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나이트/무기/합체 무기
1. 개요
2. 돌격 소총 엘리트 시리즈(Assault Rifle Elite)
3. 스노우폭스 로즈골드(Snow Fox Rose Gold)
4. 레인보우 개틀링(Rainbow Gatling)
5. 샐러맨더(Salamander)
6. 별의 활(Star Bow)
7. 레이저 검 골드(Laser Sword Gold)
8. 번개검(Thunder Sword)
9. 다시 벼린 성검(Reforged Sacred Sword)
10. 양자 수리검(Quantum Ninja Stars)
11. 제우스의 번개(Zeus Thunderbolt)
12. 스파이크 나이프 독수리 시리즈(Spike Knives Eagle)
13. 천상의 주먹(Fist of Heaven)
14. 위핑 이글(Weeping Eagle)
15. 차차차차세대 SMG(Next-next-next-next-gen SMG)
16. 더블 테라피(Double Therapy)
1. 개요
여러 개의 무기를 합쳐 만든 무기, 2.2.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1]
합성은 던전에서만 가능하다.[2] 조합 무기가 모두 갖춰진 상태에서 조합 재료가 될 무기 하나가 땅에 떨어져 있으면 무기를 주울 때 회오리 모양 버튼이 생기는데 이걸 클릭하면 무기가 조합이 된다. 조합을 위해 스테이지 리셋, 여분의 무기 특성찍고 같은 카테고리의 무기를 얻고 단련의 용광로에서 돌리기, 클라우드 저장 후 조합, 실패하면 백업 후 다시 도전 등 운 없으면 조합하기 위해 별 짓을 다하게 된다. 게다가 8번 만들어 먹어도 작업대에 뜨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자주는 못 볼 것이다.
위는 상점, 가챠, 용광로, 제작으로 얻을 수 있는 무기를 서술하였고 이 무기들은 각 무기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
아래는 상점, 가챠, 용광로, 제작으로 얻을 수 없는 합체 무기를 서술한다.
2. 돌격 소총 엘리트 시리즈(Assault Rifle Elite)
[image]
돌격 소총 pro와 조합하는 무기에 따라 탄환의 속성이 달라진다.
판사는 기절, 중재인은 감전, 파괴광선은 중독, 아이스 브레이커는 빙결이다.
하지만 달콤한 말에 버금가는 효율 때문에 가우스 코일을 붙여야 쓸만해진다.
정밀 기관총에 도색을 한 듯한 외형이다.
3. 스노우폭스 로즈골드(Snow Fox Rose Gold)
[image]
원래는 1발을 3연속으로 발사하는 12 데미지짜리 그럭저럭한 무기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산탄 특화에 있다. 벚꽃 산탄총의 특징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찍었다면 '''연속 3발을 3줄기로 발사하면서 5 에너지를 먹는 미친 무기가 된다.'''[6]
만일 기사나 광전사라면 최종 보스를 수 초 안에 녹여버릴 수 있다.
오피서 또한 기본 특성으로 콤보 피트가 있고 단일 폭딜에 특화된 2스킬의 존재 덕분에 앞의 두 캐릭터에게 꿀리지 않는 성능을 자랑한다.
비용이 만만치 않은 낡은 스노우 폭스가 재료인 만큼 쓸만하다.
요약하자면 풀특성 시 5 에너지 '''48 데미지''', 광전사 조각상이나 탄약 주머니 추가 시 5 에너지 '''128 데미지'''.
합성 재료인 벚꽃 산탄총에 밀리는 것 아니냐는 평가가 있는데 벚꽃 산탄총은 1차 잡몹 처리속도가 느리지만 잔류 탄환으로 다음 웨이브를 빠르게 넘길 수 있고, 로즈골드는 꾸준한 공격으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벚꽃 산탄총은 광전사 2스킬이 데미지가 좋은 것 뿐이라 캐릭빨을 많이 타고, 로즈골드는 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차이점이 있다. 결국 서로 일장일단이 있는 셈.
