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스터

 

Waster
1. 개요
2. 합성수지 웨이스터
3. 극도로 좁아진 웨이스터의 입지


1. 개요


서양검 모양의 목검. 현대 서양 검술계에서 '''창작'''된 훈련용 도구이다.
동양에서는 훈련도구로 목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서양검 목검은 역사적으로 사용된 예가 없었다. 정확히는 고대 로마군의 검술 훈련을 묘사한 사료인 De Re Militari에서도 글라디우스 목검을 이용한 훈련이 묘사되고 있어서 아예 없었다고는 할 수 없으나, 사료상으로 체계적인 검술 체계를 알 수 있는 중세/르네상스, 그리고 근대 서양 검술 체계에서 검 모양을 모사해서 만든 목제 도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가죽이나 나무로 만들어진 두삭(Dussack)이라는 메서훈련 도구가 있었으나 진검과는 동떨어진 외양을 가진 것이었고, 근대 시대의 세이버 검술, 브로드소드 검술 훈련 도구인 싱글스틱(Singlestick)은 단순한 목봉이었다. 이처럼 서양 검술 전통에서 목검의 사용은 없었으며, 롱소드 검술피더슈비어트, 스몰소드 연습도구인 플뢰레 등 강철로 만든 블레이드를 가진 연습 전용검으로 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들어 태동하기 시작한 중세 르네상스 검술 복원 움직임에서는 번역된 검술 사료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알려진 경우라도 엄연히 철제 검인 피더슈비어트 등으로 훈련한다는 것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두가지 방향으로 도구가 만들어지게 된다. 첫번째는 이미 기존 SCA나 LARP[1] 등에서 활용하던 스폰지 검을 사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동양무술의 모습을 따라 서양검 모양의 목검을 제작하여 훈련에 사용하는 것이며 후자가 웨이스터의 탄생이 된다.[2]
웨이스터라는 이름은 사용할 때마다 '''너무 쉽게 부러지고 깨져나가서 쓰레기(Waster)같다'''는 데서 붙은 자조적인 별명. 하지만 그렇다고 절대 어설프게 만들지 않는다. 오히려 국내에서 판매되는 저렴한 목검들에 비해 훨씬 무겁고 튼튼하게 만들어진다. 현대 서양검술계의 목적이 중세검술의 완벽한 재현과 향유이므로 진검의 대용품으로써 가능한 한 무거울 것을 요구받기 때문에 격렬한 격검에도 버티며, 비중이 무거워 진검과 비슷한 체적에 비슷한 무게가 나와야 하므로, 가장 단단한 경목(勁木)인 히코리를 사용한다. 장식적인 목적으로 가드나 퍼멀(Pommel)등에 체리나무나 오크, 메이플 등을 사용하는 옵션을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진검과 비슷한 좋은 밸런스를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에 미달하는 웨이스터는 서양 검술계에서 인정받지 못한다. 국내에서 팔리는 700g 이하의 목검들이나, 소진목도라고 불리는 훈련용 중량목도들은 웨이스터의 기준에 미달하는 것들이다.
이러한 점을 충족시키려다 보니, 스틸 블런트나 페더슈베르트보다는 당연히 싸지만, 국내에서 팔리는 목검 종류보다는 압도적으로 비싸다. 보통 100달러 전후의 가격대를 형성한다. 좋은 것, 즉 진검과 가까운 무게와 무게중심까지 지닌 것은 100달러를 넘기기까지 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목제 웨이스터는 하도 격렬하게 격검하고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니, 아무리 천하의 히코리를 사용해봐야 결국은 결따라 쪼개지고 갈라져 부러지는 일이 생긴다. 이래서 웨이스터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다. 물론 테이프를 감으면 원래 수명보다 훨씬 오래가지만, 그럴 경우 패리(Parry)나 바인딩 시의 감각이 왜곡된다는 이유로 지양하는 것이 일반적인 권고이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근본적인 개선을 시도한 것이 나왔는데, 그것이 바로 합성수지 웨이스터이다.

