런처 혈압 터트리는 사신이다. 체감상 난이도가 높은 곳은 요원 R과 점심밥이 최강의 카운터다.
한가지 팁은 프레드를 상대할 시 새틀라이트 빔을 쓰지않고 익스트루더를 쓸 시에 익스트루더의 후딜레이 때문에 거의 무조건 귀영섬을 맞게 되므로 주의하자.
패망의 탑에서 쓸만한 버그가 있는데 적을 바베큐로 띄운뒤 떨어지기 직전 슈타이어를 쓰고 빠르게 대화창을 스킵하면 그 슈타이어가 다음 스테이지의 적에게 맞는데 이 경우 폭발하지 않는 대신, '''적이 런처의 모든 공격에 밀려나게 되며 런처가 주는 피해가 엄청나게 높아져 테드레이를 농락할수 있게된다.'''

3.2.1. 스킬


  • Z - 잭스파이크
근거리의 적을 띄운다. 발동 속도가 느린 편. 무적판정이 존재한다.
  • A - 캐논볼

(시전 시) Oh~ (발사 시) Buster!

충전하면 더 멀리 나간다.
최대 충전하면 맵의 2/3까지 날아가며 실제 던파와 다르게 데미지가 상당히 잘 나온다. 또한 시전중에는 짧게라도 무적이다.
  • S - 라이징 샷

Get smash

스핏파이어 참고. 단, 무기가 핸드캐넌이라 사정거리가 매우 짧다. 대신 띄우기는 다른 라이징샷들보다 좋은편.
  • D - 개틀링건

来る!

위키를 누르면 위로도 발사할수 있다. 점프키로 캔슬 가능.
사거리가 무한인데다가 쿨타임도 짧다.대부분의 적들을 이 게틀링건과 다른 기술과 병행하여 바보로 만들수 있으며 크레인도 쉽게 죽일수 있다.
  • F - 슈타이어 대전차포

Styer

적에게 박히는 탄을 쏴서 폭발물을 심는다. 심어진 폭발물은 잠시 후 폭발한다. 적이 공중에 있다면 멀리에 있더라도 약간 밀리는 효과를 준다.
  • G - 화염 방사기

Let's burn

계속 누르면 홀딩이 가능한 그저 그런 스킬. 슈퍼아머가 없는 적에게 시간 끌만하다.
  • H - 화염 강타

Let's burn

누르고 있으면 일정 시간동안 화염을 연사하는 스킬. 화염 방사기보다 사정거리가 더 길고 이동도 할수있다.
  • Q - 미라클 비전

Miracle Vision!

필수 버프. 적중률이 100%가 되어 '''스턱'''[20]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공격력이 상승한다.
  • W - 레이저 라이플

(충전 시) Laser (발사 시) Bazooka!

충전하면 위력이 더 강해진다. 사정거리가 무한이다. 관통기능도 있다. 개틀링건과 스팅어, 화염방사기/화염강타, 슈타이어와 같이 뽑아치기 패시브가 있기 때문에 꺼낼때 적을 때린다. 전체 공격이긴한데 충전하는 딜레이 생각하면 대미지가 다른 런처 기술보다 그리 강하지 않아서 쓰기에는 위험 부담이 많은기술,그나마 쓸만할때는 딜레이 없애주는 집중포화 켜졌을때 정도.
여담으로 기간틱 런처의 발악스킬인 익스트루더를 빠르게 끝내기가 가능하다. 익스트루더를 시전하자마자 왼쪽으로 돌아서 차지 후 쏘면 타격음과 함께 넘길수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사용하면 캐릭터가 뒤로 밀려나기 때문에 최대한 왼쪽 끝에 붙어서 사용해야한다. 잘못하면 익스트루더에 닿아버려서 다시 잡아야할수도있다.
  • E - 스팅어

Stinger!