4. 레인보우 개틀링(Rainbow Gatling)
[image]
산탄 수 증가 특성의 영향을 미친듯이 받으며 무지개의 탄환이 개틀링에서 나온다.
보라색 등급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강력한 성능을 뽑아낸다고 평가된다.[7]
장점이 어마무시하게 많은 무기이기도 하다.
- 다양한 원소
- 빙결 원소탄: 아이스 스파이크와 번개검을 뛰어넘는 미친 성능으로 적을 빙결시킨다. 빙결 원소탄은 하늘색, 남색이다.
- 화염 원소탄: 화염의 데미지가 DPS를 늘려주며 중첩되어 2,3,5,8까지 중첩도 가능하다. 화염 원소탄은 붉은색 하나다.
- 독 원소탄: 중독이 화염보다 중첩이 잘되어 폭딜을 넣는다. 독 원소탄은 녹색, 보라색이다.
- 기원의 장이나 보스전에서 최강의 무기이다.[8]
- 적용되는 특성이 많음
치명타 시 탄환 관통, 벽 반사, 집탄율/치명타율 증가, 산탄 수 증가, 원소무기 치명타 2배, 독 면역&강화, 화염 면역&강화까지 수많은 특성이 적용되며 필요 특성이 많아야 제 구실을 하는 번개검과는 다르게 산탄 수 증가 특성 하나로 다 씹어먹을 수 있다.
- 가장 높은 DPS
모든 무기를 통틀어 가장 높은 DPS 덕분에 보스 러시 1티어급 무기다.[9]
번개검을 능가하는 칠흑의 검이 추가되며 레인보우 개틀링의 입지가 조금 줄은 듯 했지만 데미지와 공격속도를 비교하면 칠흑의 검은 명함도 못 내미는 수준이다.
풀특성+광전사 조각상 데미지는 200 이상의 DPS, 기사 스킬 사용 시 초당 400 이상의 데미지로 웬만한 몬스터는 저항도 못하고 죽는다.
암살자&트럼펫 조합으로 이런 것도 할 수 있다!번개검을 능가하는 칠흑의 검이 추가되며 레인보우 개틀링의 입지가 조금 줄은 듯 했지만 데미지와 공격속도를 비교하면 칠흑의 검은 명함도 못 내미는 수준이다.
풀특성+광전사 조각상 데미지는 200 이상의 DPS, 기사 스킬 사용 시 초당 400 이상의 데미지로 웬만한 몬스터는 저항도 못하고 죽는다.
[image]
이것이 보스 러시라는 것을 감안해도 이렇게 된다.
하지만 이하 단점으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 최강인 만큼 재료를 독식한다.
- 낮은 집탄율
아쉽게도 시작부터 풀도핑으로 공격할 수 없는 무기다.
쏘면서 들어가거나 붙어서 쏴야하는데 쏘면서 들어가면 아래의 단점이 발목을 잡는다.
쏘면서 들어가거나 붙어서 쏴야하는데 쏘면서 들어가면 아래의 단점이 발목을 잡는다.
- 강한 플레이어 감속
개틀링 시리즈인 만큼 개틀링의 감속을 이어받는다.
이 두 단점은 서로 상호작용한다.
여담으로 고급 튜토리얼에서 합체 무기의 예시로 사용되는 무기이다.이 두 단점은 서로 상호작용한다.
5. 샐러맨더(Salamander)
[image]
4에너지 4대미지에 총 본체는 일반 탄환, 플로팅 건은 독성 탄환을 발사한다.
특성으로는 원소탄, 산탄 수 증가[12] , 집탄율 증가 등을 들어주면 좋다. 에너지 관리만 잘 된다면[13]
방 청소용으로 좋고 엘리트 몬스터를 거의 원콤을 낼 수 있으며 보스에서는 탄환으로 밀어붙이기 때문에 상당히 좋다.
6. 별의 활(Star Bow)
[image]
발사 시 벽을 관통하는 별이 나가며, 별이 나간 뒤 피격된 적의 수만큼 적들에게 유성이 떨어진다.
