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학부/공과대학

 




[image]
홈페이지
1. 개요
2. 학과
2.1. 전기전자공학부
2.2. 화공생명공학부
2.2.1. 화공과 대학원 실험실 필로폰 제조 사건
2.3. 기계공학부
2.4.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2.5. 건축공학과
2.5.1. 건축공학과의 북문설계실
2.6. 신소재공학부
2.7. 도시공학과
2.8. 산업공학과
2.10. 글로벌융합공학부
2.11.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 동아리 및 자치단체


1. 개요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전진공대

연세대학교공과대학.
학내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연세 공대라고 한다. 비공식적인 자리나 재학생들끼리는 연대공대 혹은 연공이라고 부른다. 연세대학교 내에 가장 많은 인원수를 차지하는 단과대학이다. 참고로 위에 왼쪽 사진에 보이는 것은 공학관1, 2, 3과 공대타워로 공대의 중심부이며 대부분의 학부수업이 열린다. 이 공학관들 주위에 다양한 연구동이 분포하는 구조로 캠퍼스가 이루어져있다.
[image]
앞으로 신촌캠퍼스의 연구공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도캠에 대규모 연구시설을 지을 계획을 갖고 있다.

2. 학과



2.1. 전기전자공학부


School of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1950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신설
1969
이공대학 전자공학과 신설
1992
공과대학 전파공학과 신설
1995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전파공학전공
1997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으로 통합
2000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전기전자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2002
공과대학 전기전자공학부 독립 신설
연세대학교의 전기전자공학부이다. 학과 진입 후에는 전기전자공학과.
  • 과반: 공학6반(비전식스), 공학9반(라스트신,막장구반), 공학10반(일렉텐)
  • 과반 FM: 발광전전. 전전 중 공학10반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긴 FM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사천만 민중에 대한 굽이치는 사랑과 믿음으로 하나되어 희망을 향해 힘차게 전진하는 잘나가는 공학 10반")
연세 공대 모든학과 중 최다 인원을 자랑한다. 그에따른 교수 수도 최대이다. 따라서 반이 3개나 되며, 그중 비전식스(6반)은 독특한 구호와 함께 매년 사칭문제에 시달린다. 원래는 전기, 전자, 전파공학과 3개 학과가 합쳐져서 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는 정원이 무려 300명에 달했다. 그런데 언더우드 국제학부가 생길 때 자발적으로 정원 100여명을 그쪽에다가 헌납해서 정원이 200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모든 학과들이 정원을 늘릴려고 기를 쓰는데 이런 현상이 벌어진 것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썰이 있다. 일단 당시 전기전자공학부 출신 학장이자 차기 총장을 노리던 교수가 표를 얻으려고 했다는 썰이 있다. 그리고 해외에서 살다온 학생들이 들어가는 언더우드 국제학부 특성상 교수들이 자기 자녀 입학을 염두에 두고 정원을 그쪽으로 떼서 준 것 아니겠냐는 썰도 있다.[1] 다른 학과도 언더우드 국제학부에 정원을 떼서 주긴 했지만 이렇게 100명씩 퍼주지는 않았다. 정원이 전기전자공학부보다 많았던 경영학과도 불과 몇십명만 떼서 주었다. 어쨌거나 쪽수가 사회에서 곧 맨 파워가 되는 현실[2]에서 재학생이나 동문 입장에서는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학과 행사로는 봄 즈음에 대학원생 및 학부생 인턴 모집 을 위해 시행하는 OPEN LAB행사가 있다. 가을에는 EE페스티벌을 연다.

2.2. 화공생명공학부


[image]
Department of Chemical & Biomolecular Engineering
1950
이공대학 공업화학과 신설
1956
이공대학 화학공학과로 명칭 변경
1977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1999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부 화학공학전공
2007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로 명칭변경 (단일학부, 단일학과 체제)
연세대학교의 화공생명공학부이다. 학과 진입 후에는 화공생명공학과. 연세대학교의 모든 학과 중 유일하게 과 건물(GS칼텍스산학협력관)이 존재하는 학과이다.
  • 과반: 공학2반
  • 과반 FM: 불꽃화공.

