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명나라)

 

李贄
1527년 ~ 1602년
1. 소개
2. 생애
3. 사상
4. 기타


1. 소개


중국 명나라의 사상가이자 비평가. 호는 탁오(卓吾).

2. 생애


양명학과 당시 그가 살던 천주(泉州)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영향을 받아 유심론을 주장하며 형식적 교리와 예절에 반대했다. 또한 도덕지상주의를 비판하고 능력주의를 호소하였으며 《수호전》, 《금병매》 등의 서민 문학을 높이 평가하였다. 저서에 《분서(焚書)》[1] , 《장서(藏書)》 등이 있다. 결국 75세에 혹세무민의 죄로 감옥에 잡혀들어가고 시자(당시 감옥에서 면도를 해주는 사람)의 칼을 잠시 빌린다고 하더니 그대로 목을 그어 자결하여 생을 마친다.

3. 사상


이탁오의 사상은 '''동심(童心)'''을 중시한다는 것이 그 핵심이었다. 이는 당시 유가의 변질에 의한 것이었는데, 2000년 전 공자가 남긴 말을 후대의 학자들이 각주에 해설에 또 각주를 다는 등… 말 한마디에 해설본만 몇십권이 나오는 상황이었다.
차라리 해석이라도 제대로 했으면 다행일텐데 학자들은 당대의 정치인들과 결탁하고 해석을 백성들을 억압하고 자신들의 입지만을 위한 방향으로 만드는 일을 하였다. 예를 하나 들자면 공자가 여자에 대한 말한것은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어렵다" 이 한마디 였으나 수천년간 어마어마한 해석과 각주가 쌓이고 왜곡되어서 우리가 흔히 유가에 대해 생각하는 가부장적인 제도, 열녀라는 병폐가 생겨났다. 이탁오는 이러한 상황을 나이 50세에 정확하게 파악하고 공자에 대한 후대의 해석을 중요하게 볼것이 아니라 공자의 동심 즉 공자가 남긴 말만을 중요하게 보자고 주장하였다. 이때 비판이 매우 신랄한데 난장이(나 자신)가 키가 작아 보지도 못하는 굿(공자)을 '남들[2]이 좋다고 하면 그저 나도 좋다고 따라한 것 밖에 되지 않았다'라고 하거나 '나는 그저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으면 따라 짖는 개에 불과했다'라고 하는등의 말을 남겼다.
이렇게 이탁오는 유가[3]가 인간성을 억제하고 다양한 각주가 통치자들에게 이용만 될 뿐이라면서 탈유가를 주장하였다.
또한 이탁오는 성인들의 동심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동심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상대가 지위가 높은 제상이라도 동심이 없으면 존경하지 말고 상대가 지위가 낮은 하인이라도 동심에서 나온것이면 나 자신을 낮추고 절 하라고 하였다.
이렇게 나온책들이 《분서(焚書)》와 《장서(藏書)》였고 이 책들은 당시에 이단이라면서 유학자들의 엄청난 비난을 받는다.게다가 여성에 대해 자유롭고 진보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이었는데 여자의 식견이 짧다는 통설에 반대하고 '''여자와 남자는 단지 생물학적 형태의 차이이지 보는 것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4]
하지만 주위의 따가운 시선을 견디지 못한 매담연은 자살하고, 이탁오가 여성들을 희롱한다는 등의 유언비어가 도는 등 가뜩이나 높으신 분들의 심기를 건드려서 눈엣가시인 상황에서 이 행동이 결정타가 되어 장문달이라는 유학자가 탄핵 상소를 올려 이탁오를 체포하고 간행된 책은 모두 태워버리라는 황명이 내려진다. 결국 감옥에서 자살하여 생을 마치지만 그의 사상과 책들은 사라지지 않고 오늘날에도 전해지고 있다.

4. 기타


훗날 청나라 시절 사람인 모종강과 함께 삼국지연의 판본인 '이탁오 선생 비평 삼국지(일명 '이탁오본')'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친어머니가 페르시아계 이란인이다. 다시 말해서 황백혼혈이다.
[1] 제목의 의미는 태워질 책이라는 의미로 자신의 책이 불태워질 것이라 예상해서 지은 제목이다. 그리고 실제로 일어난다.[2] 공자의 말에 해석본을 쓴 후대의 학자들.[3] 공자가 남긴 것이 아닌 후대에 의해 덧붙여져 세워진 유가를 의미.[4] 실제로 이탁오는 당시에 매담연을 비롯한 여성 제자들을 양성하고 그들과 함께 공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