이 유성이 상당히 범위도 넓직하고 데미지도 강한 데다 설령 화살이 맞지 않더라도 진행 방향에 적만 있다면 유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 발에 5씩 소모하는 에너지만 감당할 수 있다면 잡몹전, 보스전 가리지 않는 유용한 종결무기.
적들이 많아지는 챌린지에 하드 모드를 하고 난사하면 일반 모드보다 쉬워진다.
7. 레이저 검 골드(Laser Sword Gold)
[image]
[image]
금빛 광선검 3개를 붙여놓은 모양이다. 탄막 제거 근접무기 중 최고봉으로 모든 방향에 근접판정이라 이게 방패인지 검인지 헷갈리게 만드는 미친 성능을 보여준다. 물론 데미지와 공속 덕에 데미지도 수준급이다. 다만 지나치게 붙어서 공격하면 탄막을 막지 못한다. 안쪽에는 공격 판정이 없는 듯 하다.
기사의 맹렬한 불길은 합치지 않고 빨강, 파랑, 초록 광선검을 따로 들고 다니는 것이 부착물을 다 붙일 수 있어서 이득이라는 평가가 있다.
도면이 있다가 삭제되었다. 이젠 도면없이 합체할 수 있으며, 도면을 만든 유저에게는 도면과 함께 소모된 1000젬을 반환해 주었다.
8. 번개검(Thunder Sword)
[image]
[image]
사용하면 번개가 사방으로 나간다. 치명타 시 적이 기절에 걸린다.
게다가 재료 무기가 준수한 성능인 화염검과 얼음검이라 조합할 겸 주무기로 들고 다녀도 손색이 없다.
성능은 단연 게임 내 최강의 무기 중 하나. 치명타 시 적을 기절시키고 근접무기라서 탄막 제거에 번개 전탄 히트가 매우 쉬운것도 강점.
도움되는 특성은 레이저 강화, 벽 반사, 산탄 수 증가이다.
자체 성능도 좋은데 성능 효과도 받으면 보스 단일 딜링은 물론 필드 정리도 번개검 하나로 다해먹는다. 아래는 그 예.
[image]
좋은 무기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 버프가 많이 필요하다.[15]
- 6 에너지에 비해 데미지가 조금 약한 편이다.[16]
- 3타의 필살기에 의존한다. [17]
- 번개가 시야를 아예 가려버릴 수도 있다. 위의 이미지만 봐도 번개가 시야를 가려서 한 대 맞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
여담으로 번개검(lighting sword)이 아니라 천둥검(thunder sword)이다.
하지만 한글버전에는 번개검이라고 뜨는데, 번역기 사용 도중 발번역이 생긴 것으로 추정.
9. 다시 벼린 성검(Reforged Sacred Sword)
[image]
1타와 2타는 평범한 베기이지만, 세번째 공격에는 하늘에서 거대한 검을 소환하여 대상을 시작으로 거대한 검이 총 3번 내려찍으며 앞으로 나간다. 거대한 검은 적이 있는 위치로 소환되지만, 빠르게 이동하는 적은 피하는 경우도 있다.
거대한 검은 강력한 충격파를 일으키는데, 일정 확률로 적을 기절시키고 3개의 검이 떨어진다. 근접 충격파 계열의 무기가 그렇듯이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이 적용되고 무려 산탄 수 증가, 레이저 특성도 적용된다. 콤보 피트 특성을 받으면 검이 4개 떨어진다.
초기에는 3타마다 검이 기본적으로 1개만 떨어졌지만 그때도 조금 아쉬울 뿐 꽤나 사기라는 평을 받고 있었다.
레이저 특성을 제외한 모든 특성을 든 상태에서도 강력하다. 괜히 신분 세탁하여 합체 무기 최고 혜자템이 된게 아니다.
암살자&트럼펫 조합으로 이런 것도 할 수 있다!