2.2.1. 화공과 대학원 실험실 필로폰 제조 사건


화공과 모 실험실 석사과정 황모(25)씨가 전공 역량을 살려 필로폰 13g을 감기약을 통해 제조한 사건이다. #
마약 유통업자를 통해 제의받은 황모씨는 감기약을 처방받아 타인 몰래 이를 본인의 연구실에서 야간에 화학기구를 이용, 합성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필로폰 13g은 시가 4,000만원으로, 필로폰 유통업자가 이중 일부를 커미션으로 떼 주기로 한 듯 하다.
이에 검찰 마약수사팀이 해당 연구실에 대해 압수수색을 시행, 2017년 4월 3일 황모씨는 서울지방검찰청을 통해 구속되었다.
이를 두고 브레이킹 배드라고 칭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2.3. 기계공학부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1958
이공대학 건설공학과 신설
1962
이공대학 공학부 기계공학과로 분리
1996
공과대학 기계설계학과 신설[3]
1996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기계공학전공[4]
2002
공과대학 기계공학부로 분리 독립
연세대학교의 기계공학부이다. 학과 진입 후에는 기계공학과.

  • 과반: 공학4반, 공학7반
  • 과반 FM: 그 중에서 제일 잘 나가는 기계전사(공학4반). 그 중에서 가장 잘나가는 철혈기계(공학7반).

2.4.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Schoo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1958
이공대학 건설공학과 신설
1962
이공대학 공학부 토목공학과로 분리
1995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통합[5]
1998
공과대학 사회환경건축공학부 통합[6]
2002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단일학부, 단일학과 체제)
2018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로 명칭 변경
연세대학교의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학과 진입 후에는 건설환경공학과.
  • 과반: 토목11반
  • 과반 FM: 무적공학.
보통 토목 또는 사환시라고 부른다.

2.5. 건축공학과



[image]
Department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연세대학교의 건축공학과이다.
  • 과반: 연세건축 아시비
  • 과반 FM: 잘나가는 아시비
학과 진입 후에는 건축공학 전공(4년제), 건축학 전공(5년제)로 다시 나누어진다.

