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流星 / Shooting star
1. 개요
[image]
지구의 대기권으로 진입하여 밝은 빛을 내면서 떨어지는 천체를 말한다. 별똥별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별똥이라고도 한다. 크기가 커서 지표면까지 모두 타지 않고 도달하면 운석이 된다.
2. 특징
2.1. 빛
각종 매체에서는 빛줄기가 밤하늘을 가를 정도로 길고 분명하게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어지간히 큰 놈이 아니면 대부분은 작달막한 빛줄기가 아주 잠깐 나타났다 곧바로 사라지는 정도다. 이러니 보통 도시에서는 야간에도 켜놓는 조명 때문에 보기가 힘들다.
특별히 날 잡고 천문대나 기타 행사 등지에서 유성을 보려하지 않는 한, 생애 처음 보기 쉬운 곳은 군대다. 물론 군부대 입지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군부대가 시 외곽, 오지 등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군대에서 처음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1] 하지만 군부대에서도 그렇게 보기 쉬운 편은 아니다. 대기 오염 때문에 한바탕 소나기나 장마 이후에 구름없는 한밤중 아니면 어마어마하게 추운 구름없는 한겨울밤에나 보는 정도. 물론 타이밍 맞춰 유성이 떨어진다는 보장에 한해서다.
보통은 유성이 '''대기권과의 마찰'''로 빛을 낸다고 생각하는데, 정확히는 천체 자체가 아니라 천체가 지나가는 대기가 빛을 내는 것이다. 만일 낙하하는 천체가 빛을 낸다면 그 천체가 포함한 원소의 고유 스펙트럼이 나오겠지만[2] 대기가 에너지를 받고 빛을 내는 거라 유성은 항상 청남색~보라색으로 관측된다.
가까운 곳에서 관측할 경우에는 엄청난 빛과 엄청난 굉음을 내기도 한다. 실제 호주에서 낮에 촬영된 근거리 유성 관측 영상(2016) 이 영상의 주인이 'Meteor Strike'라고 표현했을 정도이다.
보통의 유성보다 더 밝은 것을 가리켜 화구(Fireball)라 하며, 1972년 8월 10일 미국에서 관측된 '''1972년 대낮 대화구(1972 Great Daylight Fireball)'''는 대낮에 100초 동안 빛났고 금성보다 더 밝을 정도였다고 한다. 화구의 모체인 유성체의 지름이 80미터를 넘어가면 대기 중에서 다 타지 않고 일부가 지구에 추락하는데 이것이 운석이다.
2.2. 열
매체에서는 흔히 별똥별이 활활 불타는 돌덩어리나 그와 비슷하게 매우 뜨거운 물체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대기와의 마찰열 등으로), 실제로 별똥별이 지면에 떨어진 직후 그것을 주워본 사람이 많지 않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차가운 경우도 있고 대개는 미지근한 정도라고 한다. 대기와의 마찰로 표면이 불타 벗겨지는 과정에서 내부의 열을 많이 빼앗기기 때문이라고.
3. 유성우
여러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면 그 모습이 비 같다고 유성우[3] 라고 한다.
어쩌다가 혜성이 지나간 길에 남은 찌꺼기들이 둥둥 떠있는 곳(유성군)이 지구의 궤도와 겹치는 때가 있다. 그 결과 찌꺼기들이 지구의 중력에 의해 단체로 끌려들어오면 그게 유성우가 된다. 주로 무더기로 떨어진다.
4. 전설
4.1. 소원 빌기
유성이 빛나는 동안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전설도 있다.이 관습은 굉장히 오래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서기 2세기의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기록에서부터 언급되었다. 그리스 신화의 신들이 지상을 관찰하기 위해 또는 궁금해서, 지루해서 별을 지상으로 보내는 것이니 이 때 소원을 빌면 신들이 들어줄 거라고 당시 사람들이 믿었다고 한다. 별똥별이 매우 짧은 시간동안 보이므로 그 짧은 시간에서도 자신의 소원을 간직할 정도로 마음에 두고 있으면 이루어진다는 해석이 있다.
일본에도 이와 같은 관습이 있어서, 동물의 숲에서는 별똥별이 떨어지는 밤[4] 에 손에 아무것도 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A키를 누르면 소원을 비는 모션이 가능하다. 게다가 별님에게 소원을 빌면 별님이 아이템[5] 을 선물로 보내준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는 주로 맑은 날에 별똥별이 떨어지며, 별똥별이 떨어지는 빈도가 늘었고, 별님의 선물 대신 다음날 해변을 돌아다니다 보면 별의 조각이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2. 사람의 운명
사람마다 저마다의 별이 있다고 여겼던 시절에는 누군가가 죽었을 때 유성이 떨어진다고 믿었다. 안데르센 동화인 성냥팔이 소녀에서도 소녀가 별똥별을 보고 "별똥별이 떨어지면 누가 죽은 거라던데..."라며 복선을 깔아준다. 삼국지연의에서도 제갈량이 자신의 수명을 조금이라도 더 늘려보려고 하늘에 기도를 올리지만 그 시간에 사마의는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봤다. 역시 곧 제갈량이 죽는다는 복선.
다만 한국사에는 떨어진 이것을 다시 하늘로 올린 사람(정확히는 연출)도 있고, 오히려 이게 떨어지자 태어났다는 사람도 있다.
여기서 비롯된 관용구 중 '큰 별이 지다.'라는 표현이 있다.
4.3. 기타
박수동 화백의 "땅콩찐콩" 만화에서는 별똥별을 먹으면 천하장사가 된다는 색다른 전설이 등장한 바 있다. "별똥 탐험대"에서도 일부 등장한다고도 한다.
5. 여담
U-2 같은 초고고도 비행기의 조종사들은 자신의 옆으로 별똥별이 떨어지는 소름끼치도록 황홀한 광경을 목도할 수도 있다. 그렇게 우주의 로망을 품은 이들은 우주 비행사로 지원하고 이후 우주 정거장에서 별똥별을 목격하기도 한다.
일본 매체 중에서는 流星라고 쓰고 나가세라고 읽는 경우가 간혹 있다. 나가세(KOF), 나가세(머신로보 크로노스의 대역습) 등.
[1] 비슷한 이유로 은하수도 대체로 군대에서 보기 쉽다.[2] 폭죽의 색깔을 금속으로 내는 거랑 같은 원리.[3] 유성에 우(雨)를 추가했다.[4] 주로 오후 7~9시에 자주 목격된다.[5] 비싼 아이템이 아닐 때도 있다. 그리고 여러번 빌어도 선물은 딱 한번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