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방공유도탄여단

 



'''제1방공유도탄여단'''
'''第一防空誘導彈旅團'''
'''The 1st Air Defense Missile Brigade'''
[image]
''''''
'''창설일'''
1955년 5월 12일(육군 제1고사포병여단)
1966년 6월 14일(제1방공포병여단)
1991년 7월 1일(공군 제1방공포병여단)
2014년 1월('''제1방공유도탄여단''')
'''상징명칭'''
'''수성대'''
'''소속'''
[image] 대한민국 공군
'''상급부대'''
[image]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
'''규모'''
여단
'''역할'''
남부권 지역 방공
'''여단장'''
대령 000(공사 00기)
'''위치'''
대구광역시 수성구

1. 개요
2. 상세
2.1. 부대연혁[1]
2.2. 부대마크 설명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제111방공유도탄대대
3.3. 제133방공유도탄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6. 사건사고
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방공유도탄여단이다. 대한민국 남부권 지역방공을 담당하는 부대. 본부와 예하 부대들은 전라, 경상 지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부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부 별칭은 수성대.

2. 상세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된 시기상의 이유로 본부가 교육사 예하 공군방공포병학교와 부대를 공유한다.[2] 본부와 예하 부대들은 후방 특성 등으로 인근 거주자들한테 꽤나 인기 있는 자대 선택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부는 대구에 위치한 여타 공군 부대, 예를 들어 대구 공군기지에 있는 대규모 부대들에 비해 편한 군생활과 괜찮은 교통 입지를 보장하고 있으며 공군방공포병학교에 비해 덜 알려져 있어 메리트가 크다. 이런 사유로 집에서 멀어도 일부러 여길 오는 사람도 간혹 있다. 하지만 러시아나 중국기가 나타난다면 실상황을 종종 겪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방공포 이외 특기들은 전혀 관련 없다.
여단중에서 가장 후방이라는 점 때문에 보통 준장이 보임되는 제2방공유도탄여단제3방공유도탄여단과 달리 지휘관으로 대령이 보임된다.

2.1. 부대연혁[3]


  • 1955. 05. 12. 육군 제1고사포병여단 창설
  • 1966. 06. 14. 제1방공포병 여단 개편
  • 1991. 07. 01. 공군 제1방공포병여단 창설(전군)
  • 2008. 10. 27. 수성 패트리어트 포대 창설
  • 2009. 02. 대구 패트리어트 포/정비대 창설
  • 2014. 01. 제1방공유도탄여단 명칭 변경
  • 2015. 09. 국산지대공미사일인 '천궁' 전력화
  • 2019. 12. 111대대/133대대 재창설

2.2. 부대마크 설명


[image]
부대마크
별, 미사일
별은 제1방공유도탄여단을 상징하며 미사일은 방공포병의 핵심 무기체계를 상징
방패
적 공격에 대한 완벽한 방어태세를 의미
독수리
대한민국 영공방위의 굳은 의지를 표현
바탕색
대한민국의 푸른 영공을 표현
부대 별칭 '철매'의 의미
쇠로 무장한 매가 적기를 신속·정확하게 격추하겠다는 '날렵한 방공무기'를 상징
적기를 옭아매는 공포의 대상으로 방공 주력부대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내포
예리한 매의 눈은 레이다로 영공을 침범하는 모든 적기를 포착, 추적, 격추하겠다는 필승의 신념을 의미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제111방공유도탄대대


정비대
예하 X개의 방공유도탄포대

3.3. 제133방공유도탄대대


정비대
예하 X개의 방공유도탄포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


'''역대 제1방공유도탄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00대
권영재
대령
공사 00기
여단장

00대

대령

여단장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6. 사건사고


2005년 11월 1일대구 달성군 논공읍 본리 구마고속도로(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상행선 달성 2터널에서 발생한 화재와 폭발사고.


7. 여담



[1] 출처 월간공군 2020년 8월호[2] 여단장과 학교장이 주로 대령이 보임되다 보니 알게 모르게 지휘관 간 신경전도 조금은 있는 편이나 단급 지휘관인 여단장이 전대급 지휘관인 학교장보다 조금 우위에 있는 것도 사실. 병사들 간 생활관도 공유하는데 710대 기수 정도까지는 다툼도 있었으나 철저히 서로 남남 이다.[3] 출처 월간공군 2020년 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