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혈 혁명

 

1. 개요
2. 무혈 혁명의 예
3. 무혈 혁명으로 여겨지나 논란이 있는 예


1. 개요


혁명은 피를 부른다. 흔히 혁명은 독재자혁명가의 피를 먹고 꽃핀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혁명은 수많은 인명을 희생하며 이루어지는데, 인류 역사상 매우 드물지만 '''피를 보지 않고 끝나는 혁명'''도 일어나긴 한다. 이러한 것을 일컫는 말.
무혈 혁명의 경우 여러 타입이 있는데, 일단 군대가 '''독재자의 명령을 거부하고 중립을 선언'''하여 독재자가 하야하거나, 혹은 '''군대가 시민의 편에 서''' 독재자가 하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무혈 혁명의 예


  • 2003년 조지아 혁명 #

3. 무혈 혁명으로 여겨지나 논란이 있는 예


  • 1688년 영국명예혁명 - 영국 왕가가 피를 안흘러서 명예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이지,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군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기에 무혈은 아니다.
  • 2011년 튀니지 혁명 - 경우에 따라 무혈 혁명과 비슷한 분류로 보기도 한다. 튀니지나 이집트, 예멘, 바레인 등 리비아, 시리아와 달리 평화적 시위로 혁명이 일어난 곳 역시 500여명 이상의 사망자들이 나왔기 때문에 튀니지나 이집트조차 무혈 혁명이라고는 볼 수 없다. 바레인은 시위가 진압당하면서 실패로 끝났고, 예멘도 일부 지역에서는 내전 수준으로 간 적도 있었기 때문에 완전한 무혈 혁명은 더욱 아니다.
  • 2016 ~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일명 촛불 혁명) - 한국 역사상 최대 인파가 이룩해낸 무혈의 시민 불복종 운동인 건 맞으나, 혁명이라고 봐야할 지는 의견이 엇갈린다. '혁명' 문서의 7.1.1. 문단 참고[1].

[1] 하지만 바꾸려는 대상이 정치체계가 아니라 박근혜의 아버지인 박정희에 대한 향수를 간직한 기득권의 중심 질서라면 얼추 들어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