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페르 법칙
1. 개요
'''Ampère's law'''
앙드레 앙페르(André-Marie Ampère;1775~1836)가 발견한 앙페르 법칙은 특정 경로의 자기장과 경로 내부의 알짜 전류의 관계에 대한 법칙이다.
2. 초기 이론
앙페르 법칙은 다음과 같이 수학적으로 나타난다.
$$ \displaystyle \oint_{C} \, \mathbf{B} \cdot d\mathbf{l}=\mu_{0}\int_{S}\, \mathbf{J} \cdot d \mathbf{a}=\mu_{0}I_{\textrm{enc}} $$
즉, 어떤 폐곡선과 수평한 방향의 $$\mathbf{B}$$의 성분은 그 폐곡면 안을 통과하는 전류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식이며, 쉽게 설명하면, '''전류가 자기장을 형성한다'''라는 것이다. 또한,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mathbf{l}=\mu_{0}\int\, \mathbf{J} \cdot d \mathbf{a} $$
$$ \displaystyle \int \, (\boldsymbol{\nabla} \times \mathbf{B}) \cdot d\mathbf{a}=\int\, \mu_{0}\mathbf{J} \cdot d \mathbf{a} $$
$$ \boldsymbol{\nabla} \times \mathbf{B}= \mu_{0}\mathbf{J} $$
2.1. 물질에서의 앙페르 법칙
$$ \displaystyle \int \mathbf{H} \cdot d \mathbf{l}=I_{f} \qquad \qquad \boldsymbol{\nabla} \times \mathbf{H}= \mathbf{J}_{f} $$
2.2. 관련 예제
2.2.1. 무한 원통
축이 $$z$$위에 놓여있고, 반지름이 $$R$$인 원통에 균일하고, $$+\hat{\mathbf{z}}$$방향의 정상 전류 $$I$$가 흐르는 도체를 고려해보자. 원통 좌표계에서 생각했을 때, 자기장은 $$\hat{\boldsymbol{\rho}},\,\hat{\boldsymbol{\phi}},\,\hat{\mathbf{z}}$$방향으로 존재한다. 현재 문제에서는 $$\phi,\,z$$에 대한 대칭성이 있으므로 자기장은 $$\rho$$에만 의존할 것이다. 즉, 구하는 자기장은 아래의 꼴로 주어진다.
$$ \displaystyle \mathbf{B}(\rho)=B_{\rho}(\rho)\hat{\boldsymbol{\rho}}+B_{\phi}(\rho)\hat{\boldsymbol{\phi}}+B_{z}(\rho)\hat{\mathbf{z}} $$
우선 위 그림의 (가)처럼 반지름이 $$\rho$$이고, 높이가 $$L$$인 원기둥인 폐곡면을 잡는다. 자기에 관한 가우스 법칙에 따르면, 폐곡면 표면을 지나가는 총 선속(Flux)은 [math(0)]이 돼야하고, 자기장이 $$\rho$$에만 의존하므로 윗면과 아랫면의 선속은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 \mathbf{a}=B_{\rho}(\rho)\cdot 2\pi RL=0 \,\rightarrow \,B_{\rho}(\rho)=0 $$
또한, (나)처럼 직사각형의 폐곡선을 잡자. 폐곡선 안을 지나가는 전류는 없으므로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mathbf{l}=0 $$
$$ \displaystyle \left[B_{z}(\rho_{1})-B_{z}(\rho_{2}) \right] \cdot L=0 \,\rightarrow \,B_{z}(\rho_{1})=B_{z}(\rho_{2}) $$
[image]
이번엔 위 그림과 같이 반지름 $$\rho\,(\rho>R)$$인 원을 폐곡선으로 잡자. 여기에 통과하는 전류는 $$I_{\textrm{enc}}=I$$이므로 앙페르 법칙을 적용하면,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mathbf{l}=B_{\phi}(\rho) \cdot 2 \pi \rho=\mu_{0}I $$
$$ \displaystyle B_{\phi}(\rho) =\frac{\mu_{0}}{2\pi}\frac{I}{\rho} \,\rightarrow \, \mathbf{B}=\frac{\mu_{0}}{2\pi}\frac{I}{\rho} \hat{\boldsymbol{\phi}}\,\,(\rho>R) $$
$$ \displaystyle I_{\textrm{enc}}=\left ( \frac{I}{\pi R^2} \right ) \left ( \pi \rho^{2} \right )=\frac{\rho^{2}}{R^{2}}I $$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mathbf{l}=B_{\phi}(\rho) \cdot 2 \pi \rho=\mu_{0}\left ( \frac{\rho^{2}}{R^{2}}I \right ) $$
$$ \displaystyle B_{\phi}(\rho) =\frac{\mu_{0}I}{2\pi R^2}\rho \,\rightarrow \, \mathbf{B}=\frac{\mu_{0}I}{2\pi R^2}\rho \hat{\boldsymbol{\phi}}\,\,(\rho<R) $$
$$ \displaystyle \mathbf{B}=\left\{ \begin{array}{l} \displaystyle \frac{\mu_{0}I}{2\pi R^2}\rho \hat{\boldsymbol{\phi}} & \quad (\rho<R)\\ \\ \displaystyle \frac{\mu_{0}}{2\pi}\frac{I}{\rho} \hat{\boldsymbol{\phi}}& \quad (\rho>R)\end{array}\right. $$
2.2.2. 무한 평면
[image]
위 그림과 같이 $$xy$$평면에 놓여있는 아주 넓고, 얇은 전도성 도체판에 표면 전류 밀도 $$\mathbf{K}=K\hat{\mathbf{y}}$$로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구해보자. 위 문제에선 $$x,\,y$$에 대한 대칭성 때문에 자기장은 $$z$$에만 의존하므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displaystyle \mathbf{B}(z)=B_{x}(z)\hat{\mathbf{x}}+B_{y}(z)\hat{\mathbf{y}}+B_{z}(z)\hat{\mathbf{z}} $$
$$ \displaystyle \left\{ \begin{array}{l} \displaystyle B_{x}(z)=-B_{x}(-z)\\ B_{y}(z)=B_{y}(-z) \\ \displaystyle B_{z}(z)=-B_{z}(-z)\end{array}\right. $$
[image]
이때, 자기장이 $$z$$에만 의존하므로 원기둥의 옆면을 통과하는 선속은 없다.[1] 폐곡면에 대한 총 선속은 [math(0)]이 되어야 하므로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 \mathbf{a}=\left[B_{z}(z)-B_{z}(-z) \right]\cdot S=0 \,\rightarrow \,B_{z}(z)=B_{z}(-z) $$
[1] 이 부분이 이해가 안되는 위키러는 적당한 벡터를 두어 직접 옆면에 대해 면적분을 해보아라.