2. 합성수지 웨이스터


합성수지는 플라스틱 계통의 고분자화합물이다. 합성수지 웨이스터에 쓰이는 재질은 PP(폴리프로필렌), MC Nylon(MC 나일론) 등이다. PP나 나일론 같은 수지들은 거의 부러지지 않고 인장강도가 매우 강하며 비중이 높으므로 웨이스터로써 성공적인 대체품이 되리라 생각하여 몇년 전부터 서양 검술계에서 활동하던 몇몇 개인 제작자들이 만들어 사용하고 개인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image]
(Eric Winkler의 나이롱 웨이스터 탄성 시범)
처음에는 높은 비중과 튼튼함, 목재의 높은 소모성을 대체할 물건으로 주목받았지만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 전까지는 드러나지 않던 문제점이 등장하게 되는데 첫째는 칼끼리 격검할 때 탄성이 너무 좋아 퉁퉁 튕긴다는 점, 그리고 표면의 마찰력이 부족해 진검이나 목제 웨이스터보다 훨씬 빨리 미끄러진다는 점이었다. 사소한 점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진검의 대용품으로써의 역할을 강조하는 웨이스터에 있어서는 중요한 점이 불합격이었던 것이다.
무게 문제도 있었는데 합성수지만으로 진검 무게에 가깝게 가능하리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했고 진검과 같은 길이라면 실제 진검보다 300~400g이상 가벼운 경우가 발생했는데 이는 진검의 특성을 제대로 재현할 수 없다는 뜻이었기에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가격도 100달러 정도로 싸다고 할 수 없었던만큼 ARMA같은 단체에서는 점차적으로 이러한 합성수지 웨이스터의 사용을 줄이고 목제 웨이스터와 스틸 블런트, 페더슈베르트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편이다.
더군다나 내구성도 생각처럼 무적이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는데, 목재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튼튼하지만, 여름이 되면 열을 받아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겨울에 사용할 경우 부러지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업체들마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결국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만 드러내고 끝났다. 애초에 사용하는 재질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같은 합성수지인 이상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다만 목제 웨이스터에 비하면 비교적 안전하다. 목제는 단단한 히코리 나무로 만들고 무게도 제법 있으며 두껍기까지 해서 타격시 상당한 부상과 후유증을 남긴다. 탄성이 전혀 없으니 몸에 그 충격을 그대로 전달해서, 작은 타격만 맞아도 위치가 안 좋으면 굉장히 오래간다. 찌르기는 실질적으로 큰 부상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나무로 만들어서 안전하다는 것은 현실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 오랜 경험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반대로 합성수지 웨이스터는 엄밀하게 검리의 구현에서는 악재로 작용하는 탄성이 안전성에서는 좋은 역할을 한다. 충격을 칼에서도 흡수하므로 타격에 의한 부상이나 후유증은 훨씬 덜하다. 이런 점 때문에 초보자도 심리적 부담감을 덜면서 대련이나 훈련에 쓸 수 있다.
이런 점을 이용해 아예 물성을 부드럽게 만들어 LARP나 재미 삼아 대련하는 라이트 유저들을 대상으로 나온 로울링 플라스틱칼이라는 제품도 나왔다. 롱소드, 아밍소드, 메서나 세이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나왔고 여러 부품을 자유롭게 갈아끼우게 만들어서 히트를 치고 있다.
하지만 역시 검리적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초창기의 기대와는 달리 그 입지는 전혀 크지 않다. 그리고 실제로는 페더슈베르트가 철검임에도 불구하고 합성수지 웨이스터 못지 않게 안전하며, 합성수지 웨이스터는 역사적 도구가 아니지만 페더슈베르트는 역사적 도구라는 점 때문에 어느정도 진지하게 하면서도 안전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페더슈베르트를 쓴다. 이런 점 때문에 진지한 서양 검술계에서는 점차 입지가 좁아지고 있으나, 반대로 LARP같은 곳에서는 물성을 부드럽게 만든 로울링 플라스틱 웨이스터의 발매를 통해 라이트 유저 대상으로 점차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3. 극도로 좁아진 웨이스터의 입지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웨이스터는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2016년 현재 웨이스터를 제작하던 업체들의 매출은 크게 줄어들어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피더슈비어트의 안전성이 검증되어 대량 보급된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다. 본문에도 나와 있듯이 웨이스터의 등장은 철제 장비로 훈련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보다 안전하다고 생각된 목검을 참고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했을 때 웨이스터는 손상률도 높았지만[3] 단단해서 충격을 받으면 튕겨나가고, 몸을 가격했을때 타박상을 입히는 특징이 있어 진검술과의 괴리, 부상 여부에서 결코 특별히 나은 것도 아니었다는 것이 문제였다.
피더슈비어트는 중세-르네상스 시대의 안전 훈련장비답게 강철제라는 심리적 저항을 극복하고 사용해보니 타격력도 낮았고 수명도 웨이스터에 비하면 훨씬 오래갔기 때문에 진정한 고효율 역사적 장비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여기에 피더슈비어트 대련에 필요한 수많은 대련 장비 개발에 기존 펜싱 장비 업체들이 뛰어들었다. 이로 인하여 서양 검술 훈련에서 장비의 패러다임은 완전히 피더슈비어트를 중심으로 한 수많은 펜싱 방어장비들로 넘어간 상황이다.
그래서 기존 웨이스터 업체들은 더이상 목제 웨이스터에 집중하지 않고 곤봉, 창, 그리고 지팡이술의 다양한 지팡이 제품이나 싱글스틱 같은 역사적 목제 장비들, 그리고 초보자용 도구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합성수지 웨이스터나 기타 가죽장비, 그리고 철제 피더슈비어트나 방어장비들의 종합 유통업체로 체질을 개선하며 생존을 꾀하고 있다. 확실한 것은 웨이스터는 2000~2010년간의 10여년간 호황을 맞이했으나 향후 시장 재장악은 매우 힘들다는 것이다.

[1] 롤플레잉 게임을 실제로 역할을 나누어 하는 장르. 적극적인 역할 참여를 가진 상황극 놀이에 해당된다. 미국/유럽에서는 상당한 시장을 형성한 역사깊은 부문이다.[2] 현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지만 죽도에 크로스가드와 퍼멀을 달고 등줄을 제거하여 서양검처럼 만드는 방식도 유행했었다.[3] 손상률 자체는 많이 줄어들고 있었다. 퍼플하트 아머리의 경우 임팩트 그레이드 히코리를 엄선함으로써 파손률을 크게 낮추기도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