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생산자동화기능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生産自動化産業技士'''
'''Industrial Engineer Manufacturing Automatization'''
관련부처
고용노동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
2. 시험
2.1. 필기
2.2. 실기
2.2.1. 실기 준비법 및 팁
3. 취득 후 실무


1. 개요


전문대 자동화과가 따는 자격증. PLC를 전공한 학과에서 많이 따는 편이다.

2. 시험



2.1. 필기


과락이 존재(40점 이상)하며 평균 60점이면 합격이다. 과 특성상 전기, 전자, 기계 모두 배우기 때문에 과목별 유사성이 적어 공부량이 타 자격증 보다 많은 편 이다. 그래도 기출문제 위주로 한달정도 열심히 공부하면 합격률은 상승하는 편이다.
  • 기계공작법(20문제): 다른 기계 계열산업기사와 유사하다. 다른 세 단원보다 암기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기출문제 위주로 외워두는 것이 중요하다. 계산 문제도 나온다.
  • 공학기초와 기계제도(20문제) : 간단한 물리를 포함하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등 다른 기계 자격증의 제도 과목이 출제 된다. 본인이 고교때 물리를 꽤 했고, 오토캐드를 많이 실습해봤다면 점수 꽤 나온다. 아니면 과략 주의 과목이다.
  • 자동제어(20문제): 전기기사의 제어공학과목이다. 간단한 PLC관련된 것도 나온다. 라플라스 변환은 고등학생 때 이과 수학을 어느 정도 공부했다면 이해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어려운 부분이라고 해봐야 복소평면 개념을 미리 알아둬야 하는 근궤적 정도.
  • 메카트로닉스공학(20문제): 전기기사의 회로설계 과목이다. 전기전자기초과목+ 센서학+모터+기계요소이 혼합된과목이다. 정론으로 공부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기출 위주로 공부하면 된다.

2.2. 실기


실기는 작업형으로 시험시간은 총 5시간 30분정도다. 장비는 어디 회사 제품을 쓰는지 알아보고 가야 합격한다. 그리고 장비마다 세부설정이 달라 미리 연락하고 양해를 구한 후에 한번 미리 연습하려 가는 것도 중요하다.
  • CAD작업형(배점 30점) : 시험자체는 기계설계산업기사와 유사하나 딱 하나의 부품도만 3각법으로 그리고 등각투상도를 하나 띄우면 된다. 기계설계산업기사보다 채점이 널널해서 크게 걱정할 것은 없다. 여담으로 투상도를 전부 다 완성하고 치수, 표면거칠기, 기하공차, 데이텀만 다 넣어도 점수가 잘 나온다.[1] CAD 작업은 거의 거져주는 시험이라고 해도 될 정도. 시험시간은 2시간이다. 다만 규격집에서 요구하는 조건대로 만들지 않을 경우 감점이 매우 크다.[2]
  • PLC작업형(배점 70점)[3] : 배선 없는 전기기능장 실기이다. 생산자동화기능사와 유사해 보이지만 난이도는 훨씬 높다. 단순히 입출력 시퀀스 레더만 그리는게 아니라 1축 서보 및 HMI 터치스크린 설정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거기다 기본동작 및 응용동작 뿐만아니라 부가조건도 넣어야 하기에 응용동작까지 잘 해낸 사람이 부가조건에 실패해서 PLC쪽에서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4] 시험시간은 3시간 30분이다.

2.2.1. 실기 준비법 및 팁


  • PLC 작업형 : PLC는 기출문제도 많이 풀어봐야하고 학과교수, 지인, 인터넷자료, 기능대회문제 등 자료를 최대한 찾거나 구해서 직접 프로그램을 코딩해보는 게 중요하다. 선반기능사와 밀링의 경우 그냥 약간 치수가 다르고 시험문제는 항상 같지만 생산자동화산업기사는 거의 항상 문제가 다르게 나오기 때문이다. 그러니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유리하다.
  • CAD 작업형 : 배점이 낮고 난이도가 쉽다고 방심하면 안된다.[5] PLC가 만점이어도 CAD 점수가 과락이거나 실격이면 아무 소용이 없다. 다른 기계계열 자격증와 약간 다르기 때문에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보자. 자세한건 일반기계기사 참조.

3. 취득 후 실무


자동화 현장설비의 PLC 프로그램을 셋업(SETUP) 및 유지보수쪽으로 진출하는 편이다.
만약 설비가 정지하는 날은 기계와 단둘이(?) 하루종일 같이 있다가 고치고 나오면 아침해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는걸 보면 하얀봉투를 쓰고 싶어진다.
[1] 치수만 넣으면 많이 위태롭기에 이왕이면 다 넣는걸 추천한다.[2] 생산자동화기능사와 달리 산업기사에서는 부품을 직접 규격집을 보고 그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규격집에 나와있는 치수와 다르냐 안다르냐가 사실상 점수를 가르는 매우 중요한 관건이다.[3] 기본동작 20점, 응용동작 14점, 부가동작 24점[4] 물론 부가조건은 대표적으로 4개 중 2개만 해도 안정권이다. 하지만 기본동작과 응용동작은 둘 중 하나라도 못하면 그냥 실격이다.[5] 가끔식 어럽게 나오는 경우도 있긴 있다. 17년 3회차 폴리텍 대구캠퍼스 기준으로 PLC는 만점인데 CAD에서 실격되어 7명 중 1명만 붙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