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image]
1. 개요
2. 내용
3. 바깥고리
4. 보물 제459호


1. 개요


堤川 長樂洞 七層模塼石塔.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10세기 경, 현 충청북도 제천시 장락동 창락사(蒼樂寺) 터에 조성된 모전석탑.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 장락동 65-2번지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459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현존 높이 9.1m.
전탑을 모방하여 만든 모전석탑으로 당시 신라인들이 회흑색의 점판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은 후 이를 쌓아 건축한 것이다. 문화재청 등의 설명에 따르면 현 제천시 장락동 일대에 있었던 신라시대 고찰 창락사(蒼樂寺)에서 조성한 탑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실 창락사(蒼樂寺)라는 사찰명은 주변 지역 주민들을 통해 전해내려오는 명칭이고, 본 모전석탑을 세운 사찰의 정확한 명칭은 확실히 알 수 없다. 일단 석탑의 북쪽과 서쪽 지역에서 3개 동의 건물지와 추정 담장지 유구가 확인되었고, 그중 건물지 유구에서 삼국시대 승문평기와 및 선문평기와, 그리고 통일신라 시대의 선문평기와 격자문평기와가 출토되어 일단 이곳에 신라시대 고찰이 존재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는 탑의 동쪽 부분에 장락사라는 절이 새로 들어섰다.
연구에 따르면 이 사찰은 삼국시대에 처음 창건되어 조선 중기까지 존속하다가 17세기 경에 폐사되었다고 한다. 남한강 유역의 다른 절터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에 특히 크게 번창했으며, 이 시기에 조성된 유물들이 가장 많이 출토되고 있다.
[image]
이 모전석탑은 총 7층에 이르는 대형 탑으로, 다른 모전석탑과 비교했을 때 각 층의 줄임 비율이 적당하여 장중한 기풍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외형 또한 일반 전탑과 매우 흡사하다. 탑의 전체적인 비례가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조각수법도 양호한 편이다.
[image]
감실이 있는 1층 기단부의 모습. 자연석으로 쌓았으며 모퉁이에는 화강암으로 된 돌기둥을 세웠다. 탑의 남쪽면과 북쪽면에는 화강암으로 문기둥 2개를 세우고 이맛돌을 얹은 높이 1.37m, 너비 1.08m 크기의 네모난 문을 만들어놓았는데, 현재는 이 중 남쪽면의 문이 사라진 상태다. 그리고 석탑 맨 윗부분의 경우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가 존재했었으나 이것 또한 현재는 사라진 상태다. 1967년에 7층 지붕돌 윗면에서 꽃 무늬가 뚫새김된 청동 조각이 발견되었으므로, 원래는 석탑 정상부에 청동으로 만든 상륜이 분명 있었을 것이다.
[image]
원래 이 정도 규모의 탑에는 사리장엄구 및 각종 유물들이 봉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안타깝게도 이 탑에서는 해당 유물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아예 처음부터 봉안유물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고, 1967년 탑 수리 당시 5층 옥신부에서 길이 50~54㎝, 높이 31㎝의 부등변 사각형의 화강암 석재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심에 네모꼴의 사리장엄구 구멍을 만들어놓았음이 확인되어 이 탑을 처음 조성했던 당시 신라인들은 분명 사리공을 넣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도굴당한 것인지 완전히 사라졌다.
[image]
일반적으로 모전석탑은 수많은 석재들이 겹쳐져 결구되는 특성상 전탑보다 더욱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되는데, 특히 본 탑의 상태를 통해 그 강한 내구성을 확인해볼 수 있다. 지금으로부터 1,100년~1,200년대에 조성된 한국의 모전석탑으로 천년 전 원형 그대로의 모습으로 현대까지 전해지고 있어 당시 제천 지역의 석조공예술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1967년 6월 23일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3. 바깥고리



4. 보물 제459호


모전석탑이란 돌을 벽돌모양으로 깎아 쌓은 탑으로, 흙벽돌을 쌓아 올린 전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탑(模塼塔)이라고도 한다. 탑이 서있던 절터가 논밭으로 변하여 절의 규모는 알 수 없고, 7층에 이르는 거대한 이 탑이 주위를 압도하듯 버티고 서 있다.

회흑색의 점판암을 사용한 탑으로,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만은 점판암이 아닌 자연석으로 1단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벽돌로 이루어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은 부처의 사리나 불경 등을 모셔두는 곳으로, 1층의 네 모서리에는 점판암 대신 화강암을 다듬은 기둥을 세워 그 모습이 특이하다. 또한 남쪽과 북쪽면에 사리를 두는 감실(龕室:불상이나 사리 등을 모시는 방)을 설치하여 문을 달아 놓았는데, 현재 남쪽의 것은 없어졌다. 1층의 남쪽과 동쪽면이 몹시 부서져 있는데 이러한 피해는 2층의 지붕돌까지 이르고 있다. 각 몸돌을 덮는 지붕돌은 재료가 벽돌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 경사면 위아래 모두 층급을 두었으며 처마도 짧고 수평을 이룬다. 지붕돌의 네 귀퉁이에는 아래위로 구멍을 뚫어 풍경을 달도록 하였다.

탑의 머리부분에는 머리장식이 없어지고 장식받침인 노반(露盤)만이 남아 있는데, 그 윗면 한가운데에 동그란 구멍이 있고 구멍둘레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1967년 무너지기 직전에 탑을 해체하여 보수했는데, 7층 지붕돌 윗면에서 꽃무늬가 조각된 청동조각이 발견되어 혹 탑의 머리장식이 아닐까 한다.

탑신 전체에는 표면에 회를 칠했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어 주목된다. 만드는 형식이나 돌을 다듬어 쌓아올리는 수법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