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항
1. 개요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한 무역항. 전라남도 서부 지역의 관문이며 그리고 단연 목포의 마스코트이자 랜드마크이다.
항만 규모로는 광양항에 이어 호남권에서 두번째 규모이며, 지리적 위치로 인해 국가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항구이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근처 여러 섬을 잇고, 위치상 중국과 일본을 잇는 데 적합하다. 문제는 이 모든 게 연안무역에 한정된다는 것. 국제중개무역을 육성하기에는 수심이 얕고 수역이 좁다. 그나마 수심이 깊은 신항도 대형 선박이 접안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다. 초대형 벌크선도 무리없이 접안할 수 있는 광양항에 비해 호남권에서 목포항이 가질 수 있는 메리트가 거의 없다. 다도해 섬들의 여객 수요의 중심에 위치해 있고, 지정학적 위치 하나 만큼은 정말 중요하기에 3함대가 위치하고 국가적으로 관리한 항이라 그나마 아직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 만약 목포항이 광양, 평택이나 군산 정도의 지형조건만 갖췄더라도 목포는 지금보다는 더 큰 항구도시가 되었을 것이다.
2. 역사
지리적 이점[2] 으로 인해 조선 시대에는 수군 기지가 있던 곳으로, 만호가 배치되어 목포만호라 불리웠다. 기록상 1421년 개청해 1895년 폐청한 것으로 나와 있다.
이후 그 지리적 이점을 살려 1897년 개항해 일본으로 진출하는 개성 상인의 중간거점 역할을 하면서 대성, 순식간에 한반도 항만 순위권에 들 정도로 번성한다. 또한 나가사키와 상하이라는 당대 큰 도시들의 중간 지점에 있어 열강들에게 주목받았던 역사도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공출항으로 지정되어 수탈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던 슬픈 흑역사도 있다.
전성기이던 1940년대에는 인천항, 부산항과 조선 3대 항구에 들 만큼 번성하였다. 목포시도 조선 16대 도시에 들 만큼 강성했었다.
이후 해방이 되고 195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여전히 한국에서 상당한 규모를 과시했지만, 이 당시 일본의 적성국화와 중국의 공산화로 인해 일본이나 중국과의 교역이 끊어지면서 무역항으로서는 사양길을 걷게 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정책에서 호남권이 지속적으로 소외되는 바람에 목포항의 성장도 정체되고 만다. 일단 목포항은 조수간만의 차이로 유명한 서해안에서도 기존 인천항보다 수심이 더 얕고 대량의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대형 항만으로 성장하는 데는 분명히 한계가 있었다.[3] 이를 극복하려면 다도해를 모두 매립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방안밖에 없다. 차라리 같은 서해안에 접한 영광군에 항만을 조성하는 게 훨씬 현실적일 정도. 호남권도 균형적으로 개발되었다면 목포항 역시 지금보다 커졌을지 모른다는 주장도 있다. 다만, 같은 호남권이면서 대형 항만 입지가 더 적합한 광양항의 경우 국가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광양항은 남해안이니 항구 기능을 하기 더 좋다.
다행히 일본, 중국과의 관계가 좋아지고, 국가에서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지금은 어느 정도 개발 계획이 잡혀있는 상태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대불국가산업단지의 생산물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대불선을 만들면서 목포 본항에 대불역을 연결하고, 본격적 활용을 위해 목포신항도 건설했지만...
한편 1980년 여객 터미널을 개장, 2005년 대규모 보수를 한 이래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3. 시설
해당 링크로 들어가면 목포항 항세도 및 항만시설을 볼 수 있다.
3.1. 내항
여객터미널과 어항의 기능을 하고 있다. 내항의 가장 안쪽 구역은 어선들이 정박해 있으며, 내항 바깥쪽 구역에 목포내항재개발 계획이 구상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간에 여객터미널이 위치해 있는 구조다.
여객 부두의 경우(국제여객터미널구역) 1선석은 4천 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그리고 2선석은 1만 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3.1.1. 연안여객터미널
[image]
연안터미널은 목포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변 섬들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한다.