[image]
6-5의 경우 난이도가 매우 높은 편임에도 싹 쓸어버리는 성능을 가졌다.
모티브는 안두릴인듯.
10. 양자 수리검(Quantum Ninja Stars)
[image]
공격하면 표창이 매우 빠르게 나간다. 또한 벽을 관통한다.
벽 반사 특성을 받으면 벽 관통이 사라지지만 벽에 박는 순간 적에게 튕겨 날아간다.
치명타 시 감전을 건다. 그렇지만 전기 닌자 별보다 약해서 의미가 있나 싶다.
11. 제우스의 번개(Zeus Thunderbolt)
[image]
번개의 외형을 가진 투척 형식의 무기이다.
그냥 사용하면 그저 감전을 거는 투창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만, 진가는 특이사항에 있다.
번개를 두 번 던지면 2초 후 20 정도의 데미지를 주며 폭발하는 능력이 있으며, 4번 던지면 즉시 폭발한다. 기본 데미지는 6 이라서 약간 부족한 면이 있지만, 폭발하는 능력 덕분에 그나마 보스전에서 괜찮은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다.
무조건 4번 던져야 폭발이 발동되기 때문에 기사의 1스킬을 써서 2번 공격해도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다. 때문에 양자 수리검처럼 조합 전 무기를 쓰는게 더 나을 정도...
12. 스파이크 나이프 독수리 시리즈(Spike Knives Eagle)
[image]
스파이크 나이프보다 데미지가 1만큼 더 세고 더 적게 에너지를 소모한다. 그 대신 나가는 탄 수가 좀 줄었다.
조합하는 무기에 따라 속성이 달라진다. 치명타율은 그대로라서 빙결과의 효율이 좋다.
빙결 나이프는 25 치명타율의 얼음 스파이크를 44 치명타율로 능가하고 데미지는 3으로 더 낮다.
중독 나이프는 탄 수가 줄고 마나소모가 줄고 외형만 바뀐게 끝이다. 스파이크 나이프 자체도 독 속성을 가졌기 때문.
13. 천상의 주먹(Fist of Heaven)
[image]
잡몹 처리, 폭딜 무엇 하나 빠지는 것 없는 종결무기.천상의펀치![22]
-지하실
반사탄 계열 무기의 최종형태로 그냥 쏘면 그낭 반사가 되는 좁쌀만한(...) 탄이 나오지만 풀차징 시 관통 속성을 기본적으로 보유한 거대한 반사탄이 쏟아지는 레일건.
2.7.0 패치 후 샷건 무기에 가우스 코일이 달리는데 이건 레일건이라서 탄속이 빨라진다. 그런데 이게 체감상으로는 너무 심하다.
레인보우 개틀링과 천상의 주먹의 성능이 너무 좋은 탓에 파란색 등급은 +4에서 +2로, 보라색 등급은 +6에서 +3으로 하향되었다.
또 다른 데미지 증가 부속물로는 에너지 수집기가 있다.
간혹 레일건으로 취급되어 벽 끝까지 보스를 밀어내 '''원샷원킬'''을 내는 경우가 있다!
단 레일건임에도 레이저 폭 증가 특성을 받지 않는다.
기원의 장에서 위치만 잘 잡으면 느리게 사선으로 내려가다 그게 또 튕겨서 위로 올라가고 반복하다 적이 들어오면 위로 갔다 아래로 갔다 반복하며 무한히 데미지를 준다. 단 넉백이 안되는 보스는 제외.
14. 위핑 이글(Weeping Eagle)
[image]
[image]
발사 시 작은 하트 모양의 투사체를 발사하며 벽이나 적에 닿으면 분열탄처럼 하트 모양으로 작은 탄환이 퍼지고 몇초 뒤 사라진다.
로비 상자에서 사막 독수리를 얻고 벚꽃 산탄총을 조합해서 가면 던전에서 빠르게 조합할 수 있다.
에너지에 비해 딜이 '''낮은 편'''이고 투사체 속도가 느려서 빗나가면 에너지 낭비가 심해지니 사용 시 주의할 것.
