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버스 2
[image]
사진상에는 해양대까지 간다고 적혀있지만 현재는 여객선터미널 루프회차식으로 운행한다
1. 노선 정보
2. 개요
목포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3. 역사
1972년 기준으로, 당시 노선 번호는 없었으며, 이로동을 기점으로 교도소(현.일신아파트)~목포여고~삼학양조~목포역~대반동으로 운행하였다. 인가 대수는 8대, 배차간격은 '''7분'''이었다.
이렇듯. 노선의 큰 변화없이 운행하여 오다가 2007년 3월 대개편 때 해양대-여객선터미널 구간이 잘려나가 석현동을 출발하여 목포역->상공회의소->여객선터미널->목포역 구간을 한바퀴 돌아 석현동 방향으로 돌아가는 형태로 운행하다가, 4월 수정 개편 때 원상복구 되었다.
2008년 이후 양을산 터널과 그 접속 도로가 개통되며 상동지구에 들어갔다가 항도여중 입구에서 U턴하여 터미널 쪽으로 다시 진출하는 노선이[1] 양을산터널 접속도로를 이용하여 돌아서 나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좁은 곳에서 갑작스럽게 회차함에 따른 안전 문제도 있었고, 들어간 길 그대로 나오다보니 양방향의 노선이 모두 한 정류장에 정차해서 생기는 혼동과 도로 혼잡 등의 문제가 있었던 데다가 막다른 길이었던 해당 위치가 양을산터널 가는 길(양을로)로 가는 접속도로가 생겨나며 여러방향의 차량들이 섞이게 되자 그 위치에서 유턴하는데에는 무리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같은 방식으로 돌아나오던 6번과 112번 역시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2011년 4월 현재 편도운행 소요 시간은 49분 1일 운행횟수는 70회 배차간격은 13분간격, 운행시간은 05:50 ~ 22:30이다. 2013년 9월 현재 공식 배차간격이 16분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2012년 고시된 제2차 목포시 대중교통계획에 의하면 유달산 구간을 단축하고 남악신도시로 연장예정이었으나 아직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개편안은 2016년 5월 대개편을 지나 2017년 10월 현재까지 세월이 흐르는 동안도 실현되지 않고 묻혔는데, 하지만 2012년 9월 부로 남악신도시-목포종합버스터미널을 연결하는 60번 노선이 평일 배차간격이 20분으로 단축되었고, 2015년 2월 부로 역시 두 지점을 잇는 800번도 남악신도시에 들어오게 되어서 굳이 이 노선까지 남악에 들어올 필요성이 낮아졌다.
2016년 5월 버스 개편 때 해양대~수협 구간이 폐지되고 상공회의소에서 여객선터미널, 항동시장 쪽으로 해서 회차하는 노선으로 바뀌었다. 결국 2007년 3월 대개편 초기안대로 9년만에 돌아간 셈. 종점 쪽 차고지인 해양대에 들어가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남악신도시에는 차고지가 조성되지 않는 이상은 석현동을 기종점으로 운행할 수밖에 없어서 남악으로 들어오는 일은 앞으로도 없을 듯 하다. 2017년 10월 현재 평일 1일 운행횟수 63회에 배차간격은 16~17분, 주말 공휴일 1일 운행횟수 54회에 배차간격은 18~20분이다.
4. 특징
차량은 1대를 제외하고 모두 저상버스로 운행하고있다.
1번 노선이 담당하는 남서-북동 축의 보조 간선이다. 1번 노선과 기종점도 같고, 선형도 비슷하나 중간중간 1번이 운행하는 구간을 벗어나 1번이 경유하지 않는 상공회의소->구 조흥은행 구간(해양대방향만 운행), 목포여고-동초교-시청구간, 상동지구 및 항도여중 등을 경유한다. 그러나 2016년 5월 1일 개편으로 목포항~해양대 구간이 단축되어 기종점이 달라졌다.
보조간선이지만 괜찮은 배차간격을 띄운다.
주중에는 63회, 주말에는 54회 운행한다.
종점도 석현동으로 나와있지만, 실질적 종점은 목포항이다.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목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1] 이 쪽 동네 길이 막다른 길이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대형차량이 못 가는 길이 있기는 하다. 지금의 석현동 구간 길이 없던 한국전쟁 즈음만 하더라도 이곳이 서울가는 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