- (초)쾌속선 노선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흑산도 ↔ 홍도 (남해고속) : 매일운항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흑산도 (남해고속) : 매일운항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흑산도 → 상태도 (흑산면) → 하태도 → 가거도 → 만재도 → 하태도 → 상태도 → 흑산도 → 비금도, 도초도 → 목포 (남해고속)[4]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다물도 ↔ 흑산도 ↔ 홍도 (동양고속)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상태도 (흑산면) ↔ 하태도 ↔ 만재도 ↔ 가거도 (동양고속)
- 목포 ↔ 하의도(웅곡) ↔ 신의도(당두) (조양운수)
- 차도선 노선
3.1.2. 국제여객터미널
국제터미널의 경우 국제선 역할을 하라고 크게 지어놨건만, 개항 후 상하이행 페리만 있다가 그마저도 2007년 운항중단. 현재는 씨월드고속훼리에서 운항하는 제주셔틀로만 이용된다. 이로 인해 전라남도가 국제선 유치에 노력을 안한다고 허구헌 날 까인다. 국제선 취항은 시 단위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2016년에 중국 저장 성을 잇는 국제선 신설을 검토했으나 현재까지도 취항이 성사된 바 없다.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3.2. 북항
목포항 구역 북부에 자리한 항만이다. 서해지방해양경찰청 관련 시설과 서해어업관리단 본부가 북항 남쪽 매립지에 있다. 또한 목포해양경찰서 해경 함정과 서해어업관리단 전용 정박 부두가 함께 있다. 그 외 친수시설과 어선 물양장 및 접안 시설이 있으며, 여객선 접안 시설도 있다.
북항에서도 다도해의 섬들로 가는 여객선이 운항한다.
- 차도선 노선
- 목포 북항 ↔ 안좌도(읍동) ↔ 비금도(가산) ↔ 수치도 ↔ 도초도(화도) (비금농협)
- 목포 북항 ↔ 안좌도(읍동) ↔ 비금도(가산) ↔ 도초도(화도) (도초농협)
3.3. 남항
남항은 관공선 부두가 있으며, 부잔교 12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 어선이나 낚시 선박들이 계류되어 있다.
3.4. 삼학 부두(외항)
삼학도 주변 해역을 매립해서 만든 항만이다. 내항 바로 건너편에 있으며 다양한 시설이 들어서 있는 곳이다.
내항 바로 건너편인 삼학부두 북서쪽에는 목포요트마리나 정박 시설이 있으며, 생각보다 꽤 많은 요트가 정박해 있다.
삼학부두 북쪽이자 목포항의 가장 내부인 곳에는 동명동물양장이 있으며, 이곳에도 항시 어선들이 정박한다. 그리고 수협물양장도 있다.
삼학부두 남쪽은 화물 부두로 이용되고, 4개의 선석이 있다. 먼저 11선석은 1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산 가공품 등의 부두로 이용된다. 12선석은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고, 석탄 부두로 이용된다. 13선석은 3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14선석은 5천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항세도 상으로는 크루즈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부두도 있으나, 실제로 이용하는지는 확실치 않다.
3.5. 목포신항
[image]
고하도 주변 남서쪽 해상과 허사도, 장구도를 함께 매립하여 건설한 항만이며, 민자항이다. 대불산업단지의 화물 처리를 위해 조성되었지만, 대불산업단지가 구상과는 다르게 흘러가는 바람에 대불선이 거의 망해버려 전동차 시험선으로나 쓰이게 되어서 현재는 그냥 화물항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그래도 나름 대형 화물항만으로 성장하면서 규모는 개항 초기보다 커졌다. 하지만 항세도 상의 계획보다는 조금 작은 규모이며, 항만 북쪽에도 아직 다 건설하지 못한 매립지가 있는 것을 보면 기회가 될 때마다 확장할 모양이다.
