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정리

 


1. 개요
2. 정수론에서
2.1. 증명
2.2. 응용
2.3. 기타
3. 동차함수에 대한 오일러 정리

Euler's Theorem.

1. 개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증명한 정리이다.

2. 정수론에서


정수론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정리로, 합동식과 관련이 있다. 페르마의 소정리를 일반화한 것이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 a $$와 $$ n $$이 서로 소인 양의 정수일 때,

$$ a^{ \varphi \left( n \right) } \equiv 1 \left( \text{mod}\ n \right) $$ [1]

여기서 $$ \varphi \left( n \right) $$은 $$ 1 $$부터 $$ n $$까지의 정수 중 $$ n $$과 서로소인 정수의 개수를 구하는 오일러 파이 함수다.

2.1. 증명


$$n$$ 이하의 자연수중 $$n$$과 서로소인 수만 모아놓은 집합을 $$S$$라 하자.
정의에 의해 $$S$$의 원소의 개수는 $$ \varphi \left( n \right) $$이다.
$$ S=\left\{b_1, \cdots, b_{\varphi\left(n\right)}\right\} $$
라 하자
$$S$$의 각 원소들에 ($$n$$과 서로소인) $$a$$를 곱한 집합을 $$aS$$라 하면
$$ aS=\left\{ab_1, \cdots, ab_{\varphi\left(n\right)}\right\} $$
이 때, $$aS$$의 모든 원소들은 $$n$$과 서로소인 수들끼리 곱한 수들이므로 그 원소들 역시 $$n$$과 서로소.
그리고 $$aS$$의 모든 원소는 $$n$$로 나눈 나머지가 서로 다르다 ($$\because$$ 만일 $$ab_i \equiv ab_j (\text{mod}~n)$$, $$1 \leq i,j \leq \varphi \left(n \right)$$인 서로 다른 정수 $$i$$, $$j$$가 존재한다면, $$a(b_i - b_j )$$가 $$n$$의 배수. $$a$$와 $$n$$이 서로소이므로 $$b_i - b_j$$가 $$n$$의 배수. 그런데, $$b_i$$와 $$b_j$$가 둘 다 $$1$$이상 $$n$$이하의 수들이므로 $$-(n-1) \leq b_i -b_j \leq (n-1)$$. 이 범위에는 $$n$$의 배수가 [math(0)]뿐이므로 $$b_i = b_j$$. 즉, 모순)
그러므로 $$aS$$의 원소들을 $$n$$으로 나눈 나머지는 $$S$$의 원소들의 재배열이 된다.
따라서 $$S$$의 모든 원소의 곱과 $$aS$$의 모든 원소의 곱은 $$n$$으로 나눈 나머지가 같다.
$$ b_1\cdots b_{\varphi\left(n\right)} \equiv a^{\varphi\left(n\right)}b_1\cdots b_{\varphi\left(n\right)} \left(\text{mod} ~n\right)$$
$$ \therefore ~ a^{ \varphi \left( n \right) } \equiv 1 \left( \text{mod}~ n \right) $$

2.2. 응용


오일러 정리는 거듭제곱의 마지막 세 자리 수를 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7^{2016}$$의 마지막 세 자리 수를 구하고 싶을 때, $$\varphi \left( 1000 \right) = 400$$이므로 $$7^{400} \equiv 1 \left(\text{mod}~1000 \right)$$가 성립함을 이용하면, $$7^{2016} \equiv \left( 7^{400} \right)^5 \times 7^{16} \left( \text{mod}~1000 \right)$$에 의해 $$7^{16}$$을 $$1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면 된다. [2]

2.3. 기타


오일러 정리는 대표적인 공개키 암호화 방식 중 하나인 RSA의 가장 중요한 이론이 되는 정리다.
참고로 오일러 공식, 오일러 방정식과는 다른 것이다.

3. 동차함수에 대한 오일러 정리


위의 정수론에 대한 정리와는 다른 정리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함수 $$f(x_k)$$가 $$x_k$$에 대한 $$n$$차 동차함수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sum_{k}{ x_k \frac{ \partial f }{ \partial x_k } } = nf $$

[1] 간단하게 말해서 앞의 수를 n으로 나눈 나머지가 1. [2] 물론 이는 $$7^2=49=50-1$$임을 이용해서 이항정리를 통해 간략화시키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