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

 

1. concentration
2. Flow
2.1. 하는 방법
2.2. 관련 자료
2.3. 관련 개념


1. concentration


concentration 沒入
깊이 파고들거나 빠짐.
보통 몰입도라고 하면 얼마나 사람들이 흥미를 가지면서 집중할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데, 몰입도가 높기 위해서는 긴장감 있는 연출이나 예측할 수 없는 스토리 등이 필요하다. 소설 같은 경우에도 잘 쓰여진 추리물과 같은 장르에서 독자를 한 순간도 책에서 눈을 돌릴 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물론 몰입을 계속하도록 만들면 독자(또는 관객)은 지치기 마련이므로 가벼운 분위기를 연출해서 주의 환기하는 것 또한 몹시 중요하다. 이것이 지나쳐서 필요 이상으로 몰입 하게되면 과몰입이 된다.

2. Flow


심리학적 의미에서 몰입이란, 자의식이 사라질 만큼 어느 것에 심취한 것을 뜻한다. 긍정심리학자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가 몰입에 대한 연구자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그의 저서 중 일부가 《몰입의 즐거움》 등의 제목을 달고 번역되어 들어와 있다.
칙센트미하이는 몰입을 머리 속의 생각과 목표, 행동 등 모든 정신이 하나로 통일되는 상태라고 말한다.[1] 몰입은 시간이 흘러가는 것을 완전히 잊어버릴 수 있게 해 주며, 무아지경의 경지에 빠진 채로 자신의 정신적인 역량을 몰입의 대상에 100% 쏟아부을 수 있다. 예컨대 여러분이 무언가에 깊이 빠져들었는데 문득 정신을 차려 보니 어느새 저녁 해가 져 있다거나 심지어 아침 동이 터 오는 상황이라면 몰입을 경험했다고 볼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적게는 인생에서 몇 번밖에는 경험하지 못하지만, 의식적으로 어느 정도 준비를 거친다면 그보다 더 많이 경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실제로 몰입을 알고 있는 일부 교수들이 논문을 쓰는 등의 몰입할 일이 생기면, 거진 일 주일 전부터 정신적인 준비를 시작해서 이후 일 주일 이상은 두문불출하면서 내내 매달린다고 한다.
몰입을 인위적으로 경험하게 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몰입은 '''개인의 역량'''과 '''과업의 난이도''' 두 가지에 결정적으로 좌우된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역량이 충분히 뒷받침되어 있어야 하고, 과업의 난이도는 너무 어렵지도 너무 쉽지도 않도록 적절하게 맞추어져 있어야 한다. 즉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느 정도는 그 분야의 전문가에 준하는 내공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는 것.
  • 개인의 역량은 낮은데 난도가 너무 높은 경우: 지레 겁먹고 자포자기하게 된다.
  • 개인의 역량은 높은데 난도가 너무 낮은 경우: 심심함과 지루함을 경험하며, 주의가 쉽게 산만해진다.
  • 개인의 역량도 낮고 난도도 낮은 경우: 배움과 시행착오의 과정. 몰입에 이르려면 더 충분한 실력이 있어야 한다.
  • 개인의 역량도 높고 난도도 높은 경우: 뛰어난 역량에 충분히 걸맞은 도전적인 과업이 주어지면, 그 사람은 그것이 완수될 때까지 침식을 잊고 과업에 깊게 몰입한다. 이때 이 사람은 자기 자신을 완전히 잊어버린 채로 평소의 110%, 120%의 역량까지 이끌어내며 결과적으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다.
이 외에도 과제가 피드백이 잘되거나 목표가 명확하면 역시 몰입이 잘 일어난다.[2] 가령 시험공부는 아무리 열심히 해봤자 결과는 시험 후에 나오지만 게임은 결과가 못해도 하루안에 나오기 때문에 몰입이 더 쉽다. 그리고 같은 공부를 해도 '''무슨 부분을 언제까지 해야지'''하는 명확한 목표가 있는 경우 몰입이 더 잘된다. 그리고 위의 네 가지만큼 결정적이진 않지만 독서경험이 풍부하고 TV시청시간이 적은 경우에도 몰입이 일어나는데 유리하다.
만일 여러분이 고등학생이라면, 어려운 수학문제를 만났을 때 몇 시간이고 미친듯이 노트를 새까맣게 만들면서 수식을 주물럭거려 본 경험이 있을지도 모른다. 굳이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수학 시험문제중에 나무블록을 이용한 그림문제가 있는데 풀이식을 대입안하고 시험지에 이면부분에다가 직접 그림을 그려서 푸는 것. 이 역시 몰입의 라이트한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게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여러분이 특정 게임에서 최상위 랭킹을 찍는 실력자인데 스피드런이나 각종 꿈의 플레이에 도전한다면, 여러분은 몰입과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여러분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밀리지 않는 뛰어난 직장인이라면, 몇 날 며칠동안 식사조차 잊어버리고 밤을 새워서 어마어마한 프리젠테이션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여러분이 피아노 전공생이라면 여러분은 극도의 기교를 요구하는 대규모 연주회에서 자기 자신을 잊은 채 음악과 하나가 될 수도 있다. 이 모든 것들이 각 분야의 난다 긴다 하는 사람들이 종종 경험하는 몰입의 사례다.
몰입 연구자인 칙센트미하이는 몰입이 삶의 질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 칙센트미하이는 몰입이 없는 행복은 단순히 외부에 대한 반응이라서 상황이 바뀌면 언제든 없어질 수 있는 것임에 비해 몰입에 의한 행복은 인간이 성숙한 정도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3]