2.5.1. 건축공학과의 북문설계실


타 학교의 경우도 비슷한 상황이긴 하지만, 학내 공간의 부족은 언제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공과대학 소속인 건축공학과의 경우, 단일 학과 내에 건축공학 전공(4년제)과 건축학 전공(5년제)으로 나뉘고, 건축설계 수업을 위한 설계실이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이 설계실은 일반 강의실과 함께 쓰일 수 없는 데다가 학과 특성상 24시간 학생들이 드나들고 개인별로 작업공간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꽤나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건축학 전공 과정 개설 이전에는 공대 5층 설계실 공간만을 가지고 어찌어찌 버텨왔으나 03학번부터 건축학 전공이 나뉘며 건축설계 위주로 커리큘럼이 진행되는 건축학 과정의 특성상 설계실 공간의 확대가 꼭 필요한 상황에 마주하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3~5학년(건축공학과 건축학 과정 5년제) 학생들의 설계실을 북문 연세우유 사무실 일부를 개조하여 만들었다는 점이다. 상대생들이 강의실 멀다고 하지만, 이 설계실은 정문 기준 상대까지 거리의 2배다! 게다가 산 중턱의 도로를 걸어 올라가기 때문에 공대 같은 곳에서 설계실을 가려면 큰 맘 먹고 가야 한다. 커리큘럼상에 붙어 있는 이름은 우유처리장, 줄여서 '우처'라고 불리며,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내부에서만 통하는 용어이다.
세월이 흐르며, 5년제 건축학 과정이 정착되고 고학년들이 증가해 설계실 공간이 더 필요하자 이번에는 우유처리장 건너편에 신축된 창고동 2층을 또 설계실로 개조하여 5학년이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커리큘럼에 나타나기 시작한 새로운 명칭 '대창고' 쓰다 보니 더 슬퍼진다.
이 공간의 특징을 열거해 보면,
  • 신촌역에서 걸어서 30분, 연세대 정문에서 걸어서 20분
  • 화장실이 없다. 그래서 1층에 있는 연세우유 사무실 화장실을 빌려 쓰는데, 약 50명 남짓한 학생들 + 사무실 직원들이 단 한 곳의 화장실 사용, (그나마 새로 지어진 대창고에는 화장실이라도 있다.)
  • 위치가 멀다고 식사 배달을 시킬 경우 거절되는 일도 부지기수
  • 자판기, 편의점이 근처에 없으며 생협에서도 수익이 안 나오고 관리 인원이 거기까지 갈 수 없다며 자판기 설치 거부
  • 정수기는 있다. 한때 위생상태 엉망이라고 인식되고 있었으나, 건축과 학생회에서 정기적으로 검사와 필터 교환을 하니 안심하고 마셔도 된다고 공지했다.
  • 교내에서 제일 모기와 벌레가 많다. 수업 중 잠깐 졸면 3~4군데는 기본으로 뜯긴다.
  • 청소 아주머니들이 담당하는 곳이 아니다 보니 쓰레기가 넘쳐난다.
  • 교내 네스팟이 잡히지 않는다. 그나마 2009년 말 자체적으로 무선공유기를 설치했다. 문제는 그마저도 가끔 끊긴다.
  • 신촌역에서 북문 설계실까지의 거리는 신촌역에서 한강과의 거리와 같다.
그나마 한때는 학생들이 원하는 경우 기숙사까지 운행하는 셔틀버스가 이 곳에 정차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지형이 워낙 경사가 심한 곳이라 사고의 가능성을 이유로 금지시켰다. 하지만 건축과 학생회와 총학생회의 건의로 2012년 1학기부터 북문설계실이라는 이름의 셔틀버스 정차장이 공식 추가되었다. 하지만 역시 험난한 지형 때문에 신촌역->기숙사 방향만 정차하고, 정차 위치는 연세우유 앞이 아닌 아식설계공동연구소 앞이다.
일반적으로 지도에서는 연세대학교의 캠퍼스가 하나의 영역으로 합쳐져서 나오지만, 실제로는 캠퍼스 주요 공간과 북문 주변부지 사이에 연세대학교의 부지가 아닌 곳이 있다! 말하자면 건축학과의 설계실은 섬 아닌 섬인 셈.
가장 중요한, 북문 설계실의 정식 이름은 3,4학년(연세우유 HQ동)의 경우 Studio X, 5학년(대창고동)의 경우 Studio Y 이다. 이 이름들은 KAAB 인증을 위해서 설계실 장비 확충을 하던 중 급조된 이름이다. 본래 연세우유 2층의 설계실을 리모델링한 후 현대 건축사의 Team X(로마자 10)을 빗대 설계실이 10개 있으니 Studio X라 이름 붙인 것인데, 이후 대창고에 설계실을 추가하고, KAAB 인증 심사용 간판을 달기 위해 작명을 하다보니 귀찮다 옆에 X 있으니 Studio Y라고 하자. 해서 당시 대학원생들이 대충 인쇄해서 대충 찌끄려서 대충 간판도 붙였다. 현재도 남아있는지 의문. 공A 5층 역시 Studio Z로 붙였는데... 그마저도 세월이 흐르며 설계 담당 교수님들이나 겸임교수님들이 바뀌며 붙였다 떼다 하다보니 거의 사라졌다. 2013년 2학기에 부영에서 대창고 자리에 기숙사를 지어주기로 하면서 5학년들의 설계실이 없어질 위기에 처했다. 일단 그쪽 기숙사는 단계적으로 한 동씩 짓는데다가 1단계 조감도를 보니 대창고 부지가 직접 편입되지는 않아서 2014년 1학기에는 그대로 가는 듯 하나 언제 길바닥에 나앉아서 설계할지 모르는 안습한 상황.(...)
2014년 현재 상상속의 존재라고만 생각했던 공대타워의 전초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니 해결의 조짐이 보인다.
2016년부터 제 1공학관 6층의 증축과 함께, 북문 설계 스튜디오들이 전부 그곳으로 내려옴으써 북문에 갈 일은 없어졌다.
학교 정문 앞 알파에서 재료 사오기도 편해지고, 상술된 거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2.5.2. 건축학개론(영화)


