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자키 이치사다

 

[image]
宮崎市定
1901~1995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동양사학자. 나이토 토라지로 이래로 유물사관 중심의 관념적인 중국사 해석에 실증주의적인 연구로 맞선 교토학파의 중심인물로서 20세기 후반 일본 역사학계를 이끌었다. 교토대학 문학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1936년 파리로 유학 가 아랍어를 공부했다. 1944년 교토제국대학 교수로 취임해 1965년 정년퇴임했다. 이후 함부르크 대학, 루르 대학의 객원교수로 초빙되었다.
1978년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최고의 중국 관련 저술에 주어지는 스타니슬라스 쥘리앵 상을 수상했고 1989년 문화공로자로 선정되었다. 중국 사회, 경제, 제도사와 동서양 교섭사에 관한 수많은 탁월한 연구 업적을 남겼고 서아시아유럽과의 비교사적 관점으로 중국사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해석을 보여줬다. 공산 혁명 이후 중국과 일본의 국교가 단절되었던 시절 중국에서 〈미야자키 이치사다 논문 선집〉이 소수의 당 간부와 학자들을 대상으로 내부 회람용으로 출간되어 연구되기도 했다.
미야자키의 연구는 동양사 연구에서 많이 인용되고 참조되는 것으로 유명할 뿐 아니라 시바 료타로, 마쓰모토 세이초를 비롯한 많은 역사소설 작가들도 집필에 미야자키의 저작을 참조했다고 밝혔다.
그의 저작중 『중국통사』가 볼만한데, 대학자만이 쓸 수 있는 중국통사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야자키 이치사다가 교토대학을 정년퇴직한 뒤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저술한 중국사 개설서이다. 중국사는 물론이고 동서양의 역사를 아우르는 저자의 박람강기를 바탕에 놓고 마치 에세이를 쓰듯이 쉽고 재미있게 중국사 전반을 서술하고 있다.
비교역사학적 관점과 옛 문헌의 기록에 근거해 춘추전국시대 이전 도시국가의 실태를 밝히는 탁견을 비롯해 영토국가 단계에서 기마전술의 도입을 통해 제국 건설로 이어지는 고대사의 발전 과정, 제국의 붕괴 뒤 북방 민족의 중국 진출과 분열 경향의 심화로 대동란에 휩싸이는 중세 시대, 송대에서 시작하는 중국 르네상스의 다양한 면모와 중화주의의 싹이 최근세의 서유럽 문명과 마주치면서 새로운 도전을 맞는 중국사의 전 과정을 대학자의 깊이 있는 안목으로 독자들에게 소개하기도 한다.
그외 저서로 『아시아사 개설』, 『옹정제』, 『과거』, 『수양제』, 『대당제국』[1], 『수호전: 허구 속 사실』, 『사기를 말하다』, 『구품관인법 연구』, 『아시아사론』, 『논어의 신연구』, 『자발집: 동양사학 70년』, 『중국사의 명군과 재상』 등 다수가 있으며, 1991년 『미야자키 이치사다 전집(宮崎市定全集)』(전24권, 별권1)이 이와나미쇼텐에서 간행되었다. 우리나라에도 그의 저작 중 많은 것이 번역 소개되었다.

[1] 한국에는 <중국중세사>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