인양된 세월호 선체가 현재 이곳에 있어 추모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 철재부두 : 1개 선석이 있으며,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자동차부두로 이용 중이다.
- 다목적부두 : 3개 선석이 있으며,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컨테이너와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자동차부두 : 1개 선석이 있으며,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수출차량들이 있다.
- 시멘트부두 : 1개 선석이 있으며, 1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3.6. 대불부두
대불산업단지의 화물 처리를 위해 만든 부두. 대불선 대불역과 연계되어 있다.
현재 총 5개의 선석이 있다.
- 61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철재 및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62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철재 및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63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양곡부두로 이용 중이다.
- 64선석 :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65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철재부두로 이용 중이다.
3.7. 용당부두
삼학부두 바로 건너편에 위치한 부두이며, 용당일반산업단지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항만이다.
현재 총 4개의 선석이 있다.
- 1선석 : 3천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농수산물, 공산품 부두로 이용 중이다.
- 2선석 : 1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농수산물, 공산품 부두로 이용 중이다.
- 3선석 : 1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모래부두로 이용 중이다.
- 4선석 : 3천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모래부두로 이용 중이다.
3.8. 그 외 부두
그 외에도 쌍용부두, 동양부두, 유류부두, 현대삼호부두가 있다.
- 쌍용부두 : 총 1개 선석과 1개의 물양장이 있다. 1선석은 1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현재 시멘트부두로 이용 중이다. 물양장은 700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골재류부두로 이용 중이다.
- 동양부두 : 총 1개 선석이 있고, 돌핀 형식의 부두다. 1선석은 1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현재 시멘트부두로 이용 중이다.
- 유류부두 : 총 1개 선석이 있고, 돌핀 형식의 부두다. 1선석은 6천톤급 선박 2척이 동시에 정박 가능하며, 현재 유류부두로 이용 중이다.
- 현대삼호부두 : 총 1개 선석이 있다. 1선석은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조선소 강재 하역을 위한 철재부두로 이용 중이다.
3.9. 기타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인근 대형 어장들의 모항 역할도 담당한다.
목포해양대학교가 목포항 지역 내에 있다.
4. 이야기거리
이 항구를 소재로 한 노래도 여럿 있다.
주변에 반암반도, 고하도가 있고 그 외에 여러 섬들이 앞에 많이 있어 자연 방파제 구실을 하여 해일 피해가 없는 지리적 이점이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선박의 대형화로 이 자연 방파제는 지형 장애물로 인식되고 있다.
영산강에서 토사물이 밀려 내려와 수심이 얕아진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방조제를 건설하면서 해결했다.
[1] 해당 사진은 2017년 쯤 모습이며, 내항 여객선터미널 부근이다. 좌측 부두 모서리 부분의 건물이 국제여객터미널, 그 오른쪽의 좀 더 큰 건물이 연안여객터미널이다.[2] 지도상으로만 보면 앞에 많은 섬들이 있어서 해일 피해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영산강에서 흘러오는 토사물이 퇴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목포의 발전을 정체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3] 위성 지도를 보면 목포항의 위치가 영산강의 하구 쪽인 것을 알 수 있다. 현재는 영산강하굿둑이 있지만, 이는 감조하천인 영산강이 해수가 역류해서 농지의 염수 피해를 방지하려는 목적이 크다.[4] 짝수일 운항[5] 1항차는 수치, 2항차는 사치로 운항하는 듯하다.[6] 해당 노선은 중간 기항지가 매항차마다 달라진다. 주로 목포-안좌-하의 구간으로 다니고 그 외 기항지는 승하차할 승객이 있는 경우에만 기항하는 편. 그래서 소요 시간의 편차가 좀 있다. 목포-하의 직항 시에는 1시간 50분 내외이며, 중간 기착지가 늘어날수록 최대 2시간 20~30분까지 소요되는 편.[7] 마진도의 경우 오전, 오후에 각각 한차례만 기항한다.[8] 이 운항계통은 중간에 수많은 기항지가 있으나, 매번 다르므로 선사에 문의하고 탑승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