연세대 건축공학과는 영화 건축학개론에서 극중 배경이 되는 학과이다. 영화에서 강의 첫 시간에서 지도에서 대놓고 현재장소를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로 설정하고 있고, 특히 이용주 감독이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촬영 협조가 안 되었는지 영화 촬영이 되는 배경장소로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는 한 컷도 나오지 않고, 심지어 감독의 모교인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로부터 자문이나 후원조차도 받지 못한 아이러니한 사정이 있다.
사실 96년도 연세대학교는 그해 8월 발생한 연세대사태의 여파로 교정 곳곳이 황폐화되어 고증을 맞추면 멜로영화의 배경이 되기엔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 실제 극 중 대학교 배경으로 촬영된 장소는 경희대학교와 한국관광대학이었고, 자문 및 후원을 받은 곳은 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제주관광대학교 건축과였음이 엔딩 크레딧으로 올라갔다. 다만, 극중 엄태웅의 설계사무실은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동문이자, 현재 설계 강의에 겸임교수로 강의하는 모 건축가의 사무실에서 진행되었다고 한다.
재밌는 것은 감독이 의도한 것인지 모르지만 이 영화의 중요한 노래인 "기억의 습작"을 부른 전람회의 두 멤버는 모두 연대출신이고 김동률은 감독과 같은 건축과 동문이다. 동문회에서 알고 있었을지도... 하지만 김동률은 음악에 대한 열정 때문에 건축과를 중퇴하고 버클리음대로 유학을 간다.

2.6. 신소재공학부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1966
이공대학 공학부 금속공학과 신설
1969
이공대학 공학부 세라믹공학과 신설
1997
공과대학 재료공학부로 통합
2002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연세대학교의 신소재공학부이다. 학과 진입 후에는 신소재공학과.
  • 과반: 공학1반
  • 과반 FM: 막강공학1반.

2.7. 도시공학과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1993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신설
1996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도시공학과
1999
공과대학 사회환경건축공학부로 통합
2002
공과대학 건축·도시공학부
2012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연세대학교의 도시공학과이다.
  • 과반 FM: 불멸도시

2.8. 산업공학과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1994
공과대학 산업시스템공학과 신설
1996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산업시스템공학전공
1998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정보산업공학전공으로 통합[7]
2002
공과대학 컴퓨터산업공학부 컴퓨터산업공학전공으로 분리[8]
2004
공과대학 컴퓨터정보공학부 정보산업전공으로 분리[9]
2005
공과대학 정보산업공학과[10]
2017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연세대학교의 산업공학과이다. 설립당시 산업시스템공학과였으며, 이후 기계.전자공학부 내 정보산업공학 전공, 정보산업공학과를 거쳐 2017년 산업공학과라는 '''심플한 명칭으로 환원'''되었다. 설립 당시 산업시스템공학과라는 이름은 당시 미국에서 산업공학과 이름을 그렇게 바꾸던 트렌드가 있어서 거기에 맞춘 것이라 볼 수 있다. 90년대말부터 2000년대초까지 세계적인 IT붐때 광역단위모집으로 컴퓨터과학과와 같이 묶여있다가 다시 분리되었다.
  • 과반: 공학8반
  • 과반 FM: 클라스가 다른 무한8반.
적은 숫자의 단위임에도 불구하고 학내 영향력있는 인사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2.9. 컴퓨터과학과


