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식
1. 개요
漢: 合同式 / En: Congruence
정수 $$a,b,m$$에 대하여, [math(m\mid\left(a-b\right))]일 때[1] , $$a$$는 법 $$m$$에 대하여 $$b$$와 합동이다[2] ($$a$$ is congruent to $$b$$ modulo $$m$$)라고 한다. 이때, 기호로는 $$a\equiv b\left(\text{mod}\,m\right)$$라고 쓴다. $$m$$를 합동의 법(modular)이라고 한다. 간단히 말해서, "$$a$$를 $$m$$으로 나눈 나머지는 $$b$$"라는 문장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 [3][4]
일반적으로 나머지는 나누는 수보다 작지만, 합동식에서는 $$b$$값에 제한이 없다는 차이점은 존재한다. 다시 말해 $$a\equiv b\left(\text{mod}\,m\right)$$에서 b에 들어갈 수 있는 수 자체는 많이 있고, 그중에 가장 작은 양의 정수가 초등학교 때 배운 '나머지'이다.
나머지라는 개념 자체가 초등학교 시절 분수 전에 배우던 것이어서 보통 마치 가르치기 어려운 개념을 회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천만의 말씀'''. 나머지는 수학에서 가장 신비로운 개념 중 하나로, 덧셈이나 곱셈에만 적용되는 줄 알았던 연산개념이 신기하게도 나머지에서 완전 같은 방법으로 적용된다는 점을 깨닫게 되면 정수론에 대한 관심이 꽃피게 되는 일이 많다.
대학교의 정수론 수업이나 특정 수학 과목의 정수론 파트를 듣지 않는 한 배울 일이 없지만, KMO를 비롯한 수학 경시대회를 준비한다면 '''반드시''' 알아놔야 할 것 중 하나. 2차 잉여까지는 알 필요 없지만 아래 기본적인 성질은 모두 숙지하는 것이 좋다. 사실 경시대회 준비가 아니더라도 고등학교 때 이항정리 문제 중 합동식을 쓰면 편한 문제가 나오므로 알아놔서 절대 나쁠 건 없다.
2. 성질
- (반사성) $$a\equiv a\left(\text{mod}\,m\right)$$이다.
증명
2. (대칭성) $$a\equiv b\left(\text{mod}\,m\right)$$이면 $$b\equiv a\left(\text{mod}\,m\right)$$이다. (교환법칙)
증명
3. (추이성) $$a\equiv b\left(\text{mod}\,m\right), b\equiv c\left(\text{mod}\,m\right)$$이면 $$a\equiv c\left(\text{mod}\,m\right)$$이다.
증명
4. $$a\equiv b\left(\text{mod}\,m\right), c\equiv d\left(\text{mod}\,m\right)$$이면, $$a\pm c\equiv b\pm d\left(\text{mod}\,m\right)$$이다. (복부호동순)
증명
5. $$a\equiv b\left(\text{mod}\,m\right), c\equiv d\left(\text{mod}\,m\right)$$이면, $$ac\equiv bd\left(\text{mod}\,m\right)$$이다.
증명
6. $$a\equiv b\left(\text{mod}\,m\right)$$이면, $$a^k\equiv b^k\left(\text{mod}\,m\right)$$이다.
증명
7. $$ab\equiv ac\left(\text{mod}\,m\right)$$이고, $$d=\gcd\left(a,m\right)$$이면, $$b\equiv c\left(\text{mod}\,\frac{m}{d}\right)$$이다.
}}}증명
8. $$a\equiv b\left(\text{mod}\,m\right)$$이고, $$n$$이 $$m$$의 약수이면, $$a\equiv b\left(\text{mod}\,n\right)$$이다.
증명
9. $$a\equiv b\left(\text{mod}\,m\right)$$이고, $$d>0$$이 $$a,b,m$$의 공약수이면, $$\frac{a}{d}\equiv\frac{b}{d}\left(\text{mod}\,\frac{m}{d}\right)$$이다.
