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어법

 

1. 개요
2. 역설법
3. 용례
4. 여담
5. 위키위키의 경우
6. 주의사항
7. 관련 문서

/ Irony, Sarcasm

1. 개요


표현할 내용이 실제의 의미와는 반대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반대말로는 직설법이 있다. '강한 부정은 긍정'이라는 표현을 생각하면 더 쉽다.
예를 들어 표면적으로는 칭찬하면서도 원래의 뜻은 비난하는 경우와 표면적으로는 남을 비난하는 것으로 보지만 오히려 이 표현의 숨겨진 뜻은 남을 칭찬하려 하는 모순이 있다. '명령문'을 활용한 반어법은 그 중 가장 흔한 케이스인데, 이는 협박으로 인식할 수 있다.
비꼼(비아냥)과 비슷한 뜻이다.
영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다. 반어법과 역설은 여러 나라에서 자주 쓰이지만 영어권에서는 특히 더 일상적이다. 특히 고학력자가 남을 마구마구 비꼬는 능력이 출중한 경우가 많은데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주로 한 대 맞고 끝난다.
반어법은 청자가 화자의 말이 반어법인줄 모르는 경우가 흔하므로 '''매우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반어법을 진짜 칭찬으로 인식하는 사람들도 제법 많다. 반대로, 반어법을 자주 접하다보니 진심어린 칭찬을 칭찬으로 해석하지도 못하고 남을 비꼬는 비난으로 듣기도 한다.
어떤 것에 대해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척을 하는 화자는 제딴에는 반어법을 쓴답시고 사실 그대로를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 사람이 '퍽이나 그렇겠다' 했을 때는 진짜로 퍽이나 그렇다.

2. 역설법


반어법은 문장 자체의 논리에는 이상이 없지만 본래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와는 반대되는 의미의 말을 표현하는 것이고, 역설법은 말 안에서 서로 반대(모순)되는 표현이 상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릇을 깨뜨린 아이에게 '참 잘했다'고 하는 것은 정말로 잘했다는 것이 아닌 잘못했다는 의미이므로 반어법이다. 또 '못 하는 것이 잘 하는 것'이라는 표현은 말 안에서 '잘 한다'와 '못 한다'(모순된 표현)가 의미적으로 연결되어 역설법이라고 할 수도 있다.
나무위키에서도 역설법을 사용했다가 다른 사람이 오해해서 반대 내용으로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 수정된 것을 본 원래 작성자는 수정된 내용을 원래대로 바꾸자니 구질구질한 보충 설명을 추가해야 하고 놔두자니 자기 의도가 정반대로 나타난 것 같아 진퇴양난에 빠지곤 한다

3. 용례


디워는 재미없이 볼 수 없는 영화이다

-

뉴욕 타임스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저 가난한 과부는 모든 사람보다 더 많이 넣었다. 저들은 모두 풍족한 와중에 약간을 예물로 넣었지만, 저 과부는 궁핍한 와중에 가진 생활비를 다 넣었기 때문이다.

-

예수 그리스도성전 정화 중. (루가의 복음서 21장 3, 4절)

이럴 바에 다 죽을 테니 소수를 희생시켜 다수를 살리자. 아일랜드에서 수출품은 감자뿐이고 감자도 지금 흉작이니, '''갓 낳은 아기를 잉글랜드에 수출하는 게 어떻겠냐.''' 진미 좋아하는 귀족들에겐 이만 한 고기가 없을 테고, 아기 하나 가지고 최소한 3인분의 고기가 나올 테니 만찬으론 그만이다. '''내가 알기로는 겨울에 아기를 갈라 소금에 절여 속에 식히고, 후추를 좀 뿌리면 최고의 진미가 된다더라.''' 이렇게만 하면 아일랜드 빈민들의 식량문제가 해결되고 그와 동시에 아일랜드 놈들을 죽이고 싶어하는 영국의 문제도 해결 된다. <이하 생략>

-

조너선 스위프트의 겸손한 제안

매너 파일런

스타크래프트 의 견제법 중 하나.

아주 훌~륭하군요.

스타크래프트 2건설로봇에게 공격 명령을 내릴 때

'''오늘도 평화로운 중고나라'''

'''이 영화를 보고 암이 나았습니다.'''

-

클레멘타인 평가를 한 어떤 댓글러의 평가.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1]

김소월진달래꽃

"아주 굿이에요. 굿! 굿! 굿!"

하이킥 시리즈홍순창[2]

[3]

"굿? 오~ 굿을 허자....? 어! 그거 아주 굿 아이디어다."[4]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133화 신구.

'''나는 행복합니다'''

'''나는 행복합니다'''

'''나는 행복합니다'''

'''이글스라 행복합니다'''[5]

한화 이글스의 응원가. 팀이 만년 꼴찌를 달릴 시절에도 이 노래 때문에 팬들이 희망고문을 받았다. 하지만 김성근 재임 시절에도 팀 성적이 2015 시즌 초반만 빼면 8위나 9위였다. 게다가 투수들이 혹사당해서 드러눕는다. 하지만 2018 시즌에서는 '직설법'이 되었다고 믿었으나 다음 해 다시 원상복귀.