[imag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1983
이과대학 전산과학과 신설
1994
이과대학 컴퓨터과학과로 명칭 변경
1996
공과대학 컴퓨터과학과로 소속 대학 변경
1996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컴퓨터과학전공
1998
공과대학 기계·전자공학부 정보산업공학전공으로 통합[11]
2002
공과대학 컴퓨터산업공학부 컴퓨터산업공학전공으로 분리[12]
2004
공과대학 컴퓨터정보공학부 컴퓨터과학전공으로 분리[13]
2005
공과대학 컴퓨터과학과[14]
연세대학교의 컴퓨터과학과이다.
컴퓨터공학과가 아니라 컴퓨터과학과이다.
  • 과반: 컴과5반
  • 과반 FM: 비상하라 컴과5반
1996년에 공과대학으로 옮겨왔기 때문에 공대 내 학과 서열은 산업공학과 다음에 온다.[15]

2.10. 글로벌융합공학부


[image]
School of Integrated Technology
2011
공과대학 글로벌융합공학부 IT융합전공 신설
2011년에 신설되었다. 글로벌융합공학부 IT융합전공으로 학부지만 단일전공 체제이다.
  • 과반 FM: 명품글융
2010년지식경제부의 IT명품인재양성사업을 기반으로 연세대 글로벌융합기술원과 함께 2011년연세대학교 공과대학에 10번째로 설립된 학부이다. 전기전자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의 내용을 주로 공부하며, 장학금, 생활비 등 재정적으로 많은 지원을 받는다. 학부생부터 개인 월급을 받을 정도로 지원이 빵빵해 영재고/과학고 내에서 연세대 의/치대를 제외한 최고 인기학과로 꼽힌다.
글로벌융합공학부라는 이름은 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글융공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송도에 위치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진리관C라는 자체건물에서 서식한다. 즉 학과 자체가 신촌이 아니라 송도에 있다. 보통 진C, 진리C라고 칭한다. 글로벌융합공학부의 건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글융공 학생 빼고는 갈일이 없기에 1층은 사무실 및 회의실, 2층은 강의실 및 실험실 및 과방 3층부터 4층까지는 대학원 연구실 및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 연구실 등 이런 식이다. 참고로 지하에 학생회관이 위치해 있다. (엄밀히 말하면 Y-Plaza에 위치한다)
기본적인 학부 과정은 3년이지만 4년으로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4년 이상을 송도에서 보내게 되기도 하며, 이런 학생들은 눈 감고도 국제캠퍼스 식당의 모든 메뉴를 냄새로 맞출 수 있다고 한다.

2.11. 시스템반도체공학과


School of System Semiconductor Engineering
2020년 11번째로 신설된 학과로 삼성전자 계약학과다.

3. 동아리 및 자치단체


  • e-biz(경영전략)
  • PoolC(프로그래밍)
  • VERY(벤처창업)
  • YIIC(발명)
  • 계농패(농구)
  • 공대극회(연극)
  • 과학기술연구회(학술)
  • 로보인(로봇)
  • 메카(자동차)
  • 사발통문(로봇)(하스스톤)(롤)(디아블로)
  • 쇠방망이(야구)
  • 활천(밴드)
[1] 실제로 이후 교수들 자녀의 상당수가 언더우드 국제학부로 입학해왔다.[2] 일례로 사회에서 서강대 출신이 성대나 한양대에 맨파워가 크게 밀리는 현실이 이를 잘 반영한다.[3] 기계공학과와 병존[4] 기존 기계공학과와 기계설계학과의 통합[5] 도시공학과와 통합[6] 건축공학과와 추가 통합[7] 컴퓨터과학과와 통합[8] 컴퓨터과학과와의 통합을 유지한 상태로 기존 기계·전자공학부에서 독립[9] 컴퓨터과학 전공과 전공 과정을 완전히 분리[10] 컴퓨터과학과와 최종 분리[11] 산업시스템공학과와 통합[12] 정보산업공학 전공(구 산업시스템공학과)과 통합을 유지하면서, 기존 기계·전자공학부에서 독립하여 컴퓨터산업공학부 신설[13] 정보산업공학 전공과 분리된 전공 과정으로 운영[14] 정보산업공학과와 최종 분리 완료[15] 이는 연세대학교 내 모든 학과가 마찬가지다. 다른 단과대에서 옮겨온 학과가 많은 사회과학대학의 학과 서열에서 이런 특징이 잘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