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해상 병기/독일 트리/대양해군

 



1. 개요
2. 1랭크
2.1. 1924년형 어뢰함 '레오파드' 1932년도 개수형
2.2. 1939년형 어뢰함 (T22)
2.3. 1934년 A형 구축함, 1944년 근대화 개수
2.4. 카노넨보트 K-2
3. 2랭크
3.2. 1934년 A형 구축함 1940년 근대화 개수
3.3. 1936년 B형 구축함
4. 3랭크
4.1. 1934년 A형 구축함 (후기형) Z32
5. 4랭크
6. 5랭크


1. 개요



2. 1랭크



2.1. 1924년형 어뢰함 '레오파드' 1932년도 개수형


127mm3문에 후면에 달린 주포는 360도회전이 불가능하며 대공무장은 20mm두정뿐이다. 그런데 버그로 어뢰사거리가 14km의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는데 8km를 더 얹어줄수 있다. 근데 정확도때문에 그렇게까지 의미가 없다.

2.2. 1939년형 어뢰함 (T22)


105mm 4문으로 옆그레이드 되었다. 그리고 어뢰 사거리를 잃은대신 대공무장이 확실하게 강화되어 통통배들을 찢어버릴수 있다. 그런데 이놈은 버그로 맨후면의 주포가 360도 회전을 못하고 함수에 달린 20미리가 함수에 달린 주포의 사격을 방해해서 전방으로는 사격을 못한다.

2.3. 1934년 A형 구축함, 1944년 근대화 개수


12.7cm 함포 4문 / 3.7cm 대공포 2연장 7문/ 2cm 2연장 1문 / 2cm 4연장 1문 을 가지고 있는 함선이다.
다음 티어의 1940년형과 다르게 주력 함포가 1문 적고 대신 엄청난 수의 3.7cm 2연장 대공포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거의 대부분의 독일 함선들이 쓰는 단발포 C/30이 아니라 5발 클립을 쓰는 Lm/42 2연장 기관포를 독일 트리에서 유일하게 쓰기 때문에 독일 구축함 중에서는 최고의 대공 화력을 자랑한다.

2.4. 카노넨보트 K-2


독일해상 BR3.7이 한없이 강해지는 이유2.
120mm쌍열포를 앞뒤로 장착하고 상당히 좋은 20mm기관포를 한면에 최소 6문을 갈겨서 통통배를 찢을수 있다. 특히 120mm고폭탄의 관통력이 127mm고폭탄보다 좋다. 이전에는 철갑탄도 있었으나 현제 삭제되고 없다. 그리고 연돌과 함교를 제외한 모든 바이탈파트가 장갑으로 보호받아 20mm고폭탄에 면역이라 통통배에 대한 생존성이 매우 높다. 거기에 배수량은 1420톤으로 어지간한 구축함보다 높은데 덩치는 작고 고속정이나 경순이나 중순스폰이 가능하다. 대신 어뢰는 없어서 5000미터내의 고정해상목표나 초근접한 해상목표에 대한 화력은 매우 떨어진다. 다만 대상이 통통배라면 대공포로 바로 갈아버릴수 있으므로 큰문제는 아니다. 어뢰가 약점이기도 하고...그리고 37mm 대공포도 달려있는데 단발포 C/30인지라 그냥 대공탐지기일뿐 의미는 없다.
1.99패치로 어뢰/포정 스폰에서 구축함 스폰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통통배가 아닌 단단한 구축함과 만났다면 어시스트먹는걸로 만족해야한다

3. 2랭크



3.1. Type 1936


[image]
플레이어가 탈수 있는 함선은 Z20이다.
워 썬더 공식 사이트의 1936년형 구축함 소개 페이지
[image]
플레이 모습
[image]
포수 시점
2020.12.07 추가
배의 운항 속도가 엄청나다.

3.2. 1934년 A형 구축함 1940년 근대화 개수


12.7cm 5문 / 3.7cm 2연장 대공포 2문 / 2cm 기관포 6문 으로 구성되어 있다.
1934년 A형 구축함 1944년형과 비교하면 12.7cm 주력함포가 1문 늘어났다. 대신 3.7cm 대공포가 크게 줄은 데다가 개장 전의 구형 단발포라서 의미가 없어졌다.
맨 꼬리 쪽 12.7cm 주포 1문의 사격각이 너무 좁아서 거의 옆구리를 적 방향으로 보여줘야 5문 전탄 발사가 가능하다.