2.1. 하는 방법


황농문 교수의 몰입 시리즈에 따르면 몇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몰입을 원활히 할 수 있는데 일단 '몰입도'를 높이려면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야 한다. 하지만 몰입도를 높이고 나면 유지하기에는 어렵지 않고 반대로 기분이 좋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순간이 아니라 오랫동안 몰입하는 것이다.
조건 1.문제를 설정한다: 문제를 설정할 때에는 미해결된 문제 중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를 고른다. 절실하게 느껴질수록 몰입하기 유리하며 또한 몰입적인 사고를 하기 전에 풀려는 문제에 대해서 정보나 관련된 지식을 충분히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포츠나 취미 생활에 어느 정도 경험이 있어야 고도로 집중하며 즐길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
조건 2.몰입할 수 있도록 연속된 시간과 조용한 개인공간을 환경을 확보한다.몰입하는 도중에는 주위에서 불러도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조건 3.어떠한 것에 몰입할 때 그 행동의 필요성(동기)을 알고, 행위를 바꿔야 한다. 당신이 공부를 하고 싶은데 지루하다고 생각하면 몰입 할 수 있는가? 이는 행위를 바꿔야 가능하다. 어떠한 학생이 공부에 몰입하는 것은 공부로 인한 얻는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이고, 성적이 올라가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하겠다고 다짐했기 때문이다. 몰입하는 학생은 공부 하지 않거나 하려고 노력하지도 않는 하위권과는 다르게,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행위 또한 다르다. 요약해서 자신이 책을 보려고 할 때 책을 보는 이유도 불확실하고, 책을 보려는 행위도 불확실하다면 몰입은 어렵다는 것이다.

2.2. 관련 자료


  • 저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시리즈.
    • '몰입의 즐거움', [4]
    • 'FLOW'[5]
  • 저자 '황농문'의 몰입 시리즈
    • '몰입;인생을 바꾸는 자기혁명' [6]
    • '몰입;두번째 이야기;인생의 완성도를 올리는 자기혁명'[7]
    • '공부하는 힘'
    • '슬로싱킹'[8]

2.3. 관련 개념



[1] Csikszentmihalyi,'몰입의 즐거움',이희재 역,해냄,2010,pp44-45[2] Csikszentmihalyi,'몰입의 즐거움',이희재 역,해냄,2010,pp44-45[3] Csikszentmihalyi,'몰입의 즐거움',이희재 역,해냄,2010,p48[4] 몰입을 주제로 한 에세이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5] 몰입의 바이블이자 몰입의 근본적인 개념이요, 삶의 철학이며, 몰입을 주제로한 하나의 논문이나 다름없는, 그야말로 몰입에 대한 정수라고 보면 되는 책이다. 몰입이란 무엇인지, 그 근본부터 몰입의 철학까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한다.[6] 본격 : 몰입 실천서. 미하이 교수의 책이 몰입의 바이블이자 정수라면, 황농문 교수의 책은 실전에 바로 적용시켜 쓸 수 있는 야전교범이자 교과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몰입이 무엇인지, 효과는 어떻고, 사례와 실천방법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으면 된다.[7] 전작의 확장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새로운 내용은 없고 기존의 내용을 보강한 정도다. 전작만 읽어도 충분하나, 읽어서 나쁠건 없다.[8] 실제 사례를 많이 소개 하였으며, 황농문 교수가 주장하는 몰입을 하기위한 핵심인 슬로싱킹에 대하여 설명한 책이다. 전작들과 겹치는 부분이 있으나, 새로운 내용도 많이 추가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