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가드
네이버 소셜 게임 TCG 언라이트의 캐릭터.
1. 개요
[image]
2. 대사
- "지저분한 야만인, 내 눈앞에서 꺼져라."
- "불쾌하단 말이다. 무능한 것들은."
- "내 와이어에 난도질 당하고 싶은가 보군."
-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레드그레이브님 뿐."
- "이쪽 준비는 모두 끝났다고."
- "왜 그래, 또 그 발작인가?"(VS 맥스)
- "겉으로 보기에는 귀여운 인형인데, 그 내장은 어떨까?"(VS 쉐리, 도니타, 벨린다)
- "배신자답군. 처참한 죽음을 주지."(VS 마르그리드)
- "실례지만 상대해 주십시오, 레드그레이브님."(VS 레드그레이브)
- "복수 같은 건 흥미없어. 하지만 끝은 내주겠어." (VS 레온)
- "일은 모두 끝난 거겠지요, 닥터." (VS 워켄)
- "현상범 따위가. 레드그레이브님께 거짓을 고한 죄는 여기서 갚아라." (VS 루디아)
- "조금은 성실하게 직무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이도록 해라." (vs 유하니)
3. 소개
일본판의 이름 표기인 サルガド(사루가도)로 인해 일본에서는 '드' 발음을 표기할 수 없어 살가도라고 표기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나, 라틴문자 역시 Salga'''do'''이기에 이름은 살가'도'가 맞다. 한국판에 들어오며 이름 표기가 잘못된 캐릭터들 중 하나.
'속박' 상태이상을 주력으로 삼는 캐릭터 1탄. 속박을 걸면 이동할 때마다 상대에게 최대 2의 고정 대미지를 줄 수 있고 다른 공격 스킬들과 연계할 경우 주사위와는 별개로 추가적인 고정 대미지를 가할 수 있다. 레벨이 오를수록 대미지 최대치가 높아져 뛰어난 딜러가 되지만 방어가 취약한 것이 단점. 이동력이 높거나 상대에게 확정적으로 속박 혹은 공포를 거는 캐릭터와의 조합을 고려해봄직 하다.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사용중인 캐릭터가 속박에 걸릴 경우 그냥 교체하고 다른 캐릭터로 싸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캐릭터와 전략을 알아보는 교체 유도형 캐릭터로도 쓰인다.
기술에 특수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캐릭터이자 확정적으로 속박을 거는 유일한 캐릭터. 였으나, 콘라드와 폴레트가 추가되며 유일하게 특수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캐릭터도, 루디아가 추가된 후엔 확정적으로 속박을 거는 유일한 캐릭터마저 아니게 되었다.
2016년 9월 7일 R5가 구현되었다.
4. 능력치 변화
4.1. 노멀
4.1.1. HP/ATK/DEF/소유 스킬
4.1.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 속성이 없는 이벤트 카드는 여섯 슬롯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다.
4.2. 레어
4.2.1. HP/ATK/DEF/소유 스킬
4.2.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5. 스킬
[image]
상태이상 속박을 확정적으로 걸 수 있는 스킬. 살가드는 속박이 걸려있는 캐릭터를 상대할 때 제대로 빛을 발한다. 안 걸린 캐릭터가 나올 때마다 걸어주자. 이동 거리만큼의 대미지를 주는 속박의 특성상 살가드와 함께, 주 스킬에 움직이는 효과가 붙어있는 캐릭터를 덱에 넣어 연계할 수 있다. 다만 이런 덱 구성은 역으로 살가드를 적으로 만날 경우 상성이 좋지 않다는 것에 주의.
Ex가 되면 필요 카드의 개수가 1개 늘어나긴 하지만 종류 제한이 사라지기 때문에 단순히 선공을 잡기 위해 카드를 내도 속박을 걸 수 있다. 지속턴 증가는 덤. 게다가 실질적으로 속박에 걸린 상대에게 데스 바이 행잉을 썼을 경우 먹일 수 있는 고정 대미지도 3 증가했다.
Ex버드케이지에 사용할 카드는 보통 선공과 근거리를 잡기 위해 이동카드를 내는 경우가 많다. 데스 바이 행잉을 먹이려 해도 상대가 전부 속박에 걸리지 않은 이상 교체를 해서 봉쇄당할 수 있으므로 좀 더 안정적인 블래스트 오프를 주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 물론 아무거나 세 장이기 때문에 블래스트 오프의 조건이 안 되는 경우 원거리에 남아 페이크를 시전할 수도 있다.
