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관악08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관악08번
기점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난곡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신림역)
종점

첫차
05:25
기점

첫차

막차
23:44
막차

배차간격
7분
운수사명
세광운수, 신림운수
인가대수
14대
노선
난곡공영차고지 - 삼성산주공아파트 - 광신고등학교.주공1단지 - 삼성동시장 → 쑥고개입구 → 성지빌딩 → 동부아파트 → 봉림교 → 신림역 → 서림동주민센터.신화단지 → 삼성동시장 → 이후 역순

2. 개요


세광운수, 신림운수에서 공동배차하는 마을버스 노선.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주민마을버스'라는 명칭으로 삼성산 주공아파트 입주 전에는 신림역과 광신중고등학교를 오가던 노선이었다.
  • 2001년 삼성산 주공아파트 입주로 3단지 정문까지 연장되었다.
  • 2008년 난곡으로 연장되었였고, 서울 버스 5522의 수요를 분담하는 보조 노선 역할을 맡게 되었다.
  • 2012년 신림역 4번출구 앞까지 연장되어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4. 특징


  • 현재 관악구에서 제일 긴 마을버스 노선이며, 순환버스급의 노선으로 보면된다. 1회 운행시간은 50분~90분 사이지만 삼성동시장에서 헬게이트가 열리지 않는 이상 보통 한시간 정도 걸린다. 특히 주의 할 점은 삼성동시장↔삼성산 주공 정문 코스의 경우 길이 매우 험하고, 삼성동시장 길의 생계형 불법주차들땜에 승객 자신의 주의가 요구된다.
  • 유완약국↔광신고교,주공 1단지 코스는 길이 매우 좁아(실질적으로 1차선에 가깝다. 특히 유완약국 앞) 기사들이 무전을 통해 서로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운전석 주변에 있으면 무전을 들을 수 있다.
  • 삼성동 시장길을 정면으로 지나가다 보니, 시장 점포에 납품하는 트럭들과, 시장에서 우회전해서 신림로로 나가자마자 거의 바로 앞이 미림여고입구 삼거리라서 신림역 방향으로 유턴해야 하는 코스 때문에 여기서 시간지체가 생각보다 있다.
  • 사실상 현대아파트 셔틀버스고 왕복 모두 삼모빌딩-서원로-문성로를 거치는 05번과는 달리, 신림역에서 남하하는 복편은 삼모빌딩으로 들어가지 않고, 미림여고삼거리 좀 못 가서 삼성동시장 이면도로로 들어갈 때까지 신림로로 다니기 때문에, 외지에서 미림여고삼거리 이북의 큰길가로 갈 때는 4번출구 코앞에서 탈 수 있고 배차간격도 괜찮은 이게 가장 낫다. 3번출구 쪽의 수많은 버스가 서는 정류장은 150m 정도 걸어야 된다. (조금 먼저 출발한 05번을, 05번이 삼모타워-동부아파트 쪽으로 도는 동안 추월해버리는 경우도 많다. 즉 대중교통으로 신림현대아파트에 가장 빨리 가기 위한 방법은 05번을 처음부터 순순히 타는 게 아니라, 08번으로 따라잡고서 서원동문화교나 서림동주민센터신화단지에서 05번으로 갈아타는 것일 수 있고 단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신림순대타운 블럭을 끼고 시계방향으로 회차해야 하기 때문에 삼모타워와 신원시장 쪽으로 돌 수밖에 없어서 문화교 삼거리에서 직진할 수 없고 좌회전한다.
  • 관악05번, 관악10번과 함께 신림역의 남쪽지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어 삼모타워를 끼고 회차하면서 4번출입구 바로 앞(21916)을 정류장으로 삼는 공통점이 있다. 사거리에서 떨어져 있는 일반(지선/간선)버스용 정류장보다 사거리에 훨씬 가까이 있고, 노선이 3개나 되는 데다가 그 모두가 배차간격도 4~7분으로 짧기 때문에 버스가 거의 끊이지 않고 존재한다고 봐도 무방해서, 신림역 사거리의 정체에 꽤 기여를 한다. 더 놀라운 점은 7분이라는 준수한 배차간격의 이 노선이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는 세 노선 중 가장 배차간격이 긴 노선이라는 점이다(...). 여러모로 신림사거리 근교 남부순환로 이용자만 고통.
  • 겨울철, 눈이 많이 와서 길이 미끄러울 때는 안전을 위해 차고지에서 유완약국 앞까지 공차회송을 해서 운행하기도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관악08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2,170명
-
2014년
11,587명
▽ 583
2015년
11,474명
▽ 113
2016년
10,723명
▽ 751
2017년
10,399명
▽ 324
2018년
10,191명
▽ 208
2019년
10,632명
△ 441
2020년
8,257명
▽ 2,375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