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스(스포츠)

 




1. 태권도


[image]
[image]
[image]
[image]
WTITF를 막론하고 큰 차이는 없다. 룰 차이에서 오는 차이인 주먹을 쥐나 안 쥐냐의 차이일 뿐 사실 큰 틀 안에서는 같다.
태권도 스탠스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양 선수의 스탠스가 항상 반대라는 것이 있다. 홍측 선수가 오소독스일 땐 청측 선수가 사우스포, 혹은 그 반대라는 것.
태권도는 기본적으로 안면펀치를 선호하는 편이 아니고 발기술을 선호하기 때문에 기본 스탠스도 킥을 하기 편하게 되어 있고, 가드 또한 높이 올리지도, 몸에 가깝게 붙이지도 않아서 안면펀치보단 복부펀치, 발기술을 방어하기 좋게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체가 옆을 보긴 하지만 어느 정도는 앞을 보고 서는 (즉 45° 각도로 서는) 쇼토칸 가라테와는 달리 태권도는 거의 완벽하게 상체가 옆을 보고 선다. 이는 좀더 다양한 발차기기술을 구사하기 쉽게 만들어 준다.
일반적으로 태권도 파이터들이 가장 많이 쓰는 가드는 앞손을 길게 아래로 뻗고 뒷손은 그냥 복싱의 크로스암 가드처럼 막는 자세이다. 확실히 안면가드보다는 발차기를 막는 것에 치중된 가드이다.
발 자세의 경우 상체 따라 말 그대로 옆을 보고 어깨너비로 벌린 자세이지만 뒷발 뒷꿈치를 살짝 드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뒷발쪽 무릎도 상체가 앞으로 쏠리지 않게 살짝 굽혀줘야 한다) 무게중심이 극단적으로 위로 가 있는 자세인데, 이런 발 디딤은 상대와 거리를 벌리거나 뒤돌려차기, 뒤차기 등 제자리를 도는 동작을 매우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자세이다. 실제로 이 자세를 취해 보면 몸이 매우 가벼워졌다고 느껴질 것이다.
여기까지 읽어보면 알겠지만, 태권도의 스탠스는 철저하게 원거리전에 치중되어 있다. 상대와 거리를 두며 치고 빠지는 킥싸움에선 우위를 점하지만 상대에게 근접전을 허용하는 순간 취약점을 노출하게 되어 있는 구조이며, 별개로 복싱을 수련하여 보완해 나가야 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스탠스는 ITF의 스탠스이지만 WT의 스탠스도 주먹을 쥐지만 않았을 뿐 근본원리 자체는 같으며, WT 계열 격투기선수들도 종합격투기 대회에선 자동적으로 주먹을 쥐게 되므로 상술한 스탠스와 매우 흡사하게 변한다.
이 스탠스로 싸우는 파이터로는 벤 헨더슨이 있다.

2. 쇼토칸 가라테


[image]
쇼토칸 가라테는 무술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스탠스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쇼토칸의 정권지르기에 대한 집착은 굉장해서, 이 스탠스 자체가 오직 정권지르기 한 기술만을 위해 만들어진 스탠스라 보아도 무방하다.
상술했듯 쇼토칸은 상체가 아예 옆을 보는 태권도와는 달리 45° 정도 비스듬히 틀어서 앞을 본다. 그뿐만 아니라 다리를 매우 넓게 벌리며 양쪽 다리 다 굽혀서 무게중심을 낮춘다. 이는 달리 말해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발기술이 한정되어 있음을 뜻한다.
가드의 경우, 앞손은 잽하듯 길게 뻗으며 뒷손은 정권지르기의 준비자세처럼 주먹의 손날 부분이 허리춤에 닿게 한다. 이 세미 정권지르기(?)같은 기묘한 자세는 현대 격투기에서 정권지르기를 써먹기 위해 개발된 자세로, 죽어도 정권지르기를 쓰고야 말겠다는 쇼토칸의 집착이 돋보인다.
이 가드 자세에서 길게 뻗은 앞쪽 팔을 굽히거나 내리는 동작만으로도 얼굴막기, 몸통막기, 아래막기 등등 고전적인 가라테 방어기술로 바로 연결이 된다. 뒤쪽 팔은 상술했듯 정권지르기용이다.
쇼토칸 파이터들은 이 스탠스를 한 상태에서 상대의 주먹기술을 앞손으로 막은 뒤 뒷손으로 정권지르기를 하는 전법을 주로 활용한다. 다리를 넓게 벌리는 이유는 펜싱처럼 치고 빠지기 위함이다.
여기까지 보면 알겠지만 공격보다는 방어에 치중된 스탠스이며 태권도와 마찬가지로 근접전보단 원거리전에 치중된 형태라 역시 근접전에서 취약함을 보인다.
이 스탠스로 싸우는 파이터들은 팬들 사이에서 크게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동양의 무인을 연상케 한다면서 환호하는 의견과 지나치게 수비 위주 전술이라 타격가임에도 경기 자체가 루즈해진다는 혹평이 공존한다.
이 스탠스로 싸우는 파이터는 코너 맥그리거료토 마치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