데미지가 1이라는 단점은 공격속도 100%, 공격력 50% 챌린지가 있으면 공격력 50%를 무시하고 공속만 빨라져서 좋아진다.
벛꽃 산탄총은 탄환 진행 경로에 꽃잎을 뿌리지만 위핑 이글은 착탄 시 어마무시한 양의 분열탄을 흩뿌리므로 하드 모드에서 쓸만하다.
15. 차차차차세대 SMG(Next-next-next-next-gen SMG)
[image]
레이저를 쏘는 기관총. 위력은 아주 뛰어나고 레이저 무기로 바뀌어 무한관통이 된다.
단, 에너지 소모가 무려 5 이므로 주의할 것.레이저로 변하기 때문에 레이저 특성이 적용된다. 잡몹잡기에 좋은 무기.
그런데 이 무기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몇 가지 있다. 차차차세대 SMG는 탄퍼짐이 보정되었으나 이 무기는 탄퍼짐이 8 이라서 레이저가 여기저기로 튄다. 또한, 차차차세대 SMG는 4 콤보에 4 에너지인데 차차차차세대 SMG는 3 콤보에 5 에너지다.[23]
게다가, 튕길 때 차차차세대 SMG는 4번 튕기는데 이 무기는 1번만 튕긴다. 화력도 등급, 에너지 소비에 비해 높은 편이 아니다.
결론은 풀특성 시에도 차차차세대 SMG의 데미지 성능을 능가하지 못하는 무기가 된다.[24]
게다가 적용되는 특성이 워낙 많아서 번개검만큼이나 비싼 무기이다.
16. 더블 테라피(Double Therapy)
[image]
레이저 테라피와 공격력이 같으나 치명타율이 50으로 상당히 높고 암살자 조각상처럼 감전을 일으키는 나이프가 5개 날라간다.
1초 정도 누르고 떼야 나가는데, 나이프가 준비되면 무기에 붉은 이펙트가 생긴다.
워낙 딜이 박히는 속도가 빠르고, 대거에 감전이 붙어 있기에 순식간에 도트딜+감전딜이 들어가는 게 보인다.
풀특성 시 기사가 쓰면 잡몹방이 30초 이내로 클리어된다. 다만 보스전은 매우 취약하니 보조 무기를 폭딜 쪽으로 들것.[25]
생김새와 달리 잡몹이 많아지거나 강해지는 모든 챌린지에서도 성능은 매우 좋다.
일반 모드에서는 강하지만 하드 모드에서는 데미지가 그리 잘 박히지 않는다.
광전사의 스킬 '프리스타일'을 사용하면 버그가 걸린다.
[1] 2.2.0 이전 무기가 합성으로 조합 가능해진 경우는 기존 무기에 적는다.[2] 그러니까 로비에서 템 3개 뽑아놓는 자원 낭비는 하지 말자.[3] DPS는 같은데 에너지가 달게 만드는 조합식.[4] 기관단총 M1 2개를 합치면 기관단총 M2가 되지 않으며, 기관단총 M2 2개를 합쳐도 기관단총 M3가 되지 않는것으로 보아 기관단총 M2는 소외된 듯 하다.[5] 레이저 폭 증가 및 벽 반사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6] 부속물 '탄약 주머니'를 장착하면 한 줄이 더 늘어난다. [image][7] 합체 전 개틀링과 무지개도 보라색 등급이다. 스노우폭스 로즈골드의 벚꽃 산탄총마저도 등급이 오르지만 합체 무기 중 유일하게 등급이 오르지 않는다.[8] 기원의 장에서 임플로전이나 폭발하는 망치 같은 무기는 잡몹처리는 매우 좋으나 보스전이 애매하다. 기원의 장은 홀로그램 포탑과 차단벽이 없으면 100 이상 가는 것이 어려우므로 홀로그램 포탑에 어떤 무기라도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한 방 한 방을 잘쏘는 홀로그램 포탑에는 연사가 빠른 무기들은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들고 쏘는 무기로 잘 어울리는 무기.