증명
3. 일차합동식
3.1. 일차합동식의 정의
일차합동식이란, 일차방정식과 비슷하게 미지수의 차수가 1인 합동식을 의미한다. 수식으로 간단하게 표현하면 $$ax\equiv b\left(\text{mod}\,m\right)$$인 형태인 모든 합동식이 일차합동식이다. 일차방정식에 해가 존재할 조건이 있듯이, 일차합동식에도 해가 존재할 조건이 있다. $$d=\gcd\left(a,m\right)$$[7] 라 했을 때, $$d\nmid b$$이면[8] 합동식은 정수해를 갖지 않고, $$d\mid b$$[9] 이면 법 $$m$$에 대해 정확히 $$d$$개의 서로 다른 해를 갖게된다. 해의 존재성에 대한 증명은 다음과 같다.
3.2. 일차합동식의 해법
크게 디오판토스 방정식, 유클리드 호제법, 잉여역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는 다음 예제의 해법을 소개한다.
3.2.1. 디오판토스 방정식 이용
적당한 정수 $$y$$에 대하여 $$3x+4y=7$$이다. 여기서 $$x_0=1,y_0=1$$은 한 해(특이해)임을 쉽게 알 수 있다. $$\gcd\left(3,4\right)=1$$이므로 일반해는 $$x=1+4t,\quad y=1-3t$$이다. 우리가 구하는 것은 $$x$$와 관련된 것이므로 $$x\equiv1\left(\text{mod}\,4\right)$$가 해이다.
3.2.2. 유클리드 호제법 이용
$$\gcd\left(3,4\right)=1$$이므로, 적당한 정수 $$a,b$$에 대해 $$3a+4b=1$$이다.[11] 실제로, $$\left(-1\right)\cdot3+1\cdot4=1$$이다. 이 사실은 우리에게 $$1\cdot x$$를 얻기 위하여 $$x$$의 계수를 바꿀 수 있음을 암시한다. 즉, 아래와 같이 된다.
$$4x\equiv0\left(\text{mod}\,4\right)\quad\cdots\left(1\right)$$
$$3x\equiv7\left(\text{mod}\,4\right)\quad\cdots\left(2\right)$$
그리고, (1) 식에서 (2)식을 빼면, x ≡ -7 (mod 4) 가 된다. -7 + 2*4 = 1 이므로 -7 ≡ 1 (mod 4) 이기에, 위 식을 x ≡ 1 (mod 4) 로 써도 된다.
그래서 답은 $$x\equiv1\left(\text{mod}\,4\right)$$이다.
3.2.3. 잉여역수 이용
법 4에 대한 곱셈표는 아래와 같다.[12]
위 표에서 보듯이 $$3\cdot3\equiv1\left(\text{mod}\,4\right)$$이다.
원래 식 $$3x\equiv7\left(\text{mod}\,4\right) $$ 의 양변에 3을 곱하면 $$3 \cdot 3x\equiv 3 \cdot 7\left(\text{mod}\,4\right) $$ 이 되는데, $$3\cdot3\equiv1\left(\text{mod}\,4\right)$$이고, $$ 21\equiv1\left(\text{mod}\,4\right)$$ 이므로 이를 정리하면
$$x\equiv 1\left(\text{mod}\,4\right) $$ 이 나온다.
4. 예제
합동식을 다룰줄 안다면 여러 경이로운 문제들의 답을 생각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연습해보자!
4.1. 예제 1
$$7^{242}$$의 10과 1의 자리수를 합동식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힌트]
[풀이]
4.2. 예제 2
$$7^{7^{777}}$$의 1의 자리수를 합동식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풀이]
4.3. 예제 3
$$ \displaystyle 1^2 + 2^2 + ...$$ $$ 98^2 + 99^2$$ 의 1의 자리수를 합동식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풀이]
4.4. 예제 4
합동식 $$a \equiv b \, (\text{mod} \, m)$$에 대하여 $$a$$와 $$m$$이 서로소일 때, $$b$$와 $$m$$이 서로소임을 보이시오.
[풀이]
5. 관련 문서
[1] $$a-b$$가 $$m$$으로 나누어 떨어질 때($$m$$ divides $$a-b$$). 즉, 적당한 정수 $$k$$에 대하여 $$a-b=km$$[2] 기하학의 합동과는 다르다.[3] $$0 \leq b < m$$일 때에[4] 혹은 $$a-b=nm$$, $$n$$은 자연수.[5] $$k=1$$일 때에는 자명하다.[6] 사실 5의 증명을 반복 적용하면 된다.[7] d가 a와 m의 최대공약수[8] d가 b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9] d가 b로 나누어 떨어지면[10] 디오판토스 방정식 참조[11] 최대공약수 참조[12] 직접 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