이전 스킬명은 '''정기의 속박'''
[image]
상대가 속박에 걸려있다면 높은 고정 대미지를 줄 수 있지만, 아니라면 공격력 증가치가 크지 않고, 이동2 이상이라는 코스트가 의외로 커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퍼핏 마스터나 Ex버드케이지가 해금되어 있지 않다면 블래스트 오프를 위주로 사용할 것.
Ex의 경우 최대 6의 고정 대미지와 함께 공격력 증가 수치도 약간 증가했으나 이동 2↑라는 조건 때문에 그냥 데스 바이 행잉과 큰 차이는 없다.
이전 스킬명은 '''억류된 영혼'''
[image]
속박이 걸려 있다면 2 대미지를 상대에게 주기에 살가드의 주 공격기가 된다.더불어 상대 캐릭터의 기술이 근거리 위주라면 선공을 잡았을 경우 이 스킬을 쓰고 원거리로 빠져서 상대의 공격 스킬을 봉쇄할 수 있다. 반대로 상대가 원거리 캐릭터라면 한 번쯤 생각하고 사용할 것.
Ex가 되면 중거리에서도 발동할 수 있게 된다. 중거리에서 발동할 경우, 근거리가 되었다가 원거리가 된다. 상대 캐릭터가 속박에 걸려있다면 총 3의 고정 대미지를 주는 셈. 근거리에서의 발동은 노말과 같이 원거리로만 이동한다. 이동2 이상을 더 내서 중거리에서 Ex데스 바이 행잉과 동시에 발동할 경우 25이상의 주사위와 함께 최대 9의 고정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이전 스킬명은 '''분노한 마음'''
[image]
이 스킬로 인해 상대방은 원거리 선공을 피하게 된다. 선공을 잡아서 공격을 했더라도, 공격에 사용한 카드와 자신에게 있는 카드 모두를 주는 꼴이 되기 때문. 공격을 취소해도 발동되기에, 선공을 잡게 될 것 같으면 이동 턴에 카드를 최대한 버리는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 쉐리가 공격턴에 수이사이덜·T로 자살했을 경우 역시 발동된다.
다만 살가드가 고정 대미지에 의해 죽었을 때는 발동되지 않는다. 또한 패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초반에는 드로우 카드를 쓰지 않는 이상 상대의 카드에 의존해서 공격하게 되므로 상대가 대처를 잘 하는 경우 데스 바이 행잉을 쓰기 어려워진다.
이전 스킬명은 '''요마의 정신'''
6. 전용 무기
[image]
다크룸의 5룸에서 획득가능한 아이템으로 가끔 로테이션에 포함된다.
[image]
기간한정레코드인 2014년 화이트데이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듀얼보너스 게임에서 등장하는 화이트데이 초대장을 사용해 나오는 살가드의 초대장 30회 클리어가 조건이었다.
[image]
한 언라에서 2014년 12월 BP랭킹 상위권에게 주어진 보상이었다.
7.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에서
[image]
카드 속성은 혼돈(황색). 블리츠크리그 팩에 포함되어있다.『수도 판데모니움』에서 최고지도자의 오른팔로서 움직이는 기술관.
최고지도자가 통솔하고 있는 제한파에 속해있어, 금기를 범하는 자를 용서 없이 벌해왔다.
지도자의 측근이라는 프라이드를 가슴에 품고, 한때의 문헌기술관은 금기를 계속 사냥한다.
7.1. 대사
7.2. 액션카드
[image]
[image]
[image]
[image]
8. 기타
레드그레이브의 충실한 부하이자 페어 캐릭터. 레드그레이브와 묶어서 카운실조(council組)라고 불린다. 팬덤에선 충실을 넘어선 빠돌이로 묘사되기도 한다.(...) 같은 속박 스킬이 있다는 점을 연결점으로 루디아와의 커플링도 있는 편.
노말 카드 일러스트에서 왼쪽 눈은 전부 가려져 있는데, 이는 삐딱한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피부는 플로렌스와 함께 자연갈색이라고 한다. 그에 비해 루디아는 햇볕에 탄 것이라고.
2014년 07월 01일 패치로 원문대로 스킬명이 수정되었다. 수정 전 이름은 정기의 속박/억류된 영혼/분노한 마음/요마의 정신.
.
[1] 사서[2] 7월 23일. 숫양(Ram)의 날[3] 이동거리에 따라 고정 대미지를 주는 상태이상. 거리를 1 이동했다면 1, 거리를 2 이동했다면 2의 대미지를 준다.[4] 원문은 레드 스네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