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퍼텐셜
1. 개요
'''Magnetic potential'''
전기장에서 퍼텐셜을 도입하였듯, 비슷하게 자기장에서도 퍼텐셜을 도입한 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정자기학 조건에서의 자기 퍼텐셜을 다루며, 정자기학에서 자기 퍼텐셜을 언급하면 거의 "자기 벡터 퍼텐셜"'을 말하며, 그 외에도 특정한 조건에서 정의되는 "자기 스칼라 퍼텐셜" 두 가지가 있다.
2. 자기 벡터 퍼텐셜
자기장은 일반적으로 발산이 0인 비발산장이다. 즉,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B}=0 $$
$$ \displaystyle \mathbf{B}=\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
2.1. 유일성 여부
이때, 어떤 스칼라 $$\Phi$$에 그레이디언트 연산을 취했을 때,
$$ \displaystyle \mathbf{A'} \equiv \mathbf{A}+\boldsymbol{\nabla} \Phi $$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boldsymbol{\nabla} \times(\boldsymbol{\nabla} \Phi) $$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
2.2. 방정식
앙페르 법칙에서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B} = \mu_{0} \mathbf{J} $$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 = \mu_{0} \mathbf{J} $$
$$ \displaystyle \nabla^{2} \mathbf{A}- \boldsymbol{\nabla}(\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A}) = -\mu_{0} \mathbf{J} $$
$$ \displaystyle \nabla^{2} \mathbf{A(r)}= -\mu_{0} \mathbf{J(r)} $$
$$ \displaystyle \nabla^{2} A_{i}(\mathbf{r})= -\mu_{0} J_{i}(\mathbf{r}) \qquad (i=x,\,y,\,z) $$
$$ \displaystyle A_{i}(\mathbf{r})=\frac{\mu_{0}}{4 \pi} \int \frac{J_{i}(\mathbf{r'})}{\xi}\,dV ' \qquad (i=x,\,y,\,z) $$
$$ \displaystyle \mathbf{A(r)}=\frac{\mu_{0}}{4 \pi} \int \frac{\mathbf{J(r')}}{\xi}\,dV ' $$
2.3. 자기 선속과의 관계
어떤 면적 $$S$$를 지나가는 자기 선속(Magnetic flux) $$F$$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displaystyle F=\iint_{S} \mathbf{B} \boldsymbol{\cdot} d \mathbf{a} $$
$$ \displaystyle F=\iint_{S}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boldsymbol{\cdot} d \mathbf{a} $$
$$ \displaystyle F=\oint_{C} \mathbf{A} \boldsymbol{\cdot} d \mathbf{l} $$
2.4. 경계 조건
[image]
위 그림과 같이 매질 I, II를 고려하자. 정자기학에서 쿨롱 게이지 조건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mathbf{A}=0 $$
$$ \displaystyle \oiint_{S} \mathbf{A} \boldsymbol{\cdot} d \mathbf{a}=0 $$
$$ \displaystyle \oiint_{S} \mathbf{A} \boldsymbol{\cdot} d \mathbf{a}=[\mathbf{A_{2}}\boldsymbol{\cdot} \hat{\mathbf{n}}-\mathbf{A_{1}}\boldsymbol{\cdot} \hat{\mathbf{n}}]\,l=0 $$
$$ \displaystyle \mathbf{A_{1}}\boldsymbol{\cdot} \hat{\mathbf{n}}=\mathbf{A_{2}}\boldsymbol{\cdot} \hat{\mathbf{n}} $$
이번엔
$$ \displaystyle F=\oint_{C} \mathbf{A} \boldsymbol{\cdot} d \mathbf{l} $$
$$ \displaystyle \oint_{C} \mathbf{A} \boldsymbol{\cdot} d \mathbf{l}=[\mathbf{A_{2}}\boldsymbol{\cdot} \hat{\mathbf{t}}-\mathbf{A_{1}}\boldsymbol{\cdot} \hat{\mathbf{t}}]\,l $$
$$ \displaystyle \mathbf{A_{2}}\boldsymbol{\cdot} \hat{\mathbf{t}}-\mathbf{A_{1}}\boldsymbol{\cdot} \hat{\mathbf{t}}=0 $$
$$ \displaystyle \mathbf{A_{1}}\boldsymbol{\cdot} \hat{\mathbf{t}}=\mathbf{A_{2}}\boldsymbol{\cdot} \hat{\mathbf{t}} $$
따라서 두 성분이 모두 연속이므로, 위의 논의는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은 연속이어야 함을 얻는다. 즉,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 \displaystyle \mathbf{A_{1}}=\mathbf{A_{2}} $$
2.5. 자기 쌍극자의 자기 벡터 퍼텐셜
2.6. 관련 예제
3. 자기 스칼라 퍼텐셜
위의 자기 벡터 퍼텐셜은 자기장이 비발산장이기 때문에 정의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장도 특정한 조건에서는 비회전장을 만족하기 때문에 전기장처럼 스칼라 퍼텐셜을 도입할 수 있다. 앙페르 법칙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B} = \mu_{0} \mathbf{J} $$
$$ \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mathbf{B} =0 $$
$$ \displaystyle \mathbf{B} =-\mu_{0} \boldsymbol{\nabla} \Phi_{m} $$
4. 관련 문서
[1] 앞에 붙은 $$\mu_{0}$$는 자기장 세기#s-4.2 문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