집속탄을 전방 공중으로 쏴서 여러 유탄을 떨어뜨리는 스킬, 꾹 누르면 집속탄이 터지는 타이밍이 늦춰진다. 그리고 훨씬 멀리 날아간다.
대전차포와 함께 쓰면 데미지가 상당히 들어간다.
  • R - 양자 폭탄

(레이더 조준 시) Incoming, (조준 완료 시) fire!

미사일을 떨어뜨려 명속성 폭발을 일으킨다. 폭발에 맞은 적들은 감전되며 스킬키를 누르고 움직여 조준을 할수 있다.
시전 중 무적.
  • T - 익스트루더

Extruder, Lock you!

블랙홀 에너지를 모아 전방으로 쏘아 보낸다. 충전 중에는 적을 빨아들인다.
충전시간이 매우 긴데, 이 충전시간 '''내내 무적이다.'''
그런데 이게 의외로 홀딩력이 약하다. 충전 도중에는 적이 잘 모여있다가도 발사하는 순간 몹들이 옆으로 빠져나오는 경우가 있다. 혹은 이속들이 빨라서 홀딩 자제가 잘 안되는 경우도 있다. 대검수라나 가더로 앞으로 밀어주자.
현무에게 잡힌 상태에서 충전하면 희한한 일이 일어난다. 블랙홀 같이 생긴 구체는 가만히 있는데 캐릭터와 현무는 질질 앞으로 끌려간다. 이유는 익스트루더로 현무를 빨아들이는데 현무가 캐릭터를 끌고 가기 때문에 캐릭터와 현무가 앞으로 끌려간다. 발사하면 가만히 있는다.

  • Y - 새틀라이트 빔

All right, Baby.

인공위성에서 적을 유도하는 레이저를 쏜다. 런처의 새틀라이트는 점심밥의 새틀라이트처럼 다단히트가 아니기 때문에 홀딩이 잘 되지 읺는다. 레비던스와 젊은 가더는 매우 잘 빠져나오니 새틀라이트 후 멀리서 공격하도록 하자.
  • space - 집중포화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대신 중화기를 사용하는 스킬을 일정 시간 동안 강화시켜준다. 어떤 방식이냐면, 게틀링건은 발사 속도가 증가하고, 익스트루더와 레이져 라이플은 즉시 최대로 충전해준다. 또한 중화기 기술 사용 도중 다른 중화기 기술로 캔슬하며 사용 하는것이 가능하다.
말이 필요없는 사기 스킬. 실제 던파에서도 mp를 꽤나 많이 소비하는 스킬이며, 이 게임에서도 런처의 스킬중 mp를 제일 많이 소비한다. 못 움직이는 거 빼면 가히 레바의 모험 최강 스킬이라고 할 정도. 점 심밥 따위 점심밥으로 만들어 주는 스킬이다. 참고로 2차 각성기가 아니며, 선쿨이 존재한다. 그리고 강력한 만큼 운용 난이도도 상당한 편.
Space바를 누르면 취소할수있다.
  • 이동+Z - 슬라이딩
  • V - 바베큐

오라!

원래 런처의 스킬이며 잭스파이크 후 게틀링건을 쏜다. 사용 후 게틀링건을 같이 써서 적을 멀리 날려버릴 수 있다. 여담이지만 런처는 바베큐 시전시 추가로 게틀링건 사용시 음성도 나온다.

