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출부

 

1. 개요
2. 연출부의 구성
3. 드라마에서
4. 영화에서
5. 광고에서
6. 애니메이션에서


1. 개요


영상직종[1]에서 제작부, 촬영부와 더불어서 핵심을 담당하는 부서.
연출부는 기본적으로 연출 감독을 보좌하며 연출적인 면 대부분을 책임진다. 촬영장에서 가장 막강한 사람 중 한 명인 연출자의 직속 부서이지만, 연출자는 연출부보다는 촬영장 그 자체를 대변하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에 오히려 조연출이 이들을 이끄는 경향이 강하다. 다른 팀의 막내들은 본인 부서의 일만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출부 막내는 다른 팀들의 일을 돕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는 게 그 대표적 예시다.

2. 연출부의 구성


  • 연출자
통칭 "감독". 보통 방송 쪽에서는 연출자를 PD라고 지칭하지만 이는 외적인 명칭으로 촬영장에서는 보통 감독님이라고 지칭하는 게 일반적이다. 연출적인 부분을 통솔하지만 그 권력은 막강하기 때문에 다른 부서들의 일을 존중해주는 선에서 마음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통 영화 쪽은 시나리오를 직접 쓴 작가가 연출을 맡는 경우가 많지만 방송 쪽은 다르다. 작가가 따로 있고 그 위상이 영화와 다르기 때문에 일종의 연출셔틀로 쓰이는 편이 강한 편이다.
  • 조연출
통칭 "조감독". 연출부에서 감독 다음인 No.2에 위치한다. 주로 스케줄 관리 등과 진행업무를 떠맡는다. 기본적으로 연출부가 박봉이긴 하지만 조감독의 타이틀을 단다면 급여와 대우가 많이 달라지는 편이다. 감독의 업무가 막중하고 업무량이 많다보니 조감독이 이를 보좌해주는 것이 본래 목적이지만 실상은 감독이 구상만 하고 조연출이 온갖 귀찮은 잡일을 떠맡는 게 많은 편. 일반적으로 조감독을 연출자가 되기 직전의 과정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데 실제로도 그렇기 때문. 단 외국에서는 다소 다른데 외국에서는 아예 조감독만 맡는 사람이 존재하며[2] 연출자의 따까리라는 인상이 강한 한국과 달리 연출자를 보좌하고 행정적인 업무를 도맡아 감독이 연출과 구상에 집중하게 돕는다.
  • 연출부원
일반적으로 퍼스트, 세컨드, 써드, 막내순의 서열을 가지며 직위에 따라서 업무량과 대우 급여가 갈린다. 촬영장에서의 취약계층(?)으로 연출적인 일뿐만 아니라 다른 팀에서 일손이 부족하면 불려가는 게 현실이다. 한마디로 촬영장의 호구. 다른 부서들의 퍼스트~막내들과 달리 대우가 엄청나게 나쁘며 특히 수입은 굉장히 짜다. 이는 딱히 기술이 필요하지도 않을뿐만 아니라 일자체도 몇번이면 금방 익히고 수요가 많기 때문. 연출부가 가장 꺼리는 곳은 시가지 촬영 등인데 소음이라든가 지나가던 행인을 일일이 통제하기때문에 정신적 스트레스가 엄청난 편이다.[3]
  • 스크립터
기본적으로 연출부에 소속이 되며 아주 높은 확률로 여성이 이 요직을 담당하고 있다. 주된 업무는 당연히 스크립팅[4]. 서있는 일이 많은 촬영장에서 앉아있는 일이 많은 포지션이다. 하지만 꿀일 것이라는 시각과 달리 슛이 들어갈 때마다 집중을 해줘야 하며 스크립터가 실수가 하는 날에는 포스트 단계에서 고통스러워지기 때문에 대우에 비해서 몹시 중요한 포지션이다.

3. 드라마에서


연출자는 신 그자체, 연출부원들은 '''노예'''는 이제는 옛말이다. 여전히 연출자의 뒤치다꺼리를 하는 건 맞지만 노예라기 보다는 서포트 느낌이다. 최근 몇년 사이 드라마판이 커지면서 (능력 있는) 연출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페이도 굉장히 많이 올라갔고 그에 따라 처우도 많이 좋아졌다. 우스갯소리로 요즘 메인FD치고 월 1000 못 벌면..븅..ㅅ이라는 말을 할 정도.
어느 정도 미리 사전에 협의를 해서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사전에 협조를 구하는 영화와 달리 드라마는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생방송급으로 촬영을 진행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촬영장에서 온갖 돌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그때그때 수습해야 하는것이 이들의 일이다.

4. 영화에서


드라마와 아주 조금 비슷하지만 많이 다르다. 영화의 경우 대규모 자본이 굴러가고 드라마같이 엉성하게 흘러가지 않기때문에 다소 편한편. 하지만 업무자체는 큰 틀에서 다르지않다.

5. 광고에서


연출자와 조연출을 제외한 연출부라는 직함은 영화 현장의 제작부와 똑같이 잡부다. 촬영 전반에 참여된다기 보다는 촬영 외적인 보조 역할에 집중한다. 잘해야 본전, 못하면 역적이다.

6. 애니메이션에서


위의 세 부문과 달리 영상의 뼈대가 실사가 아니라는 특징상 쵤영에 나설 일이 없어 투입되는 인원의 수가 적다. 대체로 TV 애니에서는 감독을 보조하는 조감독의 위치로, 담당하는 에피소드의 콘티를 짜거나 체크하고 그 에피소드의 제작공정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자세한 건 연출 문서를 참고.
그래서 애니메이션에서는 영화와 드라마와는 정반대로 촬영부의 권한이 적고 연출자 1명의 권한이 크다. 콘티 과정에서 캐릭터들의 움직임, 장면 구도, 표정, 연기 등을 모두 지시하기 때문이다. 영화나 드라마로 대입해보면 배우 역할도 겸하는 셈이다. 때문에 규모가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아닌 이상 대부분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연출부가 따로 없는 경우가 많고, 외부 인원을 끌어 쓰거나 일부 또는 통째로 하청 회사에 맡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1] 영화, 드라마, CF, 뮤직비디오 등[2] 나이가 지긋한 사람이 조감독일 수 있다는 말이다.[3] 외부적인 요인으로 촬영에 지장이 생기면 연출부가 제1의 표적이 되며, 시민 등 촬영장 주변에 있는 사람들 역시 촬영 때문에 피해를 입는다면 연출부가 이를 탱킹한다.[4] 화면의 컨티뉴이티라든가 take및 ok컷 구분, 촬영장에서만 알 수 있는 편집 유의사항들을 기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