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너상
1. 개요
[image]
'''Will Eisner Comic Industry Awards'''
'''윌 아이스너 만화산업상'''
아이스너상은 1988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만화상으로, 미국 만화계의 거장인 윌 아이스너의 이름을 따왔다. 미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만화상 중 하나로 만화계의 아카데미상이라 불리기도 한다. 매년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 시상식을 개최한다.[1] 심사 위원은 만화가, 평론가, 만화 소매업자, 사서, 학자 및 코믹콘 조직위원회 위원 등에서 선발된 매년 다른 다섯에서 여섯 명의 인원들로 구성된다.
모든 후보작들은 컨벤션 센터의 Sails Pavilion에 있는 아트쇼에서 전시한다.
2. 역사
아이스너상이 시작되기 이전인 1985년 미국의 출판사 판타그래픽스 북스(Fantagraphics Books)에서 뛰어난 만화와 작가들을 기리기 위해 커비상[2] 을 제정했다. 커비상은 판타그래픽스 북스의 직원이었던 데이브 올브리히(Dave Olbrich)가 관리했는데, 1987년 올브리히가 판타그래픽스 북스를 떠나면서 커비상의 소유권 분쟁이 일어났고 결국 커비상은 폐지되었다.
커비상의 폐지 이후 양측은 새로운 상을 만들었다. 판타그래픽스 북스는 하비상[3] 을, 데이브 올브리히는 '''아이스너상'''을 만들었다. 올브리히는 아이스너상을 운영하기 위한 비영리 단체를 설립했고 1988년 첫 수상이 진행되었다.
1990년 투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수상이 진행되지 않았다. 책임자였던 데이브 올브리히가 내려왔고, 아이스너상은 코믹콘에서 인수했으며 재키 에스트라다(Jackie Estrada)가 새로운 책임자가 되었다.
3. 수상 부문
- 최우수 단편(Best Short Story)
이슈나 단행본 등에 수록된 각각의 단일한 단편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싱글 이슈/원샷(Best Single Issue/One-Shot)
각각의 단일한 이슈#s-5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원샷은 한 이슈로 이야기가 시작하고 끝나는 작품들을 말한다.
- 최우수 온고잉 시리즈(Best Continuing Series)
끝을 정해 놓지 않고 (인기가 있는 한) 계속 연재할 계획으로 시작하는 온고잉 시리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리미티드 시리즈(Best Limited Series)
3~6이슈, 간혹 많게는 12이슈까지 길이를 정해 놓고 연재하는 리미티드 시리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신작 시리즈(Best New Series)
새로이 연제되는 만화 시리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유아용 출판물(Best Publication for Early Readers)
8세 이하의 독자들을 위한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아동용 출판물(Best Publication for Kids)
9살에서 12살 사이의 독자들을 위한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청소년용 출판물(Best Publication for Teens)
13살에서 17살 사이의 독자들을 위한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유머 출판물(Best Humor Publication)
유머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앤솔러지(Best Anthology)
어떤 주제를 정해두고 여러 작가들이 쓴 작품들을 모아놓은 앤솔러지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현실기반 작품(Best Reality-Based Work)
실제로 벌어진 일들을 바탕으로 하는 논픽션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그래픽 앨범(Best Graphic Album)
흔히 그래픽노블이라 불리는 만화 단행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1991년부터는 처음부터 단행본으로 출간되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신간 부문, 이슈 등으로 연제된 내용들을 다시 출간하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간 부문으로 분리되었다.
- 최우수 타 미디어 각색(Best Adaptation from Another Medium)
소설이나 영화 등의 타 미디어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북미판 국제작품(Best U.S. Edition of International Material)
미국 내에 정발된 해외(미국 기준)의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2007년에는 일본 만화 부분이 따로 분리되었고, 2010년에는 일본 만화에서 아시아 만화로 범위가 확장되었다.
- 최우수 아카이브 컬렉션/프로젝트(Best Archival Collection/Project)
과거에 연제된 만화들을 모아서 발간한 단행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신문만화(스트립) 부문과 코믹북 부문이 있다.
- 최우수 작가(Best Writer)
글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작가/아티스트(Best Writer/Artist)
글 작가 겸 그림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미국 만화는 분업 체계가 일반적이지만, 글 그림 모두 한 작가가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유머 부문, 드라마 부문, 논픽션 부문으로 분리했던 적이 있지만 현재는 다시 하나로 통합되었다.
- 최우수 펜슬러/잉커 및 펜슬러/잉커 팀(Best Penciller/Inker or Penciller/Inker Team)
펜슬러, 잉커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펜슬러는 작가에게서 대본이나 콘티를 받으면 그걸 연필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말하고, 잉커는 펜슬러의 그림에 잉크 작업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두 작업을 한 사람이 하는 경우도 많다.
- 최우수 페인터/디지털 아티스트(Best Painter/Digital Artist)
그림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디지털 아티스트는 그림 작업을 디지털로 하는 사람이다.
- 최우수 커버 아티스트(Best Cover Artist)
겉표지(커버)를 그린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컬러리스트(Best Coloring)
컬러리스트(채색 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레터러(Best Lettering)
레터러(글자, 말풍선 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코믹스 관련 간행물/저널(Best Comics-Related Periodical/Journalism)
만화에 대해 다루는 간행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코믹스 관련 도서(Best Comics-Related Book)
만화에 대해 다루는 도서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학술/학문 작품(Best Academic/Scholarly Work)
만화에 대한 연구 작업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출판 디자인(Best Publication Design)
만화책의 디자인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디지털 코믹스(Best Digital Comic)
디지털로 제공되는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일반적인 스타일의 만화를 디지털로 제공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 최우수 웹코믹(Best Webcomic)
웹코믹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