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여, 이제는 여기에

 



1. 김민기의 곡
1.1. 창작 계기
1.2. 금관의 예수의 의미
1.3. 가사


1. 김민기의 곡



1.1. 창작 계기


1971년, 박정희긴급조치에 의해 운동권이 자주 열창했던 아침 이슬을 비롯한 김민기의 모든 음반, 앨범에 방송금지 처분이 내려졌다. 그런 그의 앞에 홀연히 김지하가 나타났고, 그는 김민기를 도우며, 때로는 야학 활동을 하기도 했다. 이후 김민기는 스스로 김지하로 하여금 '''"내겐 친형 이상이었다", "나에겐 한글의 생동성을 깨우쳐 준 사람"'''라고 묘사할 정도로 친해졌는데, 이후 2년 뒤인 1973년에 김민기가 김지하의 연극 금관의 예수에 쓰일 노래들의 작곡을 도우면서 창작된 곡이 바로 이 곡이다.[1] 이러한 행적을 통해 김민기는 연극, 희곡에 대한 가르침을 얻게 되고, 5년 뒤 노동 운동계에 길이 남을 명작과 그 후 다시 몇 년 뒤에는 대한민국 최다 상연 뮤지컬을 제작하게 된다.

1.2. 금관의 예수의 의미


천주교에서 금관의 예수는 예수에 대한 최대한의 영광을 나타내는 수식어이다. 물론 후술할 가사를 보면 알겠지만 이는 반어법이고, 이 노래에서의 '금관의 예수'는 '얼어붙은 벌판', '가난의 거리'의 '우리'가 자신들의 처지를 비관하며, 예수에 대한 조롱, 원망이 섞인 멸칭이다. 때문에 제목만 보고 이 노래가 찬송가인줄 알았던 이들은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와 예수를 원망하는 가사를 보고 이상함을 느끼는 경우도 더러 있다. 당장 유튜브의 금관의 예수 댓글을 봐도 찬송가인줄 알았는데 들어보고서 아니란걸 느끼게 된 사람 도 몇 있다.

1.3. 가사


얼어붙은 저 하늘 얼어붙은 저 벌판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저 가난의 거리 
어디에서 왔나 얼굴 여윈 사람들 
무얼 찾아 헤매이나 저 눈 저 메마른 손길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우리와 함께 하소서 ''
'''고향도 없다네 지쳐 몸 눕힐 무덤도 없이
겨울 한 복판 버림받았네 버림받았네'''
아 거리여 외로운 거리여 
거절당한 손길들의 아 캄캄한 저 곤욕의 거리 
어디에 있을까 천국은 어디에 
죽음 저편 푸른 숲에 아 거기에 있을까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여기에 우리와 함께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 우리와 함께 하소서 
'''''가리라 죽어 그리로 가리라
고된 삶을 버리고 죽어 그리로 가리라
끝없는 겨울, 밑 모를 어둠 못 견디겠네
이 서러운 세월 못 견디겠네
이 기나긴 가난 못 견디겠네
이 차디찬 세상더는 못 견디겠네
어디 계실까 주님은 어디
우리 구원하실 그 분
어디계실까 어디계실까'''
기울임체 처리된 부분은 아이들이 부르는 부분. 볼드체 처리된 부분은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고, 김민기가 무덤덤하게 말하는 부분. 혼자 부를 때는 이를 할 수 없어 볼드체 친 부분 없이 부른다. 대표적으로 양희은.

[1] 원주로 공연 가는 버스에서 즉석으로 작곡했다고 한다. 김지하와의 관계도 그렇고, 김민기의 천재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부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