[9] (실제 풀특성+광전사 조각상 측정 결과 하드 모드 바콜린 지도자를 3초 안에 죽였다. 번개검은 풀특성+광전사 조각상 측정 결과 바콜린 지도자 엘리트 보스를 죽이는데 4초가 넘게 걸렸다.) 거기에 화상, 빙결, 중독 등의 효과도 추가된다는 걸 생각하자.[10] 표기 상으로는 부표 포는 플로팅 건이 맞다. 위성 부양 총의 경우 위성 플로팅 건으로 해석된다.[11] 조금 다른 점이라면 이 위성은 직접 적을 따라가서 공격하지 않으며, 플레이어 옆에 붙어서 다닌다. 또한 무기를 바꾸면 사라진다.[12] 특이한 게 플로팅 건도 산탄 수 증가 특성의 영향을 받아서 해당 특성을 가진 경우 플로팅 건이 탄환을 두 갈래에서 조금 더 많이 발사한다.[13] 자신이 없다면 적 처치 시 에너지 회복 특성도 좋다.[14] 번개 1틱당 치명타율과는 별개로 100% 기절한다. 에너지가 없어도 발동된다. N명의 적을 타격했을 때 N개의 번개를 소환한다.[15] 레이저, 근접무기 탄 튕김, 원소탄, 근접무기 범위 증가, 벽 반사, 산탄 수 증가, 집탄율/치명타 확률 증가를 다 받아야 사기가 된다.[16] 한 번 내리치면 엘리트 몹까지 쓸려나가는 천둥벼락 전투망치에 비하면 매우 약하다. 그래도 연사는 빨라서 DPS만큼은 따라올 수는 있다. 그만큼 에너지 소모가 심하다.[17] 의미가 없어보이지만 번개검은 1타 내려찍기 2타 어퍼컷까지 일반적인 검과 비슷하다. 그리고 다시 벼린 성검과 그랜드 나이트의 검처럼 3타가 있다. 하지만 앞의 두 검처럼 찌르는게 아니라 360°전방위 공격을 한다. 이 공격은 벽 반사 특성과 조합이 좋다. 하지만 1,2타가 0.5초 간격이라 1초의 딜레이가 생긴다. 그 전까지는 뒤에서 오는 공격에 취약하다. 3타가 번개검의 진정한 가치라 무기 공격력 +100% & 공격속도 -50% 챌린지가 나오면 그만큼 플레이가 힘들 수 있다.[18] 이 사진을 보면 거의 화면의 전체를 가리고 있다. [image][19] 예전에는 번개 하나당 딜도 좋았지만 이젠 웨버 취급이다(...) 레이저 폭 증가 버프 발동 시 하나당 피해는 2.[20] 다만 벼락치기 피해는 그대로다.[21] 단 1번만 튕기고 사라진다.[22] 영문으로는 대문자로만, 띄어쓰기 없이 딱딱하게 서술되었다.[23] 이 무기에 적용되는 특성이 없으면 사실상 데미지가 더 낮아지고 에너지 소모량은 증가하는 계륵 같은 조합식이다.[24] 레폭증 특성은 레이저 당 데미지를 1 늘린다. 그러므로 데미지를 12 데미지, 콤보 피트 특성 적용 시 18 데미지까지 늘린다.(차차차세대 SMG는 16 데미지, 콤보 피트 적용 시 '''20 데미지''')[25] 어떤 고수들은 산탄되는 대거를 근접 폭딜을 일으켜 깨기도 한다. 하지만 산탄 특성 받은 대거도 데미지가 보스 앞에서 그리 강하지는 않으니 보조 무기를 보스전에 좋은 것으로 드는게 더 편하다.[26] [image] 산탄 수 증가를 받아야 발사가 된다. 중앙으로 발사되면 그나마 쓸만하겠지만 45도 아래쪽 각도로 내려간다. [27]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