$$ \displaystyle B_{z}(z)=0 $$
[image]
우선 ①과 같이 폐곡선 안에 전류가 들어오지 않게끔 $$\mathbf{K}$$와 평행한 방향으로 잡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구하는 자기장은 $$z$$에만 의존하므로 세로 부분에 대한 적분은 상쇄된다. 또한, 폐곡선안으로 유입되는 전류가 없으므로
$$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 \mathbf{l}=\left[B_{y}(z)-B_{y}(-z) \right]\cdot a=0 \,\rightarrow \,B_{y}(z)=B_{y}(-z) $$
$$ \displaystyle B_{y}(z)=0 $$
다음으로, ②와 같이 폐곡선 안에 전류가 유입되게 폐곡선을 잡는다. 이때, 방향은 $$\mathbf{K}$$와 직교하는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구하는 자기장은 $$z$$에만 의존하므로 세로 부분에 대한 적분은 상쇄된다. 또, 폐곡선 안에 유입되는 전류는
$$ \displaystyle I_{\text{enc}}=Ka $$
$$ \displaystyle \displaystyle \oint \, \mathbf{B} \cdot d \mathbf{l}=\left[B_{x}(z)-B_{x}(-z) \right]\cdot a=\mu_{0}Ka \,\rightarrow \,B_{x}(z)-B_{x}(-z)=\mu_{0}K $$
$$ \displaystyle B_{x}(z)=\frac{\mu_{0}K}{2} $$
$$ \displaystyle \mathbf{B}=\left\{ \begin{array}{l} \displaystyle \frac{\mu_{0}K}{2}\hat{\mathbf{x}}&\qquad(z>0)\\ \\ \displaystyle -\frac{\mu_{0}K}{2}\hat{\mathbf{x}}&\qquad(z<0)\end{array}\right. $$
$$ \displaystyle \mathbf{B}=\frac{\mu_{0}}{2}(\mathbf{K} \times \hat{\mathbf{n}}) $$
여담으로 이 결과는 비오-사바르 법칙으로도 도출해낼 수 있다. 맨 위 그림에서 미소 길이 $$dx$$에 흐르는 미소 전류 $$dI=K\,dx$$는 무한 직선 도선에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이 취급할 수 있음을 이용하면 된다.
3. 맥스웰의 수정
거시적인 전자기장의 방정식은 아래의 네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맥스웰 방정식을 참고하는 것을 권한다.
$$\displaystyle \begin{aligned} \boldsymbol{\nabla} \cdot \mathbf{D}&= \rho_{f} \\ \boldsymbol{\nabla} \cdot \mathbf{B}&=0 \\ \boldsymbol{\nabla} \times \mathbf{E}&=-\frac{\partial \mathbf{B}}{\partial t} \\ \boldsymbol{\nabla} \times \mathbf{H}&= \mathbf{J}_{f} \end{aligned} $$
마지막 식에 발산 연산을 하면, 좌변의 경우 회전을 취하고, 발산을 취했으므로 0이 돼야 한다. 즉,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cdot ( \boldsymbol{\nabla} \times \mathbf{H})=0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cdot \mathbf{J}_{f}=-\frac{\partial \rho_{f}}{\partial t} $$
$$\boldsymbol{\nabla} \cdot \mathbf{J}_{f} \neq 0$$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cdot \mathbf{J}_{f}=-\frac{\partial }{\partial t}(\boldsymbol{\nabla} \cdot \mathbf{D})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cdot \mathbf{J}_{f}=\boldsymbol{\nabla} \cdot \left( -\frac{\partial \mathbf{D} }{\partial t} \right) \rightarrow \boldsymbol{\nabla} \cdot \left( \mathbf{J}_{f}+\frac{\partial \mathbf{D} }{\partial t} \right)=0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H}= \mathbf{J}_{f}+\frac{\partial \mathbf{D} }{\partial t} $$
또한, 추가된 항은 변위 전류와 관계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전자기파 문서를 참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