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전사 프리큐어/등장 필살기
본 항목은 프리큐어와 그 동료들의 마무리 기술을 필살기라는 각 작품별로 나눠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판에서 변형된 대사는 괄호 안에 다루었다.
1. 큐어 블랙과 큐어 화이트의 합동 필살기
시리즈의 특성상 개인 필살기는 존재하지 않으며, 큐어 블랙과 큐어 화이트의 합동 필살기만 존재한다.
모든 프리큐어들의 합동 필살기의 원류가 바로 초대들의 필살기이다. 초대 프리큐어의 모든 합동 필살기는 블랙과 화이트가 서로 손을 맞잡고 사용하는데 필살기가 특별히 강력할 때는 이 마주잡은 손을 더욱 세게 쥐는 연출이 나오기에 필살기의 위력은 블랙과 화이트의 악력에 달렸다는 농담이 있다. 예를 들면 동생이 공격당해 열받은 블랙이 화이트가 아파할 정도로 손을 세게 잡았던 때의 마블 스크류는 적 간부를 그대로 보내버렸다.
개인 필살기로 체력을 깎고 합동 필살기로 마무리를 짓는 후속작들의 프리큐어와는 달리 초대의 두 사람은 순수하게 주먹질과 발차기만으로 모든 상황을 타파하고 필살기는 그저 피니시용이다. 그야말로 육체언어의 정점.[1] 이러니 한동안 프리큐어가 마법소녀물이냐는 논란이 오갈 만도 했다.
1.1. 프리큐어 마블 에너지파
자주 사용되는 만큼 격파도 많이 당한 기술. 흑백의 광선을 분리시키거나 발동 자체를 봉쇄한다거나 힘으로 그냥 버텨낸다거나 하는 식의 카운터를 많이 당했다. 그러나 어찌되었든 초대 프리큐어의 필살기라면 마블 스크류, 마블 스크류라면 초대 프리큐어로 치환되는 건 변하지 않는다.
'''사용 대사'''
"블랙 썬더!" - 큐어 블랙
"화이트 썬더!" - 큐어 화이트
"프리큐어의 아름다운 영혼이" - 큐어 화이트 (국내판 "프리큐어의 맑고 아름다운 영혼이")
"사악한 영혼을 물리친다!" - 큐어 블랙 (국내판 "사악한 마음을 물리치리라!")
"프리큐어 마블 스크류!" - 공통 대사
1.2. 프리큐어 레인보우 세라피
'''이런 기술이 있는지도 몰랐다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비중도, 등장도 없는 필살기'''. 두세번 쓰고 나서는 그냥 마블 스크류로 다 처리해서...
사용시 번개가 내려오는 대신 흑색과 하얀색의 여러 개의 원이 프리큐어를 둘러싸면서 빛난 다음 무지개빛으로 변화, 대사 후 프리큐어 뒤의 무지개빛 덩어리에서 여러 개의 빛이 자켄나를 감싸 정화시킨다.
전체적인 포즈는 마블 스크류와 비슷하다. 그 덕인지 정화계 필살기이면서 대상을 박살낼 것 같은 박력이 있다.
'''사용 대사'''
"블랙 펄서!" - 큐어 블랙 (국내판 "블랙 펄스!")
"화이트 펄서!"- 큐어 화이트 (국내판 "화이트 펄스!")
"어둠의 주박에 붙잡힌 자여" - 큐어 화이트 (국내판 "추하고 사악한 어둠의 속박에 묶인 자여")
"지금, 그 사슬을 끊어내리" - 큐어 블랙 (국내판 "지금 너의 그 사슬을 끊어주겠노라")
"프리큐어 레인보우 세라피" - 공통 대사 (국내판 "프리큐어 레인보우 테라피")
1.3. 프리큐어 레인보우 스톰
마블 스크류와 마찬가지로 나기사와 호노카가 한쪽 손을 맞잡은 다음 '레인보우 브레이슬릿' 에서 마력을 끌어내서(이때 손은 펴고 있다) 각자 브레이슬릿을 찬 팔을 뒤로 빼고 다시 주먹을 쥔 상태로 앞으로 내지르면 브레이슬릿이 빛나면서 동시 발사하는 연출로 전개된다.
1기 최종필살기로 새로운 적 간부들(1기 후반부 등장)들이 힘을 합쳐 대항해도 제대로 버텨내지 못하고 매번 잠깐 받아내다가 도망칠 정도의 파괴력을 보여준다. 이걸 정면에서 받아친 것은 최종보스인 자아쿠킹이 유일하며 그나마 자아쿠킹마저도 두번째 레인보우 스톰은 막아내지 못해 쓰러진다.
'''사용 대사'''
"희망의 힘이여, 빛의 의지여!" - 큐어 화이트 (국내판 "희망의 힘이여! 빛의 뜻이여!")
"미래를 향하여 부딪혀 나아가라!" - 큐어 블랙(국내판 "눈부신 미래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라!")
"프리큐어 레인보우 스톰!" - 공통 대사
[1] 큐어 블랙, 큐어 화이트는 프리큐어 올스타즈 DX에서는 발디딤을 했던 바닥이 움푹 파이는 건 기본이고 아무런 특수 능력 없이 주먹과 발차기만으로 자기 몸보다 훨씬 큰 마물들을 때려잡거나 집어던져버리는 등 여타 프리큐어의 신체 능력을 초월한 모습을 보여준다. 기껏해야 밀키 로즈 정도가 한 번 비슷한 묘사를 보여줬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