3.3. 1936년 B형 구축함



4. 3랭크



4.1. 1934년 A형 구축함 (후기형) Z32



4.2. 엠덴 (1944)


[image]
CBT-1.83까지 공개된 독일 해상 병기 트리 BR 5.0 경순양함
워 썬더 공식 사이트의 엠덴급 경순양함 소개 페이지
1티어 경순양함중 최강자. 장갑이 떡장이면서도 필요한곳에 붙어있고 주포 화력도 괜찮다.

5. 4랭크



5.1. 쾰른 (1940)


[image]
타국이 초기형 경순양함이나 정찰 순양함, 대공 순양함을 쓸 때 이쪽은 제대로 된 대함 순양함으로 3연장 포탑으로 손쉽게 전 화력 투사가 가능해 그야말로 막강한 성능을 자랑한다. 장갑은 순양함 치고는 많이 얇은편이지만
이외로 폭탄과 어뢰에 대한 내성도 상당히 좋고 특히 주포탑이 생각보다 튼튼한편.
대신 대공능력이 너무 부족한 편이다. 현재는 엠덴과 함께 초기 경순양함 최강자중 하나.
초창기에는 수리비가 투포보다 비싼 4만원대 였던적도 있었다고 한다.
공식 소개 링크: https://warthunder.com/en/news/5940-development-kms-k%C3%B6ln-the-teutonic-ironclad-en

5.2. 라이프치히 (1944)


포탑이 중앙선에 정렬되있다. 쾰른보다 대공능력이 어느정도 나아진 편이다.

5.3. 뉘른베르크 (1944)


공식 소개 링크: https://warthunder.com/en/news/6075-development-kms-nürnberg-the-seasoned-sea-dog-en
라이프치히급의 2번함으로 떡장에다가 레이더도 달렸는데 아직 구현은 되지 않았다.

6. 5랭크



6.1. 어드미럴 히퍼 (1942)


이름만 중순양함이지 그냥 대포 큰 경순이었던 후루타카와 다르게 제대로 된 중순양함이 나왔다 이게 어째서 5.7 BR인지가 궁금할 정도.
압도적인 화력과 탄속으로 브루클린에게서 최강자의 자리를 뺏어오..나 싶었지만 심각한 문제가 있다.
연사속도가 좀 느리긴 하지만 그거야 8인치 포니까 당연한거고 진짜 문제는. 수치로는 드러나지 않는 물장갑.
분명 수치상으로는 6인치 고폭탄을 튕겨내며 무쌍을 찍어야 하는데 이상하리만큼 6인치급 고폭탄에 탄약고가 유폭되는경우가 많다.
물론 철갑탄으로 맞으면 바로 유폭이다. 상갑판도 브루클린보다 두껍긴 한데 그래도 6인치 고폭탄을 막을순 없다. 주 라이벌인 브루클린급은 탄속 문제로 고각포를 날려댈때가 많기 때문에 여기가 뚫리는 경우가 많다.
대공능력도 조금 부족한게 기관포는 많이 달려있지만 장거리 대공포가 부족하기때문에 뇌격기에 좀 약한 편. 급강하 폭격기 같은 근접공격기에겐 20mm 샤워로 격추시킬수 있지만 이쯤 되면 다들 급강하 폭격기 대신 뇌격기를 쓰거나 초고고도 폭격을 때리기 때문에 …. 당연한 이야기지만 VT신관이 아니라 시한신관이다.
때문에 가능한 장거리에서 빠른 탄속을 믿고 포격을 해야 하며 괜히 근접하며 싸웠다간 브루클린같은 동급함선의 6인치 포탄 샤워에 유폭당하기 쉽다.

6.2. 어드미럴 그라프 쉬페 (1939)



1.95 패치로 추가되었다.
워 썬더에서 최초로 전함이 사용하는 포를 달고 나왔으며, 샤른호르스트급 전함이 사용하는 283mm 주포 6문으로 무장하고 있다. 어드미럴 히퍼는 물론 다른 순양함을 충분히 압도할 수 있는 사거리와 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대공무장도 무시하지 못할 수준이다.
철갑탄은 현재까지는 무슨 표적을 쏘든 과관통이 일어나기 때문에 주로 HE와 SAP로 전투하는 것이 좋다. 20km 밖에서도 순양함 상대로 명중탄이 나오며, 이게 뜨면 상대 팀은 그라프 쉬페를 잡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아군은 최대 전력인 쉬페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단점으로는 부족한 기동성과 연사력이 있다.

6.3. 베스트팔렌 (1916)


New Power 업데이트로 추가된 노급 전함이다

6.4. 헬골란트 (1911)


New Power 업데이트로 추가된 노급 전함이다
=== 카이저급 전함 (1912)===
워썬더 데브서버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중순양함들이 New Power이후로 지금도
전함하고 매칭되서(...) 고생인데 또 전함이 추가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