4. 관련 문서


[1] 제작자 카카오도 2012년 만우절 장난으로 새 캐릭터 런처가 나온다고 한 적은 있다. 사진도 같이 올렸다.[2] 공속증가가 적혀있지만 체감은 없다.[버그] 스핏파이어가 스틸불릿을 장착하면 레인저에게도 관통력옵션이 적용되는 버그가 있다[3] 쿨타임이 짧아 딜사이클엔 문제가 없지만, 체력 및 마나소모가 문제가 된다. 체력을 소모하는 프렌지 평타마저도 공속이 느리고 범위가 작아 충격파에 노출되기 쉽다.[4] 이전 버전에는 블러드 소드 대신 HP를 회복하는 다이하드가 있었다.[5] 마검 히페리온, 패왕의 목걸이, 패왕의 팔찌, 사신의 숨결[6] 패왕의목걸이보다 추뎀이 높은 광기의 목걸이가 있긴 하나, hp가 매우 빨리 소모하여 상위 몬스터를 잡는데 매우 큰 어려움이 있다.[7] 실험 결과 D 버프+G버프+H on 상태에서 패왕셋을 끼고 쿨타임을 기다리다 점심밥한테 박아주면 king 이하의 모든 난이도 점심밥을 '''원턴킬''' 할수있다(...) 심지어 노말 마검조차 프레드와 병행해서 한방에 보내는게 가능하다. 단 툼스톤이 44%라는 확률에 걸맞게 쏟아지지 않으면 마검과 미디움 이상의 점심밥은 원턴킬이 힘들다.[8] 특정스킬(스팅어,화염방사,슬라이딩등)선딜레이에서 슈아가 풀린다. 특히 시작하자마자 일정거리에 들어서면 무조건 스팅어를 시전하려고하는데 이게 딱 웨펀의 맹룡단공참 풀히트 범위라 쓰려고 하자마자 맹룡을 갈겨주면 띄워서 감전을 걸고 신나게 패줄 수 있다. 노말의 경우는 제라드 세트, 2차 각성시 맹룡+환영검무+대검 수라 차륜으로 10초컷 가능(...).[9] 노말 혹은 익스퍼트[10] 한 판 할때 마다 몇백번씩 누르게 된다. 굳이 기존 평타를 쓸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11] 농담이아닌게 2번만써도 화면끝에서 화면끝까지 간다(...)[12] 원작과 마찬가지로 각종 효과음 때문에 이 대사는 잘 안들린다. 쓰자마자 캔슬해야 잘 들린다.[13] 환영검무 데미지와 비슷하다. 환영검무가 다단히트라 아이템 시너지가 좋고 무적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스킬이 얼마나 구린 스킬인지 알 수 있다. 참고로 오버드라이브를 키면 환영검무보다도 약하다. 심지어 2차 각성후 강화된 환영검무와 비교하면 데미지마저 발끝에도 못미친다...[단] 패망의 탑의 광창의 에스터 만은 캔슬이 불가능.[14] 마검전에서 이기어검술-e+4번을 누르면 화면 이 폭발하는걸 볼 수 있다(...)[15] 런처는 딱히 좋진 않다. 이유는 아래 런처 목록 참조[16] 예외적으로 역병의 라샤 사용 후 소환시 라샤가 아닌 카잔이 나온다.[17] 알만한 사람은 아는 예전 던파의 '''스턱쳐'''시절(...)의 오마쥬로 추정.[18] 이는 프레드가 사용하는 귀영섬때문인데 거리가 벌려질경우 100%확률로 사용하기때문. 문제는 런처는 거리를 벌리고 싸우는게 주요 전투법인데 이게 프레드의 귀영섬에 완벽히 카운터당한다. 들어오는 순간 달빛베기와 툼스톤도 같이 얻어맞는다. 특히 패망의 탑에서 체감이 많이가는데 사실 런처패탑이 어려운 이유가 이놈때문이다. 프레드 자체도 무섭지만 같이 나오는 놈들도 정말 까다롭기때문. 특히 벽 무한 콤보를 시전하는 레비던스는 프레드하고 항상 같이 나온다.[19] 그리고 요원R은 어느정도 실력만 되면 1페이즈는 콤보, 2페이즈는 각종 스킬들 마구잡이로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3페이즈에서는 주로 미사일이 날아오는데, ''''''미사일 때문에 매우 취약하다.''' 왜냐하면 런처는 무적기가 쿨 타임이 긴 스팅어와 익스트루더뿐인 것이 그 이유다. 희망이라면 바베큐인데 바베큐는 접근할 수 밖에 없는지라..[점심밥] 자체도 런처로 깨기 좀 어렵다. 중간 이후부터는 난이도가 체감상 급상승한다. 익스투루더 원빵킬과 슈퍼아머때문에 그렇다. [20] 누가봐도 스턱쳐 오마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