'''Long live the king'''/'''만수무강 하소서.'''

라이온 킹에서 스카의 대사.[스포일러]

'인조'[6]

Arbeit macht Frei(노동이 그대를 자유케 하리라)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정문에 걸린 표어.

"한 번만 떠들어봐라."

"그래 어디 한번 하고 싶은대로 해봐."[7]

"저는 일이 좀 남았으니까 먼저들 퇴근해요."

"얼마나 잘했길래 보고서가 이 모양이야."

"리얼자전차왕 엄복동은 천하의 김경식을 굴복시킨 띵작이다."

'''부모를 잘 만나서지.'''

기동전사 건담 12화 '지온의 위협'의 더빙판에서 나온 샤아 아즈나블의 명대사.[8]

원판에서는 '''"도련님이니까."'''라는 대사인데, 더빙판에서는 좀 더 직설적으로 비꼬는 느낌이 강해졌다.

"자랑이다 진짜."

꼭 사라

컴퓨터 본체 갤러리

Viva la Vida(콜드플레이)

콜드플레이의 노래 Viva la Vida의 뜻은 '인생이여, 만세'이나, 정작 가사는 몰락한 왕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혀 인생 만세를 외칠 상황은 아닌 셈.

2011년 할리우드 최대의 프로젝트

그린랜턴: 반지의 선택의 포스터 소개글

"아, 영국 요리 정말 맛있다."


4. 여담


반어법에 제대로 당한 사람들 중 한 명은 우중문이었다. 고구려의 명장인 을지문덕 장군이 우중문 등 수나라 장수들에게 경의의 표시로 우중문의 이름을 딴 시를 선물한 적이 있다.
창작물에서 반어법을 자주 사용하는 캐릭터로는 거침없이 하이킥풍파고 교감(배우 홍순창)을 예로 들 수 있다. 극 중 체육교사 이민용(배우 최민용)에게 '''성실한 이선생'''이라는 비꼬는 말투로 말한다.
나무위키에서는 삼국지의 장수들 중 하나인 하후무의 문서에 반어법이 잘 사용되었다.
비유법을 넣으면 효과가 더 좋다.
버스의 경우는 천안시 시내버스를 예시로 들 수 있는데, '승객을 친절히 모시겠습니다.'라는 슬로건을 달고 다니지만, 현실은...

5. 위키위키의 경우


  • 백괴사전위키위키에서 반어법을 가장 많이 애용한다. 반대되는 내용을 적어놓고 링크를 반어법으로 적어놓는다.

6. 주의사항


인터넷에서 반어법을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가끔 글의 내용을 읽지 못하고 제목만 읽거나 내용을 읽어도 반어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9] 과자 과대포장을 비판하는 기사
창작물에서도 반어법은 정말 잘 써야만 효과와 주제를 잘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리타의 숨겨진 설정들을 찾을 수 없으면 단순히 페도필리아라 여길 수 있지만, 화자나 등장인물의 행동으로 전체적으로 반어법임을 알 수 있다. 즉, 작가도 그렇지만 독자 역시 수준이 높아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대화의 경우 대상의 표정이나 말투의 억양, 대화 당시 흐름이나 주제 등 여러 요소들로 판단하기 쉽지만 글은 그런 사항이 전무하거나 적기에 대화때보다 더 많은 생각을 요구하기 때문.

7. 관련 문서



[1] 서정적 자아는 실제로 서러움의 눈물을 엄청나게 흘릴 것이라는 것을 반대로 표현한 반어법이다.[2] 굿(Good)이 많아질수록 반어법의 효과가 더 강해진다. 좋다는 뜻이 전혀 아니다.[3] 다만 하이킥 2 한정으로 직급이 교장이다.[4] 오래된 집이 여기저기 망가져가는데 고칠 생각을 하지 않고 굿부터 하자는 노주현을 타박하는 대화다.[5] 2절 마지막 가사는 '''한화라서 행복합니다'''[스포일러] 무파사를 죽일 때 대사다.[6] 성군에게 붙혀지는 묘호이다. 당장 어질 인 자를 보면 된다. [7] 싸울때 한정, 부모님과 여자친구가 자주 애용한다. 부모님의 경우 아닐 가능성도 꽤 있는편이나 여자친구라면 십중팔구 반대가 맞다.[8] 가르마 자비의 장례식을 지온 공국에서 생중계하는 영상을 보면서 하는 말이다.[9] 마익흘이 MBC의 <충격실태보고 외국인과 이성교제>에 담긴 외국인 차별사상을 반어법으로 비난하는 <외국인>이라는 노래를 만들었다. 일부에서는 진짜로 마익흘을 그 노래에 나오는 정도로 나쁘게 보기도 한다.