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

 

1. 개요
2. 차단설
3. 오해


1. 개요


'''전신마취'''()는 일시적으로 중추 신경을 억제하여 온몸을 마취시키는 것이다.
전신마취의 경우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1시간 정도 수술하고 4시간 넘게 회복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마취가 풀린 뒤에도 보호자는 환자를 잠들지 않도록 해야 하고, 계속 숨을 들이키게 해야 하며, 기침을 유도시켜 인공호흡기로 인해 폐속에 쌓인 가래와 분비물을 빼주어야 한다. 만약 배출이 안 될 경우 폐렴, 또는 무기폐라는 질병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마취법이고 실제 사고 사례가 종종 생기다 보니 수술시 두려움이 느껴지는 마취법이다.

2. 차단설


전신마취란 의식의 소실을 포함하는 마취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술 할 때 사용하는 마취이다. 전신마취에 필요한 조건을 설명하는 이론이 '''차단설'''이다. 차단설은 '''의식'''의 차단, '''통증'''의 차단, '''근전도'''의 차단을 통해서 전신 마취가 이루어진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말하는 세 가지 요건을 위해 각각 필요한 약물이 투입된다.
'''의식의 차단'''은 그야말로 환자가 정신을 잃어야 한다는 것으로 전신 마취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이다. 생리적으로 우리가 만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의식을 잃은 상황은 잠을 자는 것으로 쉽게 말해 의식의 차단은 환자를 재우는 것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약물로 가스마취제나 프로포폴[1]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일부 내시경적 시술을 시행할 때 다른 차단하는 약은 사용하지 않고 의식의 차단만 이룬 채 시행하는데 이런 경우는 '''수면마취'''라고 한다. 참고로 수면 마취 중에는 통증이나 근전도는 그대로이므로 환자가 강한 통증을 받으면 움찔움찔하고 움직일 수가 있다. 그리고 잠꼬대 같은 것도 할 수 있기에 환자가 엉뚱한 말을 하는 등의 해프닝도 자주 생긴다. 수면 내시경 항목을 읽어보자.
하지만 의식의 차단만으로는 흉복부 수술 등의 강한 통증이 들어가는 수술을 할 수 없다. 누가 옆에서 탁 치면 잠에서 깨듯이 의식이 떨어진 환자도 아프면 깬다. 또한 통증에 대한 반응은 생각보다 훨씬 원초적인 생리 반응이라서 아무리 깊은 의식마취를 시행하고 근전도를 차단한다고 하더라도 피부 절개가 들어가면 혈압이랑 심박수가 상승한다. 그래서 의식의 차단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통증의 차단'''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 펜타닐, 레미펜타닐, 모르핀 같은 아편계 마약을 통해서 통증의 차단을 같이 시행하게 된다. 또한 수술 후 환자에게 남아있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증의 차단은 수술 후까지 이어서 시행하게 된다.
아무리 의식차단제와 진통제를 많이 쓴다고 해도 신경학적으로 환자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게 만들기란 쉽지 않다. 또한 프로포폴, 가스마취제, 아편계열 마약 모두 심장의 활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수술 중 활력 유지를 위해 높은 농도의 사용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불완전한 차단을 보완하고 수술 중 환자가 움직이는 것을 막아 환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근전도의 차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쉽게 말해 환자를 마비시킨다고 생각하면 된다. d-Tubocurarine 등 큐라레 계열의 약물이 흔히 쓰이는데, 아마존에서 독침 쏠 때 마비독으로 바르는 그거 맞다. 이런 근전도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스 마취제만으로 근육을 차단하려면 의식 소실에 필요한 양보다 과량의 마취제를 사용해야 하고, 그만큼 마취에서 풀리는 시간이 늦어지고 부작용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가끔 수술이 끝나고 환자를 깨울 때 의식은 돌아왔지만 근전도 차단이 안 풀리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환자는 '''가위 눌린''' 듯한 경험을 하게 된다.[2] 또한 이를 시행할 시 호흡근도 같이 마비되므로 전신마취 중에는 반드시 기관 내 삽관을 통한 인공호흡을 시행하게 된다. 가위에 잘 눌리는 경우나 다시 못 깨어날까 하는 생각에 두려워서 전신마취를 무서워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전신마취에 경험이 없다면 더더욱 무섭다.
이 기관 삽관 때문에 수술 후 얼마 동안 목감기가 심하게 걸린 것처럼 목이 아프고 가래가 나올 수 있는데 겪으면 상당히 짜증난다.
수술을 할 때 잠이 쏟아지는 느낌을 받았다가 깨어날 때쯤 되면 머리가 멍하고 무거운 느낌이 든다. 이는 마취 가스가 아직 몸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순간적으로 어지럽거나,만취상태같이 혀가 꼬일수 있다.

3. 오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지어 전신마취로 수술을 받아본 사람들조차도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전신마취는 마취주사로 마취를 시킨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생각 때문에 생기는 오해로는
1. 마취사고는 마취과 의사가 마취제의 양을 잘못 계산하여 투여함으로써 생긴다.
2. 마취과 의사는 마취주사 한 대만 놓으면 땡이니까 의사 중에서도 가장 땡보일 것이다.
정도가 있는데 대개 전신마취는 마취주사뿐만 아니라 마취가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3] 수술직전에 투여되는 마취 주사는 마취를 준비하기 위한 일종의 수면제로서 이 주사의 효과는 몇분 지속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마취 주사로 잠이 든 사이 입을 통해 기도에 관을 넣고 이 관을 마취기계에 연결한다.[4] 마취기계는 산소와 마취가스를 섞은 기체를 환자에게 공급한다. 이렇게 돼야 진짜 마취가 시작된다.[5]
수술이 시작되고 피를 좀 흘리게 되면 환자의 혈압이나 맥박, 체온, 소변량 등도 변화가 온다. 마취과 의사는 이러한 환자의 상태(바이탈이라고 한다.)를 계속 예의 주시하면서 마취가스와 산소의 비율 등을 조절하고 피가 모자라면 수혈도 한다.
수술 중에는 변수가 굉장히 많다. 특히 장기이식처럼 규모가 크고 시간만 족히 12시간 내외인 수술일수록 변수가 많은데, 어떻게 수술 시간을 정확히 예측하고 주사만으로 마취를 하는 위험한 일을 할 수가 있단 말인가? 그리고 수술이 끝나면 마취가스를 잠그고 산소 공급 비율을 높여 환자가 깨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까지가 마취과 의사의 임무다. 즉 마취과 의사는 진료과목 중에서도 손에 꼽힐 만큼 힘들다. 일단 장기 수술 내내 환자 상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어야 하니 수술 담당 외과의 이상으로 체력이 소모된다. 그리고 수술이 끝나면 외과의는 쉴 수 있지만 마취과의는 마취 깰 때까지 계속 붙어있어야 하니, 근무시간이라는 측면에서는 그 힘들다는 외과의보다 더 힘든 셈. 한마디로 외과의사가 수술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환자의 상태를 수술받기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고 수술 후에 완벽히 마취에서 회복되는 것까지 전부가 전신마취의 과정에 포함되는 것이다. [6] 물론 환자가 병실로 올라가면 마취과의 임무는 끝난다.
여담으로 드라마나 영화 같은 데선 전신마취 들어갈 때 숫자를 잘 세지만, 실제로는 약발이 끝내주기 때문에 셋을 넘기기 전에 의식이 날아간다고 보면 된다. --김블루의 체험담Can Nick stay awake for more than 6 seconds?[7][8]

[1] 일명 우유주사.[2] 보통은 일어나지 않으나 미숙한 인턴이 환자를 깨울 때 근전도 억제제를 역전시키는 약을 늦게 주든지 하면 충분히 생길 수 있다.[3] 주사약만으로 전신마취를 할 수도 있긴 하다. 프로포폴을 적은 농도로 일정하게 투여하는 방법이 그것[4] 이 과정을 기도삽관이라고 하는데, 기도 확보가 어려운 환자, 예를 들어 임산부나 말단비대증 환자, 턱이 작은 환자 등은 기도확보가 어려워 사고 가능성이 크다. 이것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 그리고 예측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결하는 것이 마취과 의사의 역할이며, 쉬운 일이 아니다.[5] 마취 경험자의 말을 들어보면 주사를 맞고 가스를 한두 모금 들이쉰 다음에 의식이 없어졌다가 깨어나면 시간이 한참 지나있고 수술이 끝났음을 알게 된다고 한다. 정말로 기억이고 뭐고 눈 감았다 뜨니 끝이다. 참고로 어지간하면 전부 5초 안에 마취가 된다. 다만 마취 가스 흡입이 약간 고통스러울 수도 있다. 마취가스가 여간 독한 게 아니라서... 그래서 힘들다고 하면 마스크를 떼고 입과 조금 떨어지게 두어서 들이쉬게 해주기도 하니 참고하자. 본인이 해봤을 때에는 수술실에서 주사약을 주입하고 인공 산소 호흡기로 추정되는 기계로 호흡을 하면 어느 순간 일어나면 회복실에 있다고...... 다만 정신만 깨어나고 다른 장기 등은 완전히 깨어나지 않아서 말은 잘 안 나온다고 한다. 물론 주사를 놓고 가스를 느끼기도 전에 잠드는 사례가 더욱 많다. 경험자) 마취가스를 들이마시면 뒷통수가 따끔따끔하면서 몸이 나른해진다 세번 정도 들이마시면 깨꼬닥이다[6] 마취의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는 작품으로는 의룡이 있다.[7] 거짓말 아니고, 눈 감고 숨 들이쉬고 내쉬다 보면 갑자기 수술 부위가 몹시 아프고 입에는 목구멍 깊은 곳까지 꽃혀진 튜브를 물고 있거나 산소마스크를 쓰고 있는 자신을 볼 수 있다.[8] 꿀잠자고 있는데 깨워서 아쉬워할 수도 있다. 꿈까지 꾸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