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춘

 



林椿
?~?
고려 중기의 문인
1. 개요
2. 생애
3. 작품


1. 개요


고려 중기의 문인으로 자는 기지(耆之), 호는 서하(西河). 예천 임씨의 1대 시조이다.

2. 생애


고려 건국공신의 후예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할아버지 임중간(林仲幹)[1]과 상서(尙書)와 좌의정을 지낸 아버지 임광비(林光庇)[2] 및 한림원학사를 지낸 큰아버지 임종비(林宗庇)[3]에 이르러 구귀족사회에 문학적 명성으로 기반이 닦여 있었다.
임춘은 일찍부터 유교적 교양과 문학으로 입신할 것을 표방하여 고려 초기에 이미 상당한 명성을 얻었으나 20세 전후 무신정변 시기에 가문 전체가 화를 입었다. 그는 겨우 피신하여 목숨은 부지하였으나 조상 대대의 공음전(功蔭田)까지 전부 탈취당하여 가문이 몰락하였다.
그는 개경에서 5년간 은신하다가 가족을 이끌고 영남지방으로 피신하고 약 7년 여의 타향살이를 하였다. 그런 생활 중에서도 당시 정권에 참여한 인사들에게 벼슬을 구하는 편지를 쓰는 등의 자천(自薦)을 시도하였다. 다시 개경으로 올라와 과거준비까지 한 적이 있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실의와 빈곤 속에 방황하다가 일찍 죽고 말았다. 생몰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문헌에 근거하여 분석해 보면 의종 무렵에 태어나 30대 후반까지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임춘은 끝내 벼슬길에 오르지는 못하였지만 현실인식의 태도에 있어 유자(儒者)로서의 입신행도의 현실관을 견지하였다. 남달리 불우하였던 생애를 군자의 도로 지켜가고자 하였다.
이인로(李仁老)·오세재(吳世才) 등과 함께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서 한문과 당시(唐詩)에 뛰어났다. 죽림고회(竹林高會) 벗들과는 시와 술로 서로 즐기며 현실에 대한 불만과 탄식을 하였다. 그러면서 자신의 큰 포부를 문학을 통하여 피력하였다.
임춘의 시는 강한 산문성을 띠고 있다. 그리고 거의 그의 생애의 즉물적 기술이라 할 만큼 자신의 현실적 관심을 짙게 드러내고 있다.
그의 문집인 서하집은 오랫동안 잊혀졌다가 조선 효종 때인 1656년 청도군 운문사에서 발견된 청동 항아리(보물 제 208호 청도군 운문사 동호) 속에서 발견되어 간행되었다.

3. 작품


[1] 부안 임씨 1대조인 임계미(林季美)의 5대손이다. 벼슬이 태성문시위 보승낭장원외랑 황평랑중에 이르렀다. 여진족이 정주에 진입했을때 전홍정과 같이 토벌하여 평정하였다는 기록이 동국병감에 실려있다.[2] 의종조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좌의정에 이르고 시호는 문정공이며 신룡위보승랑장 도항사경을 역임하였다.[3] 임종비의 큰아들인 임우(林祐)는 1214년(고종 1)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이 좌윤에 이르렀다. 거란과 몽골이 침입했을 때 여러 차례 출정하여 공을 세우고 중부상서(中部尙書)가 되었고, 그 후 몽골군이 개경에 침입하여 왕이 파천할 때 호종한 공으로 울릉군(蔚陵君)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이 울진을 본관으로 삼